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DF Available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and Jazz Dance Exercise on Abdominal Fat Reduction in Obese Women

Authors:

Abstract and Figures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on abdominal fat reduction have not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This study attempt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on abdominal adipose tissue reduction in obese women. Twenty two obese fem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ontrol group (CON; n = 11, age 37.2±13.7 yrs, body fat 38.9±7.5%, VO2max 30.4±5.5 ml/kg/min) or an experimental group (EX; n = 11, age 40.7±10.9 yrs, % body fat 40.2±6.7%, VO2max 27.0±5.3 ml/kg/min) and completed 18 treatments. Subjects of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jazz dance program that consisted of three times a week, 30 min per a session for 6 weeks. Onl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using an equipment either with massage or without massage function. Subjects were evaluated by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netry (DEXA), total body fat % (TBF), trunk fat % (TF), android fat % (AF), gynoid fat % (GF), fat mass (FM), trunk fat mass (TFM), android fat mass (AFM), gynoid fat mass (GFM), fat free mass (FFM), total lean mass (LM), trunk lean mass (TLM), android lean mass (ALM), gynoid lean mass (GLM), and circumference measurement from waist-hip ratio (WHR). Only EX group had an improvement in reductions of %TBF (p= .046) after 6-week.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AF(p = .05). In addition, Only EX group had an improvement in increase of TLM (p= .026). There was als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both FFM and ALM (p = .021). Therefore, the treatment using a newly developed equipment may b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regional fat values (% and mass of android region fat) of obese females.
Content may be subject to copyright.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Vol. 20, No. 2, pp 184~195(2013)
184
20 2 2013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과 재즈댄스 운동이 비만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동호 *
*인하대학교 예술체육학부 생활체육과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and Jazz Dance Exercise
on Abdominal Fat Reduction in Obese Women
Dong-Ho Park*
*School of Art & Sport, Major in Kinesiology,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Abstract :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on abdominal fat reduction have not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This
study attempt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on abdominal adipose tissue reduction in obese women.
Twenty two obese fem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ontrol group (CON; n = 11, age 37.2±13.7 yrs, body
fat 38.9±7.5%, VO2max 30.4±5.5 ml/kg/min) or an experimental group (EX; n = 11, age 40.7±10.9 yrs, % body fat
40.2±6.7%, VO2max 27.0±5.3 ml/kg/min) and completed 18 treatments. Subjects of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jazz
dance program that consisted of three times a week, 30 min per a session for 6 weeks. Onl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using an equipment either with massage or without massage function. Subjects were evaluated by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netry (DEXA), total body fat % (TBF), trunk fat % (TF), android fat % (AF), gynoid fat % (GF),
fat mass (FM), trunk fat mass (TFM), android fat mass (AFM), gynoid fat mass (GFM), fat free mass (FFM), total lean
mass (LM), trunk lean mass (TLM), android lean mass (ALM), gynoid lean mass (GLM), and circumference measurement
from waist-hip ratio (WHR). Only EX group had an improvement in reductions of %TBF (p= .046) after 6-week.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AF(p = .05). In addition, Only EX group had an improvement in increase of
TLM (p= .026). There was als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both FFM and ALM (p = .021). Therefore, the treatment
using a newly developed equipment may b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regional fat values (% and mass of android region
fat) of obese females.
Key words : Mechanical massage, Dance, Women, Fat, Lean, DEXA
1.
1.1. 연구 배경
심혈관 대사 질환의 위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비만은 지방조직의 축적 패턴에 따라 이질적인
조건을 지닌다 (Bjorntorp, 1991). 예로 , 상체 또는
복부 비만 (android obesity) 하체 비만 (gynoid obesity)
보다 심혈관질환을 포함한 고혈압 , 당뇨병 등의 위험과
더욱 밀접한 관계를 지니며 (Carey et al., 1997; Despres
et al., 1990; Folsom et al., 1990) 특히 , 내장 쪽에 집중
적으로 지방이 쌓일 경우 비만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대사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Pou et al., 2009). 이유로는 복부의 내장 지방이
부위의 지방보다 대사적으로 높은 활성을 지니며 ,
이것은 지방산의 대사 이상을 유발하고 내장 순환으로
유리지방산의 유입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Nielsen
et al., 2004). 더욱이 지방조직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한
다는 측면에서 내분비 기관으로 간주되며 , 내장 지방
피하지방보다 많은 양의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을
분비한다 (Fain et al., 2004).
몇몇 연구 보고에 의하면 , 하체 (gynoid) 비만은 상체
(android) 비만으로 유발되는 질환에 대한 예방적인
교신저자 : 박동호 ( 402-751)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 253
인하대학교 예술체육학부 생활체육전공
전화번호 : +82-32-860-8182
E-maildparkosu@inha.ac.kr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 재즈댄스 운동이 비만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185
20 2 2013
과가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 예를 들어 , 내장지방의
일정한 상태에서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 (gynoid
region) 지방이 많으면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낮아진
다는 것이다 (Caprio et al., 1996; Chang et al., 1999;
McCarty, 2003; Van Gall et al., 1989; Walton et al.,
1995). 이것은 아마도 복부 부위보다 하체 부위의 지단
지방분해효소 (lipoprotein lipase) 활성이 높다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따라서 다양한 대사성 이상
유발하는 내장 부위보다는 하체 부위로 지방이
용이하게 축적됨을 의미하기 때문일 것이다
(McCarty, 2003). 일반적으로 지방 축적은 인체에서
용되지 않은 영양소 , 탄수화물 , 지방 단백질의
초과 열량이 축적된 것이다 . 지방조직은 근육과 피하
사이의 결합조직의 섬유망 (fibrillary network)
치하며 , 이러한 위치적 조건 때문에 과다한 지방 축적
정맥과 림프계의 미세분자의 순환을 저하시킬
있고 , 이로 인하여 피부와 피하 조직 내에 체액이 축적
있다 (Chang et al., 1998). 또한 여성의 엉덩이 ,
허벅지 복부 부위로의 혈류 감소 는 피하에 뭉쳐져
피부를 우둘투둘해 보이게 하는 피하 지방인 셀룰라이
트의 병인학적 요소이며 (Tan et al., 2004), 이들 부위
로의 지속적인 지방량의 증가는 체액의 축적과 함께
셀룰라이트를 형성한다 (Bayrakci et al., 2010).
