ArticlePDF Availabl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4, No.6-2, 2018, pp.00~00
http://dx.doi.org/10.7780/kjrs.2018.34.6.2.3
ISSN 1225-6161 ( Print )
ISSN 2287-9307 (Online)
Article
남극 전선 탐지를 위접근법변동성대한 연구
진구 1)
·김현2)
·황지3)
·배덕3)
·조영4)
An Approach for the Antarctic Polar Front Detection
and an Analysis for its Variability
Jinku Park 1)·Hyun-cheol Kim2)·Jihyun Hwang3)·Dukwon Bae3)·Young-Heon Jo 4)
Abstract: In order to detect the Antarctic Polar Front (PF) among the main fronts in the Southern Ocean,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mbinations of satellite-base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height (SSH)
observations. For accurate PF detection, we classified the signals as front or non-front grids based on
the Bayesian decision theory from daily SST and SSH datasets, and then spatio-temporal synthesis has
been performed to remove primary noises and to supplement geographical connectivity of the front grids.
In addition, sea ice and coastal masking were employed in order to remove the noise that still remains
even after performing the processes and morphology operations. Finally, we selected only the
southernmost grids, which can be considered as fronts and determined as the monthly PF by a linear
smoothing spline optimization method. The mean positions of PF in this study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PFs reported by the previous studies, and it is likely to be well represents PF formation along the
bottom topography known as one of the major influences of the PF maintenance.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positions of PF is high in the Ross Sea sector (~180°W), and Australia sector (120°E-140°E), and
these variations are quit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tection
approach for the PF position applied in this study and the final composite have a value that can be used
in related research to be carried out on the long term time-scale.
Key Words: Antarctic Polar Front, Front detection, Bayesian Oceanic Front Detection mode
요약 : 이 연구는 남빙양(Southern Ocean)에서 나타나는 주된 전선(Front)들 중에 남극 극 전선(Antarctic Polar
Front; PF)을 탐지하기 위하여 위성 기반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와 해수면 고도(sea surface height)
자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정확한 PF 탐지를 위하여 일별 SSTSSH 자료를 각각 기반으로 하여 베이지
Received November 11, 2018; Revised November 25, 2018; Accepted November 30, 2018; Published online December 5, 2018
1)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박사과정생 (PhD Student,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2)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책임연구원 (Director, Unit of Arctic Sea-Ice Prediction,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3)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석사과정생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4)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Young-Heon Jo (joyoung@pusan.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1
1.  서 론
남극 극 전선(Antarctic Polar Front; PF)은 저온저염
인 남극 표층수(Antarctic surface water)와 상대적으로 고
온고염인 아남극수(Subantarctic Water)가 만나는 전이
지역(Trainsition zone)서 형성되며(Freeman et al., 2016;
Pollard et al., 2002; Sarmiento et al., 2004), 표층 수온 및
염분, 영양염, 생산성에 대하여 뚜렷한 구배(gradient)
나타낸다(Baxth et al., 2001; Dong et al., 2006; Freeman et
al., 2016; Moore et al., 1999; Moore and Abbott, 2002; Trull
et al., 2001). PF는 남극순환류(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ACC) 상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강력한 제트류
를 형성하는 전선 중의 하나이며, 위도상 위치의 변동
으로 인하여 중규모의 사행(meandering), 소용돌이(eddy)
등을 형성하고, 남빙양(Southern Ocean)에서 소용돌이
에 의한 열플럭스 및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변화와 더불
어 생산성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Ansorge et al., 2015; Freeman et al., 2016; Pollard et al., 2002;
Swart and Speich, 2010). 그러므로 PF의 위치 변화와 해
양–대기학적 변동과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라
도 정확한 PF의 탐지가 요구되며 PF의 변동에 대한 구
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Dong et al., 2006).
위성 자료를 활용한 PF의 탐지는 대부분 해수면 고
(sea surface height; SSH)와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 료를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다(Dong
et al., 2006; Freeman et al., 2016; Freeman and Lovenduski,
2016; Gille, 2002, 1994; Moore et al., 1999; Sokolov and
Rintoul, 2002; Swart and Speich, 2010). SSH는 해양 상층
밀도장의 특징을 내포하고 있어 SSH 구배 만으로 전
선의 세기와 위치를 특징짓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Freeman et al., 2016). 반적으로 SSH의 구배가 가장 강
한 위치가 특정 SSH 값의 분포와 유사하여, 단순 SSH
임계치(threshold)를 통한 PF의 탐지가 수행되기도 하
였다(Sokolov and Rintoul, 2002). 그러나 SSH 기반의 PF
탐지는 잠재적으로 남빙양의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에 상당히 민감하다(Freeman et al., 2016; Gille, 2002).
그리고 SSH의 등고선이 항상 높은 SSH 구배와 일치 하
지 않기 때문에, 특히 전선이 약화되고 분산되는 지역
에서, SSH 등고선에 의존한 방식은 PF의 정량적인 변동
에 대한 분석에 제한적이다(Graham et al., 2012). SST
PF 상에서 구배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특징을 기반으로
상당 연구들이 SST 료 기반의 PF 탐지를 수행해왔
(Dong et al., 2006; Freeman and Lovenduski, 2016; Moore
et al., 1999).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AVHRR)과 같은 적외선 영역에서 관측되는 SST를통
PF 탐지는 구름과 수증기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졌지만(Dong et
al., 2006; Moore et al., 1999), 후 마이로파 센서인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for the Earth
Observing System(AMSR-E)으로 관측된 SST와 비교한
결과, AMSR-E가 보유한 구름 투과 능력을 감안하면 적
외선 기반 SST 관측 또한 PF 위치를 탐지하는데 있어
서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다(Dong et al., 2006). 그러
PF가 표층과 아표층(subsurface) 모두에서 나타나지만
수직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나타나지 않음을 고려할 때
(Mackintosh, 1946), 위성 기SST는 표층에만 국한되어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4, No.6-2, 2018
2–
안 결정 이론(Bayesian decision theory)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전선/비전선의 신호를 격자 별로 분류하
였다. 이후, 공간적인 합성을 통하여 일차적인 노이즈(noise) 제거 및 지리학적 연결성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이들 과정을 수행하고도 여전히 잔존하는 일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빙 및 연안 마스킹(masking)을수
행하였다. 또한 모폴로지 연산(morphology operation)을 통하여 지류 성분을 최대한으로 배제하고 주된 전선 성
분만을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전선 격자 들에PF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가장 최남단의 전선
만을 선택하여 평활 스플라인(smoothing spline) 최적화 방식을 통해 선 형태의 월별 PF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PF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PF의 위치와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닥 지형에 따라 상당 부
분 결정되는 PF의 변화를 잘 모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로스해 주변(~180°W)과 호주 이남의 해역(120°E–140°E)
PF의 위치에 대한 계절적 변동이 높게 나타나며, 그러한 변동이 기존에 제시된 결과와 상당히 유사한 경향
을 지닌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산출된 PF의 위치에 대한 탐지 결과가 향후 장기적 관점에서 수행될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2
아표층의 영향을 전혀 고려치 않기 때문에 PF의 위치를
탐지하는데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PF에 대한 표층 특성과 연관SST
아표층에서 나타나는 PF의 특성을 반영하는 SSH(Gille,
1994)를 토대PF의 위치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Fig. 1(a)
1(b)는각자료의 구배장을 제시한 것으로 SST 구배
의 크기는 SSH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지만 남빙양 전체
에 걸쳐 균등하고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지니며,
비록 SST에 비하SSH의 구배 크기(gradient magnitude,
GM)는 작지만 공간적으로 밀집되어 있는 형태를 띈다.