한편 , 운동 요구되는 많은 양의 인체 에너지는
방산화를 통해 공급받는다 . 따라서 규칙적인 신체활동
비만과 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를 위하여 일반적
으로 추천된다 . 유산소 운동을 포함한 다양한 신체활
동은 교감신경계 (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활성을 유발하고 혈중 카테콜라민의 농도 를 증가시킨
(Galbo, 1983). 교감신경계의 생물학적 기능은 카테
콜라민에 의한 α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 (adrenalin
receptor: AR) 활성에 의해 중재된다 . 구체적으로
급하면 , 카테콜라민은 지방세포의 β-AR 활성 증가
a
2-AR 활성 억제를 통해 지방분해를 유발한다
(Lafontan & Berlan, 1995; Marion-Latard et al., 2001).
또한 카테콜라민에 의한 지방분해는 지방조직 내의
순환에 의해서 그리고 성별뿐만 아니라 지방이
적된 해부학적 위치 (android vs. gynoid region)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Lafontan & Berlan,
2003). 하지만 신체활동은 특정 부위의 국소 지방의
소보다는 체지방량의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신체활동을 통한 특정부위의
감소는 총제지방량의 감소와 함께 동반될 있다 .
최근 혈액순환 피부 친화적 특성을 지닌 기계식
마사지 장비가 지방과다 축적으로 인한 셀룰라이트
위의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체액의 축적을 감소시켜
체지방의 변화와는 독립 적으로 처치 부위 , 특정부
위의 체지방량 감소에 긍정적인 형태적 변화를 유발하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Bayrakci et al., 2010;
Brightman et al., 2009; Monteux & Lafontan, 2008).
하지만 이들 장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로 피부과
또는 비만 클리닉과 같은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하고 ,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로 하며
고가의 장비로 인해 1 처치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복부마시지 장비
(Turn and Turn, 성신 ENC)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
않고 스스로 복부 마사지 처치가 가능하며 , 의료기
관에서 사용하는 기기에 비해 저가인 장점이 있으나
아직 복부마사지 장비의 활용으로 인한 특정부위의
지방량 둘레 감소의 인과 관계는 확인된바 없다 .
한편 , 체지방과 국소 지방을 포함한 신체조성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들 지방을 정량화하기
하여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하여 왔다 . 예로 , 허리둘
, 허리 -엉덩이 둘레비율 (waist-to-hip ratio), 피지후
(skinfold) 측정 등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 데 이유는
현장에서 비침습적으로 쉽게 사용할 있기 때문이다 .
하지만 이들 측정 방법들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을
분하여 측정할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내장
방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방법으로 컴퓨터 단층영법
(computed tomography: CT) 활용하여 내장 지방을
직접 측정하기도 한다 (Fox et al., 2007). 그러나 이러
기자재는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전리 방사
(ionized raation) 한다는 점에서 측정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Plourde, 1997). 반면에 Dual-energy X-
ray absorptionetry (DEXA) 지방량 복부 지방
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있고 CT 비해 비용이
들며 , 상대적으로 측정 시간을 단축할 있으며
리방사 노출 CT 비해 훨씬 적다는 점에서
CT 대신할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Glick-
man et al., 2004; Park et al., 2002; Snijder et al.,
2002).
1.2. 연구 목적
연구는 복부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6주간 주당
3, 1 각각 30 동안의 (유산소 운동 )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이 국소 부위의 지방량
소에 미치는 영향을 DEXA 통하여 하는
것이다 .
186 박동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연구의 대상자 (N = 22, 험집단 11, 통제집단 11
) 세계당뇨병연(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아시아 기준인 허리둘레 80 cm이상인 복부 비만
여성 (허리둘레 91.14 ± 8.12 cm, 체지방 39.52 ± 6.97%)
으로 정하.
집단의 구성 통제집단과 험집단으로 구분하
으며 , 통제집단은 각각 30 동안의 즈댄
트위스 기구 (Fig. 1 기구 a) 활용하여 신체활
동을 시하 것이고 , 험집단 통제집단과
각각 30 동안의 즈댄스와 트위스
구를 변형한 새롭 개발된 기구 (Fig. 1 기구 b)
활용하는 것이. 이전에 모든 대상자
에게 연구의 내용을 분히 설명하고 가동
의서에 하도 . 대상자들의 구체적인 신체적
특성 생리적 변인들에 대한 자료는 Table 1 같다 .
2.2. 연구 절차 측정항목
2.2.1. 신체 구성변인 전신 , 부위별 지방 측정
프로그 (baseline), 4(중간 ) 6(
) 3회에 신장을 포함한 체중 체질량지
등과 같은 변인을 측정하. 또한 전신을
함한 신체 부위별 지방 측정은 Dual-energy X-ray
absorptionetry(DEXA, GE Healthcare, USA) 이용
(Fig. 2)하여 전신 통하여 , 사전
(Baseline), 중간 (4) 사후 (6) 3 측정하.
신체구성 변인을 포함한 모든 측정 변인을
제하기 위하여 48시간 동안의 격렬 신체활동뿐만
니라 24시간 코올 인의 섭취 제한하.
2.2.2. 측정
트레드밀과 가스 기를 이용 하여
정하. 점증운동부하 프로토콜은 5% 고정
Fig. 1. Experimental equipments. (a) traditional twister,
(b) newly developed twister with the function of abdominal
massage.
Fig. 2. Regions of trunk fat (T), leg fat (L), android fat, gynoid fat assessed by DEXA. These figures were from Zillikens
et al. (2010) and Wiklund et al. (2008), respectively.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 재즈댄스 운동이 비만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187
20 2 2013
경사도에서 최초 80 m/min 속도로 하여 2
분마다 20 m/min 속도가 증가하도 고안되어 있는
KISS-F 이용하(체육과학연구, 1999). 연구
여자가 복부비만여성 고려하여 트레드밀을
사용한 최대하점증부하(85%HRmax)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을 ( 110 beat/min
85% HRmax 점을 이용하여 최대심수에 해당
하는 VO2max 추정하는 외삽)(ACSM, 1995).
측정된 심호 변수들은 호기량 (VE : l/min).
이산화탄소 배출(VC02: l/min). 상대적 산소섭취
(VO2 ml/kg/min). 교환율(respiratory exchange
ratio : RER) 그리고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위한 등가환
(VE/VO2
VE/VC02) 등이.