각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구배장에 대한 20171
동안의 상관성은 PF 인접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Fig.
1(c)). 0.6이상의 높은 상관성이 Orsi et al.(1995)가 제시
PF와 아남극 전선(Subantarctic Front; SAF)을 중심으
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최남단 경계 지점이 PF의 위치
와 상당히 유사한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두 자료를 복
합적으로 이용하PF를 탐지한 결과가 대체로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2. 위성 관측 기반 자
이 연구에서 사용된 SST 자료는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NOAA)에서 제공하는
위성, 선박 및 부이 자료를 통하여 재구성된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OISST)이 사용
극 극 전선 탐지를 위한 접근법과 변동성에 대한 연구
3–
Fig. 1. Examples of gradient magnitude (GM) distribution for (a) sea surface temperature and (b) height
datase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ST and SSH GM values at each pixel during 2017.
The black lines indicate the front locations from Orsi et al. (1995). The fronts are abbreviated as follows
(Subtropical Front: STF, Subantarctic Front: SAF, Polar Front: PF, Southern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Front: SACCF, Southern Boundary: SB).
(a)
(b)
(c)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3
었다(Reynolds, 1993)(https://www.ncdc.noaa.gov/oisst).
이들 자료는 전 지구에 걸쳐 0.2의 공간 해상도로 일별
로 제공되고 있다. 일별 OISST 자료는 두 가지 버전으
로 제공되고 있는데 원격 탐사 자료로서 오직 AVHRR
산출물 만을 사용한 것AMSR-E의 자료와 함께 사
용한 것이다. 근적외선 영역 기반 관측을 수행하는
AVHRR 기반 SST 자료는 1981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제공되고 있지만 마이크로파 기반의 AMSR-E가 추가
된 자료의 경우 오직 2002년부2011년까지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식의 장기적 적
용을 위하여 오직 AVHRR 기반으로 제작된 OISST
료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PF
탐지를 위한 알고리즘의 적용과 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
기 때문에 가장 최근 1년간(2017)의 자료만을 사용하
였으며, 또한 1년간의 자료는 계절적인 변동을 포함하
고 있기 때문에 사전 연구들에서 제시된 PF의 계절적
변동 특성을 잘 반영하는지 판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으로 SSH Copernicus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ervice(CMEMS)로부터 획득 되
었다(http://marine.copernicus.eu/). 이 자료Jason-3,
Sentinel-3A, HY-2A, Saral/AltiKa, Cryosat-2, Jason-2,
Jason-1, Topex/Poseidon 등의 해면고도계(altimeter)
부터 산출된 평균적인 고도장이며 1993년부터 2017
년까지 OISST와 동일하게 일별, 0.25°의 해상도로 제공
된다.
3.  극 전선 탐지
이 연구에서는 SSTSSH가 지니는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PF를 추출하기 위하여 Fig. 2와 같은 절차
수행되었다. 우선적으로 SSTSSH 자료들에 대한 전
선 추출은 Bo et al.(2014)에 의해 제시된 베이지안 해양
전선 탐지 모델(Baeysian Oceanic Front Detection model;
BOFD)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SSTSSH 기반의 이미
지들에서 추출된 전선의 공통적인 위치를 도출하고 시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4, No.6-2, 2018
4–
Fig. 2. Workflow for the detection of Polar Front line (modified from Bo et al. (2014)). The parts a) and b) are
described in section 3.1 and c), d) and e) are explained in Sections 3.2, 3.3 and 3.4, respectively.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4
공간적인 합성이 수행되었다. 앞선 과정에도 불구하고
남아있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빙(sea ice) 및해
안선 자료를 이용한 지리학적인 방식과 물성적인 특성
을 고려한 SST의 임계치 마스킹이 수행되었으며, 침식
(erode) 및 재구성(reconstruction) 절차를 수행하여 주요
한 전선의 신호만을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전선으로
선택된 픽셀 중 최남단에 위치한 격자 만을 선택하여 평
활 스플라인(smoothing spline) 식을 통해 경도상 연속
적인 PF를 추출하였다.
1) 전선 추출
(1) 구배 산출 및 임계치 설정
SST SSH 자료로부터 PF를 추출하기 위하여 이연
구에서는 베이지안 결정 이(Bayesian decision theory)
에 근거한 BOFD가 사용되었다(Bo et al., 2014). BOFD
는각자료의 구배장을 산출하고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
으로부터 시작된다(Fig. 2(a)). 우선 구배를 계산하기 위
하여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소벨 알고리즘 연산자
(Sobel algorithm operator)가 적용되었다. 3×3 셀과 x, y
축 방향의 소벨 마스크의 각 화소들을 곱하여 더한 값
들을 통해 최종적으로 구배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
3 픽셀이 Fig. 3과 같이 표현될 때, 중심 픽셀 E2
원 변화율은 식 (1)(2)와 같이 계산된다.
ΔTx= TG+ 2TH+ TITA–2TBTC
ΔTy= TC+ 2TF+ TITA–2TDTG
}
(1)
ΔHx= HG+ 2HH+ HIHA–2HBHC
ΔHy= HC+ 2HF+ HIHA–2HDHG
}
(2)
여기서 TAHA는 픽셀 A에서의 SSTSSH를 나타
낸다. 그러므로, 중심 픽셀 E의 구배 크기는 다음과 같
이 계산할 수 있다.
ΔTE= (Tx
2+ Ty
2) , ΔHE= (Hx
2+ Hy
2) (3)
위의 식 (3)으로 산출된 구배 값의 분포에서 Oram et
al.(2008)에 의해 제시된 임계치 범(threshold interval)
1
2
1
2
극 극 전선 탐지를 위한 접근법과 변동성에 대한 연구
5–
Fig. 4. Cumulative curve for the gradient magnitude. Lower and Upper thresholds
are set at 70% and 95% of pixels with the gradient magnitude, respectively.
Fig. 3. 3×3 neighborhood for each pixel
(Bo et al., 2014).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5
를 설정하여 전선/전선(front/non-front) 격자를 분류
하는데 기준치로서 적용하였다. 설정되는 상위 혹은 하
위 임계치(upper and lower threshold)는 연구 지역 전체
의 구배의 분포를 통해 결정되는(Fig. 4), 모든 픽셀의
구배 크기의 분포에서 일정한 백분율로서 구분한다.
연구에서는 상위와 하위 임계치를 각각 95%, 70%로설
정했으며, 하위 임계치보다 작은 구배 크기를 나타내면
비전선 격자로, 상위 임계치와 하위 임계치 사이에 있
으면 전선 격자로서 고려된다. 상위 임계치 이상의 값
AVHRR 기반의 자료가 가질 수 있는 잔존하는 오차
로 인한 구배로서 고려되었다. 비록 구배장으로부터 전
/비전선 격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정량적인 임계치를
설정하였으나 실제로 약 10% 내외의 설정차는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Bo et al., 2014).
(2) 베이지안 결정 이론
Fig. 2(b)에 해당하는 과정을 진행하는데 사용되는 베
이지안 결정 이론은 어떠한 결정에 수반되는 확률과 비
용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 결정 간의 상충 관계를 정
량화 하는 통계적인 접근법으로, 베이즈 정리(Bayesian
theory)에 의거하여 사후 확률(posteriorprobability, P(A|B))
은 증거(evidence, P(B)), 사전 확률(prior probability, P(A))
그리고 조건부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 likelihood,
P(B|A))에 의하여 식 (4)와 같이 결정된다.
P(B|A)P(A)
P(A|B) = ————— (4)
P(B)
이 연구에서 모든 격자가 전선(ωi)과 비전선(ωj)으로
구분된다면, 정 격자 x의 사전 확률(전선: Px(ωi), 비전
: Px(ωj)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ΔTxuluu–ΔTx
Px (ωi) = ————, Px (ωj) = ———— (5)
uuuluuul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Bo et al.(2014)는구
배의 지역성(Local degree of edge; LDE)과 블록 편
(Block deviation; BD)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4)에서
조건부 확률 P(B|A), A가 주어졌을 때 B의 발생 확률
에서 BLDEBD가되A는 전선/비전선으로 분
류된 결과를 의미한. 예를 들, 특정 격x가 전선으
로 사전에 분류되었을 때, 나머지 격자들에서 x보다 구
배가 크거나 동일하게 나타난다면, 이 격자들에서는 전
선이 존재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이들 격자의 집합을
“전선 세트”라고 지칭한다. 반대로 격자 x가 비전선으
로 분류되었다면 x보다 구배 크기가 낮거나 동일한 격
자들은 “비전선 세트”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므로 x
조건부 확률은 x의 사전 확률에 근거한 분류 결과와 x
전선/비전선 세트 간의 LDEBD의 차이를 이용한다.
이러한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비
율을 사용한다.
m1m2
P(x1 |ωi) =
—–
, P(x2 |ωi) =
—–
(6)
nn
(6)에서 m1m2는 전선 세트의 픽셀들의 LED
BD 그리고 xLDEBD의 차이가 0.1보다 적은 전선
세트 내의 격자 개수를 각각 의미하며, n은 전선 세트의
격자 개수를 나타낸다. 결국 이들 비율들은 x가 전선으
로 고려될 때, 두 특징(LDEBD)의 조건부 확률이 되
며 이들은 P(xa
i)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aLDE
BD를 나타낸다. 동일하게 x가 비전선으로 고려되면
조건부 확률은 P(xa
j)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각 격자에 대한 4가지 조건부 확률(전선/비전선으로 고
려될 때의 LDEBD)을 얻을 수 있으며 식 (7)과 같은
베이즈 모델로 표현될 수 있다.
2
P(q|ωk) = P(xa|ωk), k= i, j (7)
a=1
결과적으로, 앞서 제시된 식 (4)의 베이즈 정리를 다
음과 같이 다시 표현할 수 있.
P(x|ωi)P(ωi)
P(ωi|x) = ————
(8)
P(x)
P(x|ωj)P(ωj)
P(ωj|x) = —————–
}
P(x)
여기서 P(x)는 공통적인 항이므로 제외할 수 있고,
/비전선을 결정 짓는 규칙은 식 (9)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ωi, P(x|ωi)P(ωi) > P(x|ωj)P(ωj)
{
ωj, P(x|ωi)P(ωi) < P(x|ωj)P(ωj)
}
(9)
(9)에 따라 최종적으로 ωi(전선)의 조건에 만족하
면 전선 신호를 가지는 격자로, 그렇지 않으면 비전선
(ωj)으로 분류된 격자로 고려되어 사전에 알고있던 정
(사전확률을 바탕으로 수립된)를 수정하게 된다.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4, No.6-2, 2018
6–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6
2) 시공간적 이미지 합성
SSTSSH 자료가 내포하고 있는 특성을 동시에 고
려한 PF를 탐지하기 위하여 두 자료로부터 BOFD를통
해 산출된 결과(섹션 3.1)를 합성하고자 하였다(Fig. 2(c)).
Fig. 5에 이들 합성 과정이 제시되어 있다. Fig. 5(a)5(b)
는 일별 SSTSSH 자료로부터 BOFD를 적용한 결과
이다. 러나 이 단계에서는 SST 기반 전선 산출 결과가
남빙양 전체에 걸쳐 상당한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다.