2.2.3. 6주간 운동 기구 처치 프로그
연구에서의 운동처치로는 6주간 주당 3, 일회
운동시간은 준비운동과 운동을 포함한 30분간
되는 즈댄스를 정하. 즈댄스는 준비운
, 운동 그리고 정리운동 순으로 일정한 음악
추어 시하. 여자들이 이러한 순서를 추도
즈댄 운동의 리고 도가
으로 하도 . 즈댄스의 도는 대상자
들이 비만자이고 VO2max 낮은 점을 고려하여 50-
60% HRmax 도를 유지할 있도 즈댄
Tab l e 1 . Subjects’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Variables Control Group Mean±SD Experimental Group Mean±SD t p
N1111
Age (yrs) 37.21±13.7 40.71±10.91 0.436 .517
Height (cm) 159.55±5.32 159.82±6.10 0.013 .912
Weight (kg)* 69.00±7.17 71.30±9.67 0.402 .533
Total Body Fat(%) 38.85±7.47 40.18±6.73 0.192 .666
BMI 27.15±2.99 28.01±4.17 0.306 .586
Waist Circumstance (cm) 89.91±5.43 92.37±10.27 0.703 .490
Hip Circumstance (cm) 98.96±7.13 102.63±5.60 1.344 .194
Waist to hip ratio (WHR) 0.91±0.04 0.89±0.07 0.465 .647
Total Body Mass(kg)* 69.00±7.17 71.30±9.67 0.402 .533
Total Area (cm2) 2,279.64±129.71 2,178.36±278.97 1.192 .288
Total Region % Fat** 37.28±7.26 38.68±6.68 0.222 .643
Trunk region (%Fat) 43.60±7.72 42.63±6.77 0.099 .757
Android region (%Fat) 46.15±7.05 45.53±7.82 0.039 .845
Gynoid region (%Fat) 39.69±5.66 42.10±5.14 1.092 .309
Total Tissue (kg)*** 62.91±10.30 68.62±9.64 1.801 .195
Trunk Tissue(g) 32,378.27±2,906.33 33,887.27±4,107.30 0.989 .332
Android Tissue(g) 4,646.91±709.76 4,809.09±820.99 0.246 .626
Gynoid Tissue(g) 9,901.27±1,095.19 10,291.27±1,090.13 0.701 .412
Total Fat (kg) 26.03±7.31 28.09±8.57 0.368 .551
Trunk Fat(g) 14,245.91±3,467.37 14,693.00±4,053.71 0.077 .784
Android Fat(g) 2,178.91±620.16 2,241.18±753.02 0.045 .834
Gynoid Fat(g) 3,959.55±835.82 4,379.18±1,010.80 1.126 .301
Total Lean (kg) 40,14±4.05 40,53±2.43 0.074 .789
Trunk Lean(g) 18,132.18±2,009.19 19,218.82±1,030.66 2.547 .126
Android Lean(g) 2,468.18±238.20 2,568.55±167.28 1.308 .266
Gynoid Lean(g) 5,941.64±722.78 5,912.09±240.93 0.017 .899
* = Fat(g)+Lean(g)+BMC(g), ** = Fat(kg)/Total mass(kg), *** = total fat(g)+ total lean(g)
188 박동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쉽게 구성하(walking, jogging, running.
joint rotation etc.,). 운동도의 터닝 주어진 30
동안의 운동 시간에 개인에게 부여된
여부를 자동심동측정기(Polar Heart Monitor,
Polar S610i, Polar Electro, Finland) 용하게 하여
확인하.
기구 처치는 집단 모두 운동이 료된 직후
시하. 따라서 운동과 같이 주당 3,
처치시간 30분간 시하으며 , 도는 개인이
느끼 편안한 수준으로 허리를 회전하는 것이.
Fig. 1에서처 통제 집단은 기구 A 이용하
험집단은 상복부 부위의 마사지 기능이 있는 기구 B
Fig. 3. The changes of total fat (%), a regional fat (%), total fat free mass and regional lean mass over tim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body fat (%) and trunk lean mass of EX group only. ((a)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aseline, (b)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4-week, c: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6-week. * p=.05, ** p=.01, ***
p=.001. Values are means and SE).
Table 2. Jazz dance program
Variables Use time(min) Exercise program
Warm up 5 Stretching
Main exercise 20 Jogging, running, jumping, skipping
Cool down 5 Walking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 재즈댄스 운동이 비만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189
20 2 2013
사용하. 따라서 집단의 이는 Fig. 1에서처
처치기기가 다는 조건을 하고는 모든 조건
동일하.
2.3. 통계분석
모든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 이용하여
변인별 평균 표준편 제시하. 통계처리는
변량 합분(two-way mixed ANOVA) 시하
집단 (2집단) 시기간 (3시기 : Baseline, 4-
week & 6-week) (2 by 3) . ANOVA
유의한 이가 있을 경우 , 집단간은 독립 t-test
통해 그리고 시기간은 변량 반복분(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사후 사로 Bonferroni
시하여 이를 살펴.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 (α) .05 정하.
3.
연구에서 최대하점증부하사를 통하여
리학적 자료는 Table 3 같다 . 운동처치와 관련하여
기기 사용 시의 운동도는 집단 모두 20±10%
HRmax 도에서 시한 것으로 타났으며
운동은 도인 60 ± 10% HRmax(50-70% HRmax)
유지한 것으로 타났. Table 3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집단간 유의한 이는 .
집단간 변인과 신체조성 변인의 시기간
화는 Ta ble 4 같다. Table 4에서처 체중(total
mass) 체질량지수(BMI) 집단 모두 변화하지
으나 지방과 관련해서는 총체지방 험집단
에서만 기초(baseline) 비해 사후시기 (6)에서
의하게 감소 (p = .046). 가지로 복부부위
(android region) 지방 같은 시기 (p = .038)
아니라 상호용효과 (p = .050) 유의하게
. 한편 제지방 질량과 관련해서는 총제지방 질량
경우 , 유의 상호 효과가 으며
(trunk lean, 험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 ) 복부
(android lean)에서 각각 시기간 상호용효과가
. 총제지방 질량의 상호용효과는 통제집
단의 경우 사전 , 4 6주에 일정하게 유지된
반면 험집단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적으로
가하는 패턴의 이에 의한 것이.
4.
연구는 아시아 기준 허리둘레 80 cm 이상인 복부
비만 여성(허리둘레 91.14 ± 8.12 cm, 체지방 39.52 ±
6.97%) 대상으로 6주간 주당 3, 1 각각 30
안의 스와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이 국소
위의 지방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DEXA
하여 하는 것이. 이러한 적을 성하기
하여 집단의 이는 처치기기 (복부마사지의 처치
) 다는 조건을 하고는 모든 조건
동일하게 정하.