히 이는 육상 근처 해역 및 중규모 해양 현상이 활발히
나타나는 해역에서 높게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뚜렷한
PF의 형태를 보이지는 않는다. 이에 반해 SSH 반 전선
산출 결과는 여전히 육상 지역 근처 그리고 일부 해역에
서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으나 SST 반 전선 산출 결과
에 비해서는 다소 뚜렷한 전선의 형태를 보인. 러나
여전히 이들 단일 센서 기반 자료만으로는 연속적인 선
극 극 전선 탐지를 위한 접근법과 변동성에 대한 연구
7–
Fig. 5. Daily fronts in the Southern Ocean from only (a) SST and (b) SSH. (c) Daily synthesized
fronts from both datasets and (d) monthly composite of the synthesized fronts.
(a)
(b)
(c)
(d)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7
을 추출하는데 있어 다소 무리가 있기 때문에 두 자료가
공통적으로 전선으로 분류하는 격자를 선택하여 Fig. 5(c)
와 같이 나타내었다. 이즈는 일부 제거 되었으나 브
질–말비나스 수렴대(Brazil-Malvinas Confluence zone)
동 호주(Eastern Australia) 일부 해역에서는 여전히 노이
즈가 잔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 자료 간에 공통적
으로 전선으로 분류된 격자 만을 선택함에 따라 다소 전
선이 위도상 범위가 좁혀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전반적으로 희미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태평양 지역
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를 보완하기 위하여
일별 자료를 월별 자료로 합성하여 뚜렷한 전선의 흔적
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Fig. 5(d)), 여전히 주요한
전선 신호 주변으로 노이즈들이 남아 있지만 앞선 과정
들에 비하여 상당히 개선된 결과를 보여준.
3) 노이즈 제거
베이지안 전선 탐지 및 시공간적 이미지 합성을 수행
함에 따라 상당 부분 노이즈가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일부 남아있는 노이즈들은 추가적인 절차를 통해 정
확하고 위경도 상 연속적인 PF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Fig. 2(d)). 이러한 노이즈에는 연안에서 생성되는 전선
및 해양 에디의 남쪽 경계에서 나타나는 강한 구배로 인
해 발생한 노이즈로서 연속적인 선 형태의 PF를 추출하
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지
역적인 노이즈 및 에디 기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두 가지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였다. 첫째, PF에비
하여 북쪽에 대체로 위치하는 SAF에서 수괴의 온도가
10°C보다 높다는 점을 감안하여 10°C 상의 해수면 온
도가 나타나는 지역을 마스킹 하였으며(Dong et al., 2006;
Freeman and Lovenduski, 2016; Orsi et al., 1995), 또한 육
상에서 100km 어진 지점과 해빙이 뒤덮고 있는 지역
에서 나타나는 전선 신호를 무시하였다. 둘째로, 침식
재구성 과정을 통하여 주요한 전선 신호 만을 남기고자
하였다(Fig. 6). 침식과 재구성 과정은 미리 알고 있는 대
상 객체의 정보를 반영하여 이미지 내에서 원하는 부분
만을 추출하는 모폴로지 연산(Morphology operation)
속한다(Gonzalez et al., 2003). 이러한 방식은 마스크 역
할을 수행하는 구조 요소(Structuring element)를 사용하
여 영상 내의 원하는 부분만을 추출하는 연산으로 이연
구에서는 3 조 요소를 사용하였다. 이 구조 요소에
서 중심값은 인근 8개의 픽셀을 선택하여 결과 이미지
의 위치에 값을 할당하며 전선인 격자의 값이 1, 전선이
아닌 격자의 값이 0으로 구성되어있는 이전 결과 이미
지를 일종의 이진화된 이미지라고 고려했을 때, 심 및
인근 격자의 모든 값이 1의 값을 가져야 1의 결과를 내
며 만약 대상 위치에서 한격라도 0의 값을 가지면 결
과가 0으로 산출되는 침식 과정을 거쳐 노이즈를 제거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노이즈 뿐만 아니라 일
부 주요한 전선 신호의 경계 부분도 같이 제거되기 때
문에 기존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와 구조 요소를 통해 재
구성 과정을 수행하여 주요한 전선 신호를 다시 나타나
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해양 에디의 남쪽 경계
에서 나타나는 강한 구배를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위에서 언급된 과정을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PF
추출하기전에 마지막으로 산출된 전선 신호를 가지는
격자들 중 가장 최남단에 위치한 격자 만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Fig. 1(c)에 제시한 것처럼 SSTSSH
구배장 간에 나타나는 높은 상관성을 지닌 지역의 최남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4, No.6-2, 2018
8–
Fig. 6. Binarized (left), eroded (middle) and reconstructed (right) images. Objects mean to be the front pixels.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8
단 위치와 PF의 위치 간에 높은 일치성을 바탕으로 수
행되었다. 그러나 최남단의 전선 격자를 선택하는데 있
어서 경도상의 불연속적인 출현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
0.1°이상의 위도 차이는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차이를 나타내는 격
자는 제외하고 가장 남쪽에 위치한 격자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Fig. 7은 최종적으로 PF를 탐지하기 위한 전선 격자를
선택한 결과로서 20171월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최남단의 전선 격자들의 분포는 기존에 제시Orsi et
al.(1995)PF 위치(PFO) Freeman and Lovenduski(2016)
가 제시한 PF(PFF)와 상당히 밀접한 것을 알수있다.
들에 의해 제시된 PF가 장기적인 기후 값임을 감안할
, PF가 계절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차
이는 동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연구에
서 산출된 최종적인 최남단의 전선 격자의 위치가 해색
센서로부터 획득된 20171월 클로로필 농도에 대한
평균장에서 나타나는 구배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경도 약 60°E, 170°W, 10°W 부근에서 이연
구에서 산출된 전선 격자의 이전 연구에 의해 제시된
PF에 비하여 남북으로 뚜렷한 클로로필 농도차를 보여
준다. 그러므로 이전에 제시된 PF 보다 PF를 중심으로
수행될 생산성 연구에 있어서 보다 더 정확한 연구를 수
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극 전선 추출
최종적으로 산출된 최남단의 전선 격자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선 형태의 PF를 산출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
서는 평활 스플라 (smoothing spline)을 사용하였다
(Eubank, 2004)(Fig. 2(e)). 평활 스플라인은 특정한 구간
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구역 내에서 관측된 자료에 오
차를 최소화하는 함수 f(xi)를 찾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
은 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n
∑(yif(xi))2+ λ
f″(x)2dx (10)
i=1
(10)은 손실 항(loss term)과 페널티 항(penalty term)
으로 구성되며 손실 항은 잔차제곱합(residual sum of
squares; RSS)를 의미하며 페널티 항은 오버피팅(over-
fitting)이 발생하지 않도록 평활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i는 특정한 구간의 개수를 의미하며, yi는 구간
i에서의 관측 값, λ는 조율파라미터(turning parameter)
0에 근접할 경우 RSS가 최소화 되기 위하여 모든 점들
이 보간되며 반대로 무한대에 근사하면 함수는 선형적
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대한 자세한 사항
Eubank(1994)를 참조하기 바란다. 결과적으로 이연
구에서는 최남단의 전선 격자 만을 사용하여 평활 스플
라인을 통해 연속적인 전선의 형태로 추출하였으며,
활 스플라인에 적용된 조율파라미터는 0.001로 설정하
였다. 평활 스플라인을 적용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이전
에 제시된 PF에 비하여 보다 원할한 곡선을 산출하게
된다. 비록 이러한 방식이 세부적인 PF의 구조를 표현
할 수는 없으나 대규모의 시공간적 규모 상의 변동성 측
면에서 보다 원활한 해석을 가능하게 할수있다. 만약
세부적인 구조에 대한 해석이 필요할 경우 이 과정을 생
극 극 전선 탐지를 위한 접근법과 변동성에 대한 연구
9–
Fig. 7. Examples of front pixels (black dots) and southernmost pixels (red dots) determined in this study and the
PF location reported by Orsi et al. (1995) (blue line) and Freeman and Lovenduski (2016) (green line). The
background color indicates the monthly mean of chlorophyll concentration during January 2017 obtained
from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1 페이지 9
략하고 최종적인 전선 격자 만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4.  결과 및 토의
Table 1Fig. 8은 일련의 PF 탐지 과정을 단일 자료
들에 적용하여 산출된 PF 탐지 결과와 두 자료를 합성
하여 산출된 PF 탐지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2017
동안 월별 PF 위치와 PFOPFF위치를 각각 비교하여
제시한 것이다. 두 자료를 합성하여 산출된 PFPFO
2.32°, PFF1.93°의 평균 RMSE를 가지며 대체로 7-10
월에 높은 RMSE를 나타내며 2017년 동안의 RMSE
표준편차는 각각 0.17°, 0.28°로 나타난다. 반면, SST
료만을 바탕으로 산출PF탐지 결과의 2017년 평균
RMSE4.69°(vs. PFO), 4.89°(vs. PFF)로두자료가 합성
된 결과에 비하여 다소 높은 RMSE를 나타내며 표준편
차도 1.75°, 2.21°로 상당히 증가되었음을 알수있다.
SSH 자료 기반의 PF 탐지 결과는 PFOPFF의 위도상
위치 대비 평균 3.27°, 2.81°RMSE를 나타내며 이는
SST에 비해서는 다소 낮으나 합성된 결과에 비해서는
높게 나타난다. 표준오차의 경우 PFOPFF간에 각각
0.55°, 0.38°SST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은 변화폭을 보
이지만 합성된 자료로부터 산출된 PF의 위치에 비해서
는 약간 높게 나타남을 알수있다. 과적으로 이 연구
에서 수행된 SSTSSH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된 PF
단순히 SSTSSH의각자료만을 토대로 산출된 것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기존에 제시된 PF의 위도상 위치에
비하여 가장 낮은 오차를 나타내고 있으며, 표준오차도
가장 작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수치는 PF의 계절적
변동의 변화폭에 포함되는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2017년동안매PF가 산출되었으며 그 평균값은 이
전 연구에서 제시된 PF들의 위치와 상당히 유사한 것으
로 보인다(Fig. 9)(Orsi et al., 1995; Freemanand Lovenduski,
2016). 기본적으로 PF의 형성은 바닥 지형에 강한 영향
을 받는데(Moore et al., 1997), 케르겔렌 해대(Kerguelen
Plateau, 75°80°E)와 포클레인 해대(Falkland Plateau,
~50°W) 같은 경사가 급격히 변화하는 지역에서 기존
PF들과 유사한 위치에서 산출되었다(Moore et al.,
1999). 특히, 케르겔렌 해대에서는 PFO보다는 PFF에근
접하게 나타나며, 아문젠(Amundsen) 및 베링스하우젠
(Bellingshusen) 해역에서는 PFO의 북단 경계의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서 PF가 추출된 것으로 보인다. 계절적
변동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지역은 로스해(Ross Sea)
이며 이 지역에서 기존PF들과의 위치와도 가장 동떨
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Belkin and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4, No.6-2, 2018
10
Table 1. RMSE between previous PF positions (Orsi et al., 1995; Freeman and Lovenduski, 2016) and the extracted PF
position from the composite of SST and SSH, only SST and SSH datasets
(unit: degree) SST+SSH Only SST Only SSH
Month Orsi Freeman Orsi Freeman Orsi Freeman
Jan. 2.07 1.59 2.74 2.61 2.63 2.37
Feb. 2.54 1.72 4.49 5.44 4.09 2.88
Mar. 2.33 1.83 8.12 9.00 2.71 2.40
Apr. 2.20 2.04 6.90 7.51 2.78 2.60
May. 2.25 2.00 4.97 5.00 3.28 2.82
Jun. 2.27 1.93 4.34 4.66 2.97 2.51
Jul. 2.63 2.43 3.85 3.70 3.33 2.79
Aug. 2.45 2.17 5.46 5.87 3.53 3.28
Sep. 2.38 2.15 6.43 7.16 3.26 3.02
Oct. 2.45 2.19 3.04 2.28 4.49 3.68
Nov. 2.15 1.52 2.76 2.14 3.20 2.85
Dec. 2.11 1.62 3.25 3.27 2.99 2.58
Mean 2.32 1.93 4.69 4.89 3.27 2.81
S.D. 0.17 0.28 1.75 2.21 0.55 0.38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2 페이지 10
극 극 전선 탐지를 위한 접근법과 변동성에 대한 연구
11
Fig. 9. Monthly positions of PF (light red) and their mean position (red) in this study. The blue and
green thick lines represent PFs by Orsi et al. (1995) and by Freeman and Lovenduski (2016),
respectively. The oceans around Antarctica are abbreviated as follows (WS: Weddell Sea,
BS: Bellingshausen Sea, AS: Amundsen Sea, RS: Ross Sea).