예상과는 연구에서는 집단 모두 6주간
주당 3, 30분으로 구성된 (5 준비운동 , 20
, 5 정리운동 ) 즈댄스를 시하였음에도 구하
험집단과는 통제집단의 경우 총체지방
(%) 포함한 모든 신체조성 변인에서 유의한 이가
나지 다는 점이다 . 이러한 결과는
즈댄 운동처치에 의한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에
정적 효과가 다는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것이다 (
은경 , 2002; 류영주 , 2008). 하지만 은경 (2002)
Table 3. Results of GXT and intensities of exercise trials by groups
Variables Control Group
Mean±SD
Experimental Group
Mean±SD tp
N1111
VO2max 30.37±5.47 27.02±5.27 1.463 .159
Resting HR 67.00±8.67 68.45±4.46 0.495 .628
Maximal HR* 181.97±9.24 179.62±7.31 0.660 .517
Anaerobic Threshold(AT) HR 154.00±7.17 147.27±8.17 2.052 .054
%HRmax at AT 84.68±2.50 82.02±3.91 1.900 .075
Exercise using equipment (% HRmax) 21.47±7.75 23.17±6.17 0.570 .575
Dance exercise (% HRmax) 62.15±6.72 59.82±10.09 0.630 .536
*Maximal Heart Rate = 206.9-(0.67*age) (Gelish et al., 2007).
190 박동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연구에서는 10 여대생을 대상으로 12주간 2
90 즈댄스를 시하으며 , 류영주 (2008)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 21 대상으로 3, 1 60
분의 지속시간으로 12주간 시하다는 점에서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운동량에서
연구의 즈댄 운동처치와는 이가 있다 .
일반적으로 운동처치에 의한 체중 또는 체지방의
소는 운동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있으나
에너지 소비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운동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또한 운동처치 기간 중의 식이섭취
한이나 통제가 수반되지 않은 에서의 낮은 에너지
소비를 유발하는 형태의 운동은 체중이나 체지방 감소
미치는 효과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ok
et al., 2011). 예로 Church et al.(2007) 연구에서는
464 좌업 여성 (BMI, 25-43 kg/m2) 대상으
통제 포함한 주당 각각 4 kcal/, 8 kal/,
12 kcal/주의 3 운동집단을 구성하여 6 50%
VO2peak 운동도로 유산소 운동을 시하으나
집단에서도 체중뿐만 아니라 체지방 변화
하지 .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여자의 체중
Table 4. Results of 2×3 mixed ANOVA for percent fat, tissue and fat free mass
Variables Group Baseline 4weeks 6weeks pPost-hoc
Time Group T×G
Total Mass(kg)
=Fat(g)+Lean(g)+BMC(g)
CON
EX
69.00±7.17
71.30±9.67
68.75±7.10
71.10±10.10
68.46±7.08
71.77±9.65 .590 .475 .077
BMI (Weight kg/Height m2)CON
EX
27.15±2.99
28.01±4.17
27.05±2.99
27.93±4.35
26.96±3.12
28.20±4.26 .528 .535 .078
Fat Free Mass (kg) CON
EX
42.96±4.09
43.21±2.56
43.04±3.84
43.41±2.89
42.78±3.71
44.35±2.43 .093 .603 .009
Total Body Fat (%) CON
EX
38.85±7.47
40.18±6.73
38.35±7.44
39.70±6.41
38.55±7.85
38.98±6.01 .046 .732 .109 1>3
(only Ex.)
Trunk (%Fat) CON
EX
43.60±7.72
42.63±6.77
42.82±7.84
42.33±6.76
43.25±7.80
41.19±6.62 .136 .707 .095
Android region (%Fat) CON
EX
45.56±6.98
45.05±7.85
45.44±6.84
45.13±7.68
45.37±6.56
43.46±7.74 .038 .742 .050 2>3
Gynoid region (%Fat) CON
EX
39.69±5.66
41.00±5.14
39.59±6.13
41.08±5.02
39.95±6.43
37.61±4.19 .517 .610 .622
Trunk Region (%Fat) CON
EX
42.31±7.45
41.56±6.73
41.59±7.60
41.26±6.75
41.95±7.57
40.17±6.57 .109 .756 .101
Trunk Lean (g) CON
EX
18,132±2,009
19,218±1,030
18,615±1,856
19,503±1,492
18,403±1,662
20,264±1,027 .026 .051 .104 1<3, 2<3
(only Ex.)
Android Lean (g) CON
EX
2,468±238
2,568±167
2,597±247
2,657±243
2,534±191
2,771±205 .008 .130 .021 1<2, 1<3
Gynoid Lean (g) CON
EX
5,941±722
5,912±240
6,008±642
5,995±346
5,927±636
5,972±663 .266 .625 .808
Trunk FM/Total FM Ratios CON
EX
0.55±0.03
0.53±0.04
0.56±0.03
0.54±0.04
0.56±0.04
0.54±0.05 .066 .144 .685
Android/Gynoid Ratio CON
EX
1.16±0.10
1.08±0.13
1.17±0.12
1.08±0.12
1.15±0.08
1.04±0.13 .055 .065 .340
Android region (%Fat)= Android Fat(g)/Total mass(kg), Gynoid region (%Fat)= Gynoid Fat(g)/Total mass(kg), Trunk
Region (%Fat) = Trunk Fat(g)/Total mass(kg), Trunk Region (%Fat) = Trunk Fat(g)/Total mass(kg), Android/Gynoid
Ratio= Android %Fat/Gynoid %FAT Ratio.
1 = Baseline, 2 = 4-Week, 3 = 6-Week.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Ex: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xper-
imental group. a: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aseline, b: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4-week, c: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6-week.