Fig. 8. Mean RMSE between the latitudinal PF position of Orsi et al. (1995) (blue) and Freeman and
Lovenduski (2016) (yellow) and the results from the composite of SST and SSH, only SST and
only SSH datasets in 2017.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error of mean values.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2 페이지 11
Gordon(1996)이 제시했던 PF 구역(PFSAF의 범)
남극 전체에서 가장 넓게 나타나는 지역으로 수직적으
PF의 변화가 크게 나타남에 따라 표층을 대변하는
SST와 아표층의 영향을 포함하는 SSH의 결합으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로 SSH를 기반으로 산
PF(Gille, 1994)의 로스해 상의 위치보다는 남쪽에 위
치한 것을 알수있다. 이러한 사실은 PF가 표층에 국한
된 현상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할 때, 표층에 국한되어
있는 SST를 기반으로 한 PF 탐지 절차가 이 지역에
큰 오차를 지닐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
에서 적용된 방식은 아표층과 표층의 큰 차이를 나타내
는이지역에서 어느 정도의 오차를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 밖에도 서인도양과 아문젠 및 베링스하우
젠 해역, 그리고 드레이크 해협(Drake passage, ~60°W)
의 동쪽 해역에서 높은 계절적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계절적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하여 Fig. 10과같
이 제시하였다. 오직 1의 자료만으로 탐지 방식을 적
용함에 따라 남반구 여름철(DJF)은 동년 1-2월과 12
의 평균으로 산출되었다. PF의 위치 상 계절적인 변화
가 가장 큰 해역은 로스해 주(~180°W)으로 봄철에 여
름철에 가장 남쪽에 위치하다가 겨울철이 될 때까지 북
상하고 이후로 다시 남하하는 경향을 보인. 이러한 경
향은 Freeman et al.(2016)이 제시한 변동과 상당히 흡사
하며, 이는 로스해에 형성되는 해빙의 분포에 따른 결
과로서 판단된다. 뿐만 아니Freeman et al.(2016)이제
시한 2002년부터 2014년까지의 계절적 평균의 변동 경
향에서 가장 큰 계절적 변동을 나타내는 또 다른 지역
으로는 호주 이남의 해(120°E140°E)을들수있으며
겨울철과 봄철에 남하해 있다가 여름철과 가을철에 북
상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 또한, 이 연구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이연
구에서 산출된 PF를 이용한 계절적인 변동을 잘 표현하
고 있음을 의미한다.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Bo et al.(2014)가 제시한 베이지안 해
양 전선 탐지법을 활용하여 SSTSSH 자료 기반 PF
지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유효성에 대한 평가를 수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4, No.6-2, 2018
12
Fig. 10. Seasonal mean position of the PF during one year (2017) (summer: DJF (black), fall: MAM
(red), winter: JJA (green), spring: SON (blue)).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2 페이지 12
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SST SSH 자료 기반 전선
신호를 합성하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마스킹과 모
폴로지 연산을 적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 형태의 PF
산출하기 위하여 평활 스플라인 최적화 방식을 사용
하였다. SST SSH 단일 자료만을 토대로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의 PF 위치에 대한 오차가
월등히 줄어들었으며 계절적인 변동 또한 다른 자료에
비하여 약화되었. 비록 기존의 연구들은 장기간에 걸
쳐 평균적인 PF의 위치를 제시하였으나, 이 연구에서
제시한 2017년 평균적인 PF의 위치는 로스해를 제외하
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로스해에서 나타나는 이
러한 오차는 기존의 PF들이 수온에 기반 된 것이며,
제로 탐지된 로스해 상PF의 위치는 표층과 아표층을
각각 반영하는 SSTSSH의 결합으로 인하여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불행히도 연구 지역의 관측 자료에 대
한 접근이 상당히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기존의 PF에비
하여 이 연구에서 산출PF가 정확한지 아닌지에 대하
여 입증할 수는 없었다. 2017년 동안, 연구 지역에서 표
류되는 뜰개의 경로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으로 인
해 향후 이 연구를 과거로 확장하여 정확한 검증 절차
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최
대한 기존의 연구 대비 결과의 정량적인 평가만을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 전반적으로 이전 연구에서 제시된
PF와 유사하고 계절적인 변동 특성 또한 잘 반영함에
따라 향후 기후 변화와 연관된 PF의 변동성 분석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
사 
본 연구는 한국해양수산부에서 지원하고(20170336)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설 극지연구소에서 주관하는
“남극해 해양보호구역의 생태계 구조 및 기능 연구(
제번호: PM18060)” 과제와 한국연구재단의 “Global
warming Hiatus 간 동안의 기후변화가 동해에 미친 해
양물리–생태 변화 연구(과제번호: NRF-2018R1A2B2006
555)” 과제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Ansorge, I.J., J.M. Jackson, K. Reid, J. V. Durgadoo,
S. Swart, and S. Eberenz, 2015. Evidence of
a southward eddy corridor in the South-West
Indian o ce an , Deep-Sea Research Part II:
Tr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 119: 69-76.
Bax th, J.A., T.J. Cowles, and S.D. P ierce, 2001.
Mesoscale physical and bio-optical structure of
the Antarctic Polar Front near 170°W during
austral spring,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6: 879-902.
Belkin, I.M. and A.L. Gordon, 1996. Southern Ocean
fronts from the Greenwich meridian to Tasman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1:
3675-3696.
Bo, P., S. Fenshen, M. Yunshan, F. Shenghui, and
D. Yunyan, 201 4. A model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nt detection based on a threshold
interval, Acta Oceanologica Sinica, 33: 65-71.
Dong, S., J. Sprintall, and S.T. Gille, 2006. Location of
the Antarctic Polar Front from AMSR-E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s, Journal
of Physial Oceanography, 36: 2075-2089.
Eubank, R.L., 2004. A simple smoothing spline III,
Computatinal Statistics, 19: 227-241.
Freeman, N.M. and N.S. Lovenduski, 2016. Mapping
the Antarctic Polar Front: Weekly realizations
from 2002 to 2014, Earth System Science Data,
8: 191-198.
Freeman, N.M., N.S. Lovenduski, and P.R. Gent, 2016.
Temporal variability in the Antarctic Polar Front
(2002-2014),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21: 7263-7276.