* p.05, ** p.01, *** p.001. Values are means and SD.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 재즈댄스 운동이 비만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191
20 2 2013
체지방 감소를 유발하기에 분하지 않은 운동량과
처치기간 동안의 식이섭취 대한 제한이나 통제가
때문으로 단된다 . 연구에서도 험기간 동안
식이섭취 대한 제한이나 통제가 어지지
연구에서 처치된 즈댄스의 운동량이 여자의
체중이나 체지방 감소를 유발하기에는 다소 족했던
것으로 단된다 . 운동량과 관련하여 연구에서
즈댄 운동으로 소비된 에너지양을 해보면 ,
운동도는 60 ± 10% HRmax 해당하
이를 VO2max 변환하면 40% VO2max 해당한
. 집단의 VO2max 각각 30.37 ± 5.47 ml/kg/min,
27.02 ± 5.27 ml/kg/min 이라는 점을 감안할 40%
VO2max 30분간 운동을 경우 , 360 ml/kg
(12 ml/kg/min × 30 min) 산소를 소비하고 3
스를 했음으로 주당 1,080 ml/kg (360 ml/kg × 3
) 소비하게 된다 . 이를 kcal 전환하면 5.4kcal/
(1.08 L VO2× 5 kcal) 해당하며 , 집단의 평균
중이 7 0kg 점을 감안할 주당 378 kcal/주를
것으로 과체중 또는 비만에 해당되는 연구
여자의 체중감량이나 체지방 감소를 위해 분한
운동량이 아니었던 것으로 단된다 . .
신체조성 변인과 관련하여 , 집단간 체중
체질량지수 모두 6주간에 변화하지
으나
총체지방 험집단에서만 기초(baseline)
사후시기 (6)에서 유의하게 감소 (1.2% 감소 , p =
.046) 상복부위인 android region 지방
같은 시기 (1.59% 감소 , p = .038) 뿐만 아니라 상호
용효과 (p = .050) 유의한 것으로 타났. 따라서
이러한 효과는 복부 마사지 기능 을 지닌 기구의 사용
의한 것으로 단되나 집단 모두 기구처치 전에
30분간의 즈댄스를 때문에
즈댄 운동에 의한 효과 (carry over effect)
구처치에 영향을 미치지 다고 단정하기는 다소
려움이 있다 . 그러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제할 있는 자인을 통해 재확인하는
작업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
Monteux & Lafontan(2008) 2등급의 부위
셀룰라이트를 지닌 여성 8 대상(41.2 ± 3.6,
BMI 27.16 ± 0.95)으로 4주간 주당 3, 1 30,
12회의 처치 부위의 둘레가 13% 감소
(3.1-3.3 cm)됨을 . 이와 유사하 게 Bayrakci
(2010) 2등급의 셀룰라이트를 지닌 여성 20
대상으로 5주간 주당 3 복부 부위의 기계
사지 처치를 시한 둘레는 0.91 cm 그리고
피하지방 께는 1.23 mm 감소하으나 총체지방
이나 체중은 감소하지 다고 보고하. 이러한
결과들은 특정부위의 국소적 마사지가 처치 부위의
또는 체지방량을 감소시킬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
현재 국내의 경우 ,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필요
마사지 (경혈을 하여 기혈의
하는 마사지 ) 스포마사지 (, ,
지경, 강찰 ) 이용한 수기요법을 활용한
마사지 처치가 처치 부위의 체지방량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는 다수 보고되(
, 2011; 진과 길란 , 2011). 하지만 기계식
사지를 이용한 국소 부위의 마사지 처치가 처치 부위
체지방량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국내적으로 선행연구로 제시한 편에 지나
않는다 . 더욱이 이들 연구에서 사용한 마사지 기구
의료기관에서 미용을 적으로 사용하는 기구로
연구에서의 기기와는 처치 방법 ( vs. 자신의 체중을
이용 )에서 이가 있으며 , 연구가 이러한 이유에
시도되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단된다 .
한편 , 기구를 이용하여 국소 부위의 마사지 처치
처치 부위의 지방 또는 체지방량을 감소시키
확한 기전 제시된바 없다 . 하지만 처지부위의
지방량을 감소시킬 있는 가지 예측 가능한 기전
으로는 첫째 , 복부 부위의 마사지가 복부 부위의 β-
adrenergic receptors(β-AR) 활성증가 또는 α2-AR
활성억제를 통해 지방의 유동을 증가시킬 있다 .
방세포의 지방분해는 교감신경의 활성에 의해 중재된
. , 교감신경 활성으로 분비되는 카테콜라민
(norepinephrine epinephrine) 지방세포의 표면에
재하는 α2-AR β-AR 모두 한다 . 아드레날
용성 대한 지방 조직의 이는 인체
부위 , 그리고 α2-AR β-AR 사이의
기능적 형과 관련되어 있다 (Bjorntorp, 1996; Frayn,
1998; Lafontan and Berlan, 2003; Ostman et al., 1979;
Williams, 2004). 예로 , 여성은 엉덩이와 부위
지방 축적이 쉽게 발생하며 , 부위에 a2-AR
하고 지방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buffe-Scrive et al., 1985). 지방세포의 비대는
α2-AR 발현 증가와 함께 β-AR 감소시키
, 이는 지방세포의 비대에 대한 과정으로 지방
유동을 감소시킨다 (Lafontan and Berlan, 2003).
제로 여성을 대상으로 시한 Monteux & Lafontan
192 박동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8) Marques (2011) 연구결과에 의하면 , 6
12회의 기계식 마사지 처치가 여성의 부위와
엉덩이 지방조직에서 β-adrenergic receptor 중재에
의한 지방 유동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받은 부위의 둘레와 피부 두겹 감소가 유발
.
, 복부 부위의 마사지가 복부 부위의 혈류 순환
증가시켜 지방유동을 시킬 있다 . 마사지
치의 대표적인 효과중 하나는 처치 부위 조직의 혈류
순환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Munk et al., 2012; Fritz,
2004; Moyer et al., 2004; Weerapong et al., 2005).
제로 12 여성을 대상으로 Marques (2011)
연구에서는 6 동안 12회의 기계식 마사지 처치가
성의 엉덩이 지방조직에서의 혈류 순환을 유의하게
가시키는 효과를 . 선행 연구에 의하면
반인에 비해 복부 비만을 지닌 여성에게서 복부 지방
조직의 혈류 감소 리세 농도 감소가
으며 (Horowitz et al., 2000; Reynisdottir et al. 1994),
β-AR 중재에 의한 지방조직으로의 혈류 감소는 세포
간질액으로부 체순환으로의 리세 감소
시킬 있다 (Schiffelers et al., 2003). 이러한 감소된
복부 지방조직으로의 혈류감소는 복부 부위로의
운반 지방조직으로의 단백질 운반에 영향을
치며 , 지방조직 내에서의 지방산의 수는
방조직의 혈류에 의해 된다(Schiffelers et a.l.,
2003). 하지만 β-adrenergic 지방조직의 혈류
감소가 비만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
이지만 Blaak (1994) 연구에서는 체중감량
지방세포의 혈류증가가 . 이러한 결과는
교감신경의 으로 중재되는 혈류 순환의
만을 하는 인이라기보다는 비만으로
발되는 인일 것으로 단된다 .