Gille, S.T., 1994. Mean sea surface height of the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from Geosat data:
Method and applic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99: 18255-18273.
Gille, S.T., 2002. Warming of the Southern Ocean
since the 1950s, Science, 295: 1275-1277.
극 극 전선 탐지를 위한 접근법과 변동성에 대한 연구
13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2 페이지 13
Gonzalez, R.C., R.E. Woods, and S.L. Eddins, 2003.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MATLAB, Quest,
1: 2-20.
Graham, R.M., A.M. De Boer, K.J. Heywood, M.R.
Chapman, and D.P. Stevens, 2012. Southern
Ocean fronts: Controlled by wind or topograph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7:
C08018.
Mackintosh, N.A., 1946. The Antarctic Convergence
and the Distribution of Surface Temperatures in
Antarctic Waters, Discovery Reports (Cambridge),
23: 177-212.
Moore, J.K. and M.R. Abbott, 2002. Surface chlorophyll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the Antarctic Polar
Front: Seasonal and spatial patterns from satellite
observations, Journal of Marine Systems, 37:
69-86.
Moore, J.K., M.R. Abbott, and J.G. Richman, 1997.
Variability in the location of the Antarctic Polar
Front (90°-20°W) from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h:
Oceans, 102: 27825-27833.
Moore, J.K., M.R. Abbott, and J.G. Richman, 1999.
Location and dynamics of the Antarctic Polar
Front from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4:
3059-3073.
Oram, J.J., J.C. McWilliams, and K.D. Stolzenbach,
2008. Gradient-based edge detection and feature
class ification of se a-surface images of the
Southern California Bigh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 2397-2415.
Orsi, A.H., T. Whitworth, and W.D. Nowlin, 1995. On
the meridional extent and fronts of the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Deep Sea Research Part I,
42: 641-673.
Pollard, R.T., M.I. Lucas, an d J.F. Read, 2002.
Physicalcontrol on biogeochemical zonation in
the southern ocean, Deep Research Part II:
T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 49: 3289-3305.
Reynolds, R.W., 1993. Impact of Mount Pinatubo aerosols
on satellite-derived sea surface temperatures,
Journal of Climate, 6: 768-774.
Sarmiento, J.L., N. Gruber, M.A. Brzezinski, and
J.P. Dunne, 2004. High-latitude controls of
thermocline nutrients and low latitude biological
productivity, Nature, 427: 56-60.
Sokolov, S. and S.R. Rintoul, 2002. Structure of Southern
Ocean fronts at 140°E, Journal of Marine System,
37: 151-184.
Swart, S. and S. Speich, 2010. An altimetry-based gravest
empirical mode south of Africa: 2. Dynamic
nature of the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fro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5: C03003.
Trull, T., S.R. Rintoul, M. Had, and E.R. Abraham,
2001. Circulation and seasonal evolution of
polar waters south of Australia?: Implications
for iron fertilization of the Southern Ocean,
Deep Sea Research Part II: Tr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 48: 2439-2466.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4, No.6-2, 2018
14
03박진구(Fig.1,7~10)ok.qxp_원격34-6-2(2018) 2018. 12. 26. 오전 9:12 페이지 14
ResearchGate has not been able to resolve any citations for this publication.
Article
Full-text available
We investigate intra-annual to interannual variability in the Antarctic Polar Front (PF) using weekly PF realizations spanning 2002 to 2014 (found at doi.pangaea.de/10.1594/PANGAEA.855640). While several PF studies have used gradient maxima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or height to define its locatio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based on a PF defined using SST measurements that avoid cloud contamination and the influence of steric sea level change. With a few regional exceptions, we find that the latitudinal position of the PF does not vary seasonally, yet its temperature exhibits a clear seasonal cycl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position and intensity of the PF is largely influenced by bathymetry; generally, over steep topography we find that the front intensifies and interannual variability in its position is low. We also investigate drivers of PF variability in the context of large-scale climate variability on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scales, but find that the major modes of Southern Hemisphere climate variability explain only a tiny fraction of the interannual PF variance. Over the study time period, the PF intensifies at nearly all longitudes while exhibiting no discernible meridional displacement in its zonal mean path. This article is protected by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Article
Full-text available
We map the weekly position of the Antarctic Polar Front (PF) in the Southern Ocean over a 12-year period (2002–2014) using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estimated from cloud-penetrating microwave radiometers. Our study advances previous efforts to map the PF using hydrographic and satellite data and provides a unique realization of the PF at weekly resolution across all longitudes (doi:10.1594/PANGAEA.855640). The mean path of the PF is asymmetric; its latitudinal position spans from 44 to 64° S along its circumpolar path. SST at the PF ranges from 0.6 to 6.9 °C, reflecting the large spread in latitudinal position. The average intensity of the front is 1.7 °C per 100 km, with intensity ranging from 1.4 to 2.3 °C per 100 km. Front intensit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pth of bottom topography, suggesting that the front intensifies over shallow bathymetry. Realizations of the PF are consistent with the corresponding surface expressions of the PF estimated using expendable bathythermograph data in the Drake Passage and Australian and African sectors. The climatological mean position of the PF is similar, though not identical, to previously published estimates. As the PF is a key indicator of physical circulation, surface nutrient concentration, and biogeography in the Southern Ocean, future studies of physical and biogeochemical oceanography in this region will benefit from the provided data set.