한편 제지방 질량과 관련해서는 총제지방 질량의
, 유의한 상호 효과가 으며 (trunk
lean, 험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 ) 상복부위
(android lean)에서 각각 시기간 상호용효과가
. 총제지방 질량의 상호용효과는 통제집단
경우 사전 , 4 6주에 일정하게 유지된
험집단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적으로 증가
하는 패턴의 이에 의한 것으로 결과에 의하면
험집단에서의 통부위와 복부부위 (android region)
제지방 질량의 증가 (시기 p = .008, 상호용효과 p =
.021) 의한 것으로 타났.
운동에 의한 근비대 또는 제지방 질량의
증가 정도는 성별 , 련부하 련량 , , 다이어
상태 등에 따라 이가 있지만 , 운동 의 부하
동일하다면 골격근의 수축형태 또는 방법 (
, 등장성 등속성 수축 )과는 관하게 골격근의
비대 유사하게 나며 , 항훈련에 의한
비대 효과는 받는 부위에서 특이적으로 타난.
예로 , Adams (2004) 연구에 의하면
부하가 유사할 경우 , , 신장성 단축성
항훈련에 대한 골격 비대의 상대적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보고하( 14% > 단축성 12% > 신장
11% 증가 ), Watanabe (2013) 연구에서는 35
여성을 대상 (59-79)으로 10주간의 주당 2회의
(50% 1-RM) 하지 신전 -굴곡 운동이 하지
육의 유의하게 증가시. 더욱이 ,
Hunter (2008) 연구에 의하면 , BMI 27-30 사이의
인과 백인 여성을 대상으로 BMI 25 낮추는
중감량 동안 시한 유산소 운동 과는
운동그 제지방량을 유지하는 것으로 타났.
또한 경기의 비만 여성 48(63 ± 4) 대상으로
12주간 주당 0.5-1 kg 체중감량 동안 시한
동은 체중 , 총지방량 , 체지방 BMI 유의하게
소시으나 제지방량 유지되(Bouchard et al.,
2009).
연구에서 복부 마사지 기능을 지닌 기구를 사용
피험자는 자신의 체중을 이용하여 기구의
부분에 상복 부위를 시키고 지속적으로
통을 우로 회전하게 된다 (30/1, 3/). 이때
피험자는 자연스 복부에 주게 되며 ,
상복부는 자연스
현된다 . 기구 사용 정도의
발현되고 유지되는지는 확인할 으나 상복
부의 지속적인 발현은
(사전 vs 6
: 1.05 kg 증가 , 4 vs 6: 0.76 kg 증가 ) 상복부
(사전 vs. 4 : 89 g 증가 , 사전 vs 6: 203 g 증가 )
제지방을 증가시킨 것으로 단된다 . 향후에는
형태의 운동 특히 , 비대 또는 제지방의 증가에 미치
운동의 최소 운동 도와 지속시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
5.
연구는 복부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6주간 주당 3
, 1 각각 30 동안의 스와 복부마사지
구의 활용이 국소 부위의 지방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 재즈댄스 운동이 비만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193
20 2 2013
DEXA 통하여 하는 것이. 연구
결과에서 새롭 개발된 복부마시지 트위스 6
간의 활용이 체중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으나
았던 상복 부위 (Android region) 체지방
감소와 제지방 증가를 동시에 유발함으로 총체지방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타났. 따라서
개발된 기기의 활용 (6주간 주당 3, 1 30)
상복부의 제지방 증가와 함께 상복부위의 지방
소를 유발할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 따라서
러한 결과를 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마사지 처치
대한 세포지질대사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되어야 것으로 단된다 . 또한 연구의 한계
점으로 기계식 마사지 기기의 활용 발현되는 복부
부위의 형태의 정도인지 확인할
으며 , 따라서 향후에는 복부 부위의 비대
제지방의 증가에 미치는 형태의 최소 운동
도와 지속시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 또한 향후에는 특히 , 여성의 경우 증가에
따라 쉽게 지방이 축적되고 동시에 혈류 순환이 감소
되는 여성의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에 미치는 기계식
마사지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증이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
문은 2013 인하대학교 교내연구비
습니다 .
인용문헌
김경룡과 방현석 .(2011). 복부 마사지가 비만여성의 신체
구성 , 호흡순환기능 , 등속성 ,관절기능과 혈청지질
미치는 영향 . 한국체육학회지 , 50(5), 419-432.
김은경 ,정진욱 ,정영수 ,우재홍 ,이동기 ,박익렬 ,김미숙
.(2002). 12주간 재즈댄스 트레이닝이 체력과 신체구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과학회,
11(1), 199-209.
류영주 .(2008). 재즈댄스와 철분섭취가 성인여성의 신체
조성 , 혈액 성분 대사에 미치는 영향 . 한국생명
과학회지 , 18(9), 1299-1304.
변혜진과 신길란 .(2011). 미용경락마사지가 중년여성의
복부비만 감소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12(4), 173-191.
체육과학연구원 .(1999). 문가를 위한 최신운동처방론 .
21세기교육사 : 서울 .
ACSM. (1995). Guidelines for graded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5th ed). Baltimore, MD : Lea &
Febiger.
Adams, G. R., Cheng, D. C., Haddad, F., & Baldwin, K.
M. (2004). Skeletal muscle hypertrophy in response
to isometric, lengthening, and shortening training
bouts of equivalent duration. Journal of Applied Phys-
iology, 96(5), 1613-1618.
Bayrakci Tunay, V., Akbayrak, T., Bakar, Y., Kayihan, H.,
& Ergun, N. (2010).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manual lymphatic drainage and connective tissue
manipulation techniques on fat mass in women with
cellulite.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
matology and Venereology, 24(2), 138-142.
Bjorntorp, P. (1991). Metabolic implications of body fat
distribution. Diabetes Care, 14(12), 1132-1143.
Bjorntorp, P. (1996). The regulation of adipose tissue dis-
tribution in human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20(4), 291-302.
Blaak, E. E., Van Baak, M. A., Kemerink, G. J., Pakbiers,
M. T., Heidendal, G. A., & Saris, W. H. (1994). Beta-
adrenergic stimulation of energy expenditure and fore-
arm skeletal muscle metabolism in lean and obese
men. Th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67(2 Pt
1), E306-15.
Bouchard, D. R., Soucy, L., Senechal, M., Dionne, I. J.,
& Brochu, M. (2009). Impact of resistance training
with or without caloric restriction on physical capacity
in obese older women. Menopause, 16(1), 66-72.
Brightman, L., Weiss, E., Chapas, A. M., Karen, J., Hale,
E., Bernstein, L., et al. (2009). Improvement in arm and
post-partum abdominal and flank subcutaneous fat
deposits and skin laxity using a bipolar radiofrequency,
infrared, vacuum and mechanical massage device.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 41(10), 791-798.
Caprio, S., Hyman, L. D., McCarthy, S., Lange, R., Bron-
son, M., & Tamborlane, W. V. (1996). Fat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adolescent
girls: Importance of the intraabdominal fat depot.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4(1), 12-17.
Carey, V. J., Walters, E. E., Colditz, G. A., Solomon, C.
G., Willett, W. C., Rosner, B. A., et al. (1997). Body
fat distribution and risk of non-insulin-dependent dia-
betes mellitus in women. the nurses' health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5(7), 614-619.
Cook, C.M. & Schoeller, D.A. (2011).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conflicting findings.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14(5), 419-424.
Chang, C. J., Wu, C. H., Lu, F. H., Wu, J. S., Chiu, N.
T., & Yao, W. J. (1999). Discriminating glucose tol-
erance status by regions of interest of dual-energy X-
ray absorptiometry. clinical implications of body fat
194 박동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distribution. Diabetes Care, 22(12), 1938-1943.
Chang, P., Wiseman, J., Jacoby, T., Salisbury, A. V., &
Ersek, R. A. (1998). Noninvasive mechanical body
contouring: (endermologie) a one-year clinical out-
come study update. Aesthetic Plastic Surgery, 22(2),
145-153.
Church, T.S., Earnest, C.P., Skinner, J.S., Blair, S.N.
(2007). Effects of different doses of physical activity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among sedentary, over-
weight or obese postmenopausal women with elevated
blood pressu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7(19), 2081-2091,
Despres, J. P., Moorjani, S., Lupien, P. J., Tremblay, A.,
Nadeau, A., & Bouchard, C. (1990). Regional distri-
bution of body fat, plasma lipoproteins, and cardio-
vascular disease. Arteriosclerosis, 10(4), 497-511.
Fain, J. N., Madan, A. K., Hiler, M. L., Cheema, P., &
Bahouth, S. W. (2004). Comparison of the release of
adipokines by adipose tissue, adipose tissue matrix,
and adipocytes from visceral and subcutaneous
abdominal adipose tissues of obese humans. Endocri-
nology, 145(5), 2273-2282.
Folsom, A. R., Prineas, R. J., Kaye, S. A., & Munger,
R. G. (1990). Incidence of hypertension and stroke in
relation to body fat distribution and other risk factors
in older women. Stroke, 21(5), 701-706.
Fox, C. S., Massaro, J. M., Hoffmann, U., Pou, K. M.,
Maurovich-Horvat, P., Liu, C. Y., et al. (2007).
Abdominal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compartments: Association with metabolic risk factor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16(1),
39-48.
Frayn, K. N. (1998). Regulation of fatty acid delivery in
vivo.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
ogy, 441, 171-179.
Galbo H. (1983). Sympatho-adrenal activity in exercise
and pancreatic hormones. In: Hormonal and Meta-
bolic Adaptation to Exercise. Stuttgart: Thieme, p. 2-
35.
Gellish, R.L., Goslin, B.R., Olson, R.E. et al.(2007). Lon-
gitudinal model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maximal heart rate. Med Sci Sports Exerc., 39(5),
822-9.
Glickman, S. G., Marn, C. S., Supiano, M. A., & Dengel,
D. R. (200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for the assessment of abdominal
adiposit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7(2), 509-
514.
Horowitz, J. F., & Klein, S. (2000). Whole body and
abdominal lipolytic sensitivity to epinephrine is sup-
pressed in upper body obese women. American Jour-
nal of Physiology, 278(6), E1144-52.
Hunter, G. R., Byrne, N. M., Sirikul, B., Fernandez, J.
R., Zuckerman, P. A., Darnell, B. E., et al. (2008).
Resistance training conserves fat-free mass and resting
energy expenditure following weight loss. Obesity,
16(5), 1045-1051.
Lafontan, M., & Berlan, M. (1995). Fat cell alpha 2-
adrenoceptors: The regulation of fat cell function and
lipolysis. Endocrine Reviews, 16(6), 716-738.
Lafontan, M., & Berlan, M. (2003). Do regional differ-
ences in adipocyte biology provide new pathophysio-
logical insights?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24(6), 276-283.
Marion-Latard, F., De Glisezinski, I., Crampes, F., Ber-
lan, M., Galitzky, J., Suljkovicova, H., et al. (2001).
A single bout of exercise induces beta-adrenergic
desensitization in human adipose tissu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80(1), R166-73.
Marques, M. A., Combes, M., Roussel, B., Vidal-Dupont,
L., Thalamas, C., Lafontan, M., et al. (2011). Impact
of a mechanical massage on gene expression profile
and lipid mobilization in female gluteofemoral adipose
tissue. Obesity Facts, 4(2), 121-129.
McCarty, M. F. (2003). A paradox resolved: The post-
prandial model of insulin resistance explains why
gynoid adiposity appears to be protective. Medical
Hypotheses, 61(2), 173-176.
Monteux, C., & Lafontan, M. (2008). Use of the microdi-
alysis technique to assess lipolytic responsiveness of
femoral adipose tissue after 12 sessions of mechanical
massage technique.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2(12), 1465-1470.
Munk, N., Symons, B., Shang, Y., Cheng, R., & Yu, G.
(2012). Noninvasively measuring the hemodynamic
effects of massage on skeletal muscle: A novel hybrid
near-infrared diffuse optical instrument.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16(1), 22-28.
Moyer, C. A., Rounds, J., & Hannum, J. W. (2004). A
meta-analysis of massage therapy research. Psycholog-
ical Bulletin, 130(1), 3-18.
Nielsen, S., Guo, Z., Johnson, C. M., Hensrud, D. D., &
Jensen, M. D. (2004). Splanchnic lipolysis in human
obesity.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3(11),
1582-1588.
Ostman, J., Arner, P., Engfeldt, P., & Kager, L. (1979).
Regional differences in the control of lipolysis in
human adipose tissue. Metabolism, 28(12), 1198-1205.