Article
Full-text available
All available meridional sections have been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volution of main fronts between 0° and 150°E. The central South Atlantic is featured by the Subtropical Frontal Zone (STFZ), bordered by the North and South Subtropical Fronts (NSTF and SSTF, respectively), and by the Polar Frontal Zone (PFZ), bordered by the Subantarctic and Polar Fronts (SAF and PF, respectively). This structure becomes more complex in the African sector as the Agulhas Retroflection and the bottom topography force a more convoluted pattern. The Retroflection and associated Agulhas Front (AF) press the SSTF from 38° to 42°-43°S. Strong interactions of the AF, SSTF, and SAF with topography shift the fronts but do not obliterate them. The AF can be traced reliably up to 52°E, sometimes up to 75°E. The SAF is deflected from 45° to 43°S by the Mid-Ocean Ridge and converges with the SSTF north of the Prince Edward Islands to form a combined SSTF/SAF. This front intensifies east of 50°-52°E as a result of the confluence with the AF, and between 52° and 65°E a triple AF/SSTF/SAF ("the Crozet Front") is observed. The PF continues along 49° and 50°S between the Crozet Plateau and the Ob-Lena (Conrad) Rise, passing north of Kerguelen, nearly joining the triple Crozet Front. Downstream of the Kerguelen-Amsterdam Passage the canonical structure is being restored (SSTF, SAF, PF); however, the front parameters in the Australian sector are different from the African sector, largely because of strong air-sea interaction and cross-frontal exchanges in the Crozet-Kerguelen region. The SSTF, squeezed between the AF and SAF, loses characteristics to both. The SSTF/SAF interaction results in the Australian SAF being warmer and saltier downstream, while the SSTF becomes shallower and weaker. The Australian STF derives its characteristics mostly from the AF, thus bringing the modified Agulhas waters to the Pacific Ocean. The newly defined North Subtropical Front (NSTF) was distinguished in the Indian Ocean between 31° and 38°S. The front marks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subtropical salty, warm water pool of the central South Indian Ocean. The NSTF location is coincident with the position of the wind convergence between westerlies and easterlies, suggesting the possible wind-driven frontogenesis.
Article
Full-text available
The location of the Southern Ocean polar front (PF) is mapped from the first 3 yr of remotely sensed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for the Earth Observing System (AMSR-E) sea surface tem- perature (SST) measurements. In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mean path of the Antarctic PF and its standard deviation are strongly influenced by bottom topography. However, the mean PF path diverges slightly from previous studies in several regions where there is high mesoscale variability. Although the SST and SST gradient at the PF show spatially coherent seasonal variations, with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lowest temperature gradient during summer, the seasonal variations in the location of the PF are not spatially coherent. The temporal mean SST at the PF corresponds well to the mean PF path: the tempera- ture is high in the Atlantic and Indian Ocean sections and is low in the Pacific Ocean section where the PF has a more southerly position. The relationship of the wind field with the Antarctic PF location and proxies for the zonal and meridional PF transports are examined statistically. Coherence analysis suggests that the zonal wind stress accelerates the zonal transport of the PF. The analysis presented herein also suggests that the meridional shifts of the Antarctic PF path correspond to the meridional shifts of the wind field.
Article
As part of the U.S. Joint Global Ocean Flux Study Southern Ocean program, high-resolution surveys of the Antarctic Polar Front near 170° W were conducted during October-November 1997 with a towed undulating system equipped with conductivity-temperature-depth and bio-optical sensors. Transects along 170° W and two successive mapping surveys revealed zonal bands with sharp meridional gradients in east-west velocity. The Polar Front (PF) was characterized by a sea surface temperature drop from 1.6° to -1.6° C between 60.35° and 61.10° S, with eastward velocities of 0.4-0.5 m s-1 in the core of the PF jet. Deep mixed layers (> 200 m) were found within and north of the PF, but mixed layers shoaled to 100-125 m south of the PF to the edge of loose ice at 62.3° S. Highest mixed layer chlorophyll concentrations (0.35 mg m-3) in late October along 170° W were to the south of the PF and associated with cold, fresh water. A large meander of the PF was observed with an alongfront wavelength of 175 km, a cross-front peak-to-peak amplitude of 100 km, and an eastward phase propagation of 0.05-0.08 m s-1, all of which are consistent with its formation via hydrodynamic instability of the PF jet. Highest-phytoplankton biomass was located just poleward of the center of the PF jet. A high-chlorophyll (up to 1.1 mg m-3) 50 by 50 km region was found downstream of the cyclonic bend associated with the meander. A survey 7.5 days later revealed growth of this high biomass region so that chlorophyll was in excess of 0.8 mg m-3 over an 80 km cross front by (at least) 80 km alongfront region. High biomass was observed to grow in place with respect to the meander rather than being displaced far downstream as would be expected from advection. This pattern is consistent with meander-driven upwelling of nutrients and/or trace metals, which in turn stimulates phytoplankton growth. Detailed cross sections of the PF reveal narrow 10-20 km wide bands or filaments of phytoplankton biomass that have temperature/salinity properties distinct from surrounding water and are coherent for at least 120 km alongfront.
Article
A model (Bayesian oceanic front detection, BOFD)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front detection in satellite-derived SST images based on a threshold interval is presented, to be used in different applications such as climatic and environmental studies or fisheries. The model first computes the SST gradient by using a Sobel algorithm template. On the basis of the gradient value, the threshold interval is determined by a gradient cumulative histogram. According to this threshold interval, front candidates can be acquired and prior probability and likelihood can be calculated. Whether or not the candidates are front points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 Bayesian decision theory. The model is evaluated on the Advanced Very High-Resolution Radiometer images of part of the Kuroshio front reg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using several SST front detection methods proposed in the literature. This comparison shows that the BOFD not only suppresses noise and small-scale fronts, but also retains continuous fronts.
Article
The location of fronts has a direct influence on both the phys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the Southern Ocean. Here we explo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bottom topography and winds for the location of Southern Ocean fronts, using 100 years of a control and climate change simulation from the high resolution coupled climate model HiGEM. Topography has primary control on the number and intensity of fronts at each longitude. However, there is no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r spacing of jets and underlying topographic gradients because of the effects of upstream and downstream topography. The Southern Hemisphere Westerlies intensify and shift south by 1.3° in the climate change simulation, but there is no comparable meridional displacement of the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s (ACC) path or the fronts within its boundaries, even over flat topography. Instead, the current contracts meridionally and weakens. North of the ACC, the Subtropical Front (STF) shifts south gradually, even over steep topographic ridges. We suggest the STF reacts more strongly to the wind shift because it is strongly surface intensified. In contrast, fronts within the ACC are more barotropic and are therefore more sensitive to the underlying topography. An assessment of different methods for identifying jets reveals that maxima of gradients in the sea surface height field are the most reliable. Approximating the position of fronts using sea surface temperature gradients is ineffective at high latitudes while using sea surface height contours can give misleading results when studying the temporal variability of front locations.
Article
The June 1991 eruptions of Mount Pinatubo produced new stratospheric aerosols that were greater than the aerosols from the 1982 eruptions of El Chichon. These new aerosols strongly affected the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AVHRR) retrieval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tropics where occurred with magnitudes greater than 1[degrees]C. The time dependence of these biases are shown. In addition, a method to correct these biases is discussed and integrated into the National Meteorological Center's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