Park, Y. W., Heymsfield, S. B., & Gallagher, D. (2002).
Are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regional esti-
mates associated with visceral adipose tissue mas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
복부마사지 기구의 활용 재즈댄스 운동이 비만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195
20 2 2013
bolic Disorders, 26(7), 978-983.
Plourde, G. (1997). The role of radiologic methods in
assessing body composition and related metabolic
parameters. Nutrition Reviews, 55(8), 289-296.
Pou, K. M., Massaro, J. M., Hoffmann, U., Lieb, K.,
Vasan, R. S., O'Donnell, C. J., et al. (2009). Patterns
of abdominal fat distribution: The framingham heart
study. Diabetes Care, 32(3), 481-485.
Rebuffe-Scrive, M., Enk, L., Crona, N., Lonnroth, P.,
Abrahamsson, L., Smith, U., et al. (1985). Fat cell
metabolism in different regions in women. effect of
menstrual cycle, pregnancy, and lactation.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75(6), 1973-1976.
Reynisdottir, S., Wahrenberg, H., Carlstrom, K., Rossner,
S., & Arner, P. (1994). Catecholamine resistance in
fat cells of women with upper-body obesity due to
decreased expression of beta 2-adrenoceptors. Diabe-
tologia, 37(4), 428-435.
Schiffelers, S. L., Akkermans, J. A., Saris, W. H., &
Blaak, E. E. (2003). Lipolytic and nutritive blood flow
response to beta-adrenoceptor stimulation in situ in
subcutaneous abdominal adipose tissue in obese m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
bolic Disorders, 27(2), 227-231.
Snijder, M. B., Visser, M., Dekker, J. M., Seidell, J. C.,
Fuerst, T., Tylavsky, F., et al. (2002). The prediction
of visceral fat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the elderly: A comparison with computed tomography
and anthropometr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26(7), 984-993.
Tan, G. D., Goossens, G. H., Humphreys, S. M., Vidal,
H., & Karpe, F. (2004). Upper and lower body adi-
pose tissue function: A direct comparison of fat mobi-
lization in humans. Obesity Research, 12(1), 114-118.
Van Gaal, L., Vansant, G., Van Campenhout, C., Lep-
outre, L., & De Leeuw, I. (1989). Apolipoprotein con-
centrations in obese subjects with upper and lower
body fat mass distrib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3(3), 255-263.
Walton, C., Lees, B., Crook, D., Worthington, M., God-
sland, I. F., & Stevenson, J. C. (1995). Body fat dis-
tribution, rather than overall adiposity, influences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healthy men indepen-
dently of ag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99(5), 459-464.
Watanabe, Y., Tanimoto, M., Ohgane, A., Sanada, K.,
Miyachi, M., & Ishii, N. (2013). Increased muscle size
and strength from slow-movement, low-intensity resis-
tance exercise and tonic force generation.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21(1), 71-84.
Weerapong, P., Hume, P. A., & Kolt, G. S. (2005). The
mechanisms of massage and effects on performance,
muscle recovery and injury prevention. Sports Medi-
cine, 35(3), 235-256.
Wiklund, P., Toss, F., Weinehall, L., Hallmans, G.,
Franks, P. W., Nordstrom, A., et al. (2008). Abdomi-
nal and gynoid fat mass are associated with cardio-
vascular risk factors in men and wome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3(11),
4360-4366.
Williams, C. M. (2004). Lipid metabolism in women. The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63(1), 153-160.
Zillikens, M. C., Uitterlinden, A. G., van Leeuwen, J. P.,
Berends, A. L., Henneman, P., van Dijk, K. W., et al.
(2010). The role of body mass index, insulin, and adi-
ponectin in the relation between fat distribu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86(2), 116-125.
: 2013. 2. 9
수정접수일 : 2013. 4. 1
게재승인일 : 2013. 4. 24
ResearchGate has not been able to resolve any citations for this publication.
Article
Full-text availabl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ow-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on muscle size and strength in older men and women. Thirty-five participants (age 59-76 yr)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and performed low-intensity (50% of 1-repetition maximum) knee-extension and -flexion exercises with either slow movement and tonic force generation (LST; 3-s eccentric, 3-s concentric, and 1-s isometric actions with no rest between repetitions) or normal speed (LN; 1-s concentric and 1-s eccentric actions with 1-s rests between repetitions) twice a week for 12 wk (2-wk preparation and 10-wk intervention). The LST significantly increased thigh-muscle thickness, as well as isometric knee-extension and -flexion strength. The LN significantly improved strength, but its hypertrophic effect was limi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en for older individuals, the LST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gaining muscle mass and strength.
Article
Full-text available
Despite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content (BMC), the role of fat distribution in BMD/BMC remains unclear. We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BMD/BMC and various measurements of fat distribution and studied the role of BMI, insulin, and adiponectin in these relations. Using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of 2631 participants from the Erasmus Rucphen Family study, we studied associations between BM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at the hip, lumbar spine, total body (BMD and BMC), and fat distribution by the waist-to-hip ratio (WHR), waist-to-thigh ratio (WTR), and DXA-based trunk-to-leg fat ratio and android-to-gynoid fat ratio. Analyses were stratified by gender and median age (48.0years in women and 49.2years in men) and were performed with and without adjustment for BMI, fasting insulin, and adiponectin. Using linear regression (adjusting for age, height, smoking, and use of alcohol), most relationships between fat distribution and BMD and BMC were positive, except for WTR. After BMI adjustment, most correlations were negative except for trunk-to-leg fat ratio in both genders. No consistent influence of age or menopausal status was found. Insulin and adiponectin levels did not explain either positive or negative associations. In conclusion,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android fat distribution and BMD/BMC are explained by higher BMI but not by higher insulin and/or lower adiponectin levels. Inverse associations after adjustment for BMI suggest that android fat deposition as measured by the WHR, WTR, and DXA-based android-to-gynoid fat ratio is not beneficial and possibly even deleterious for bone.
Article
Full-text available
Gluteofemoral adipose tissue areas are known to be poorly metabolically reactive. Mechanical massage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to show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impact on this tissu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lve more deeply into the mechanistic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incidence of a mechanical massage technique on gene expression profile and β-adrenergic-mediated lipid mobilization in female femoral adipose tissue. Twelve premenopausal healthy women were included and received 12 sessions of calibrated mechanical massage (Endermologie®).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femoral adipose tissue biopsies for gene expression studies. Microdi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femoral adipose tissue in order to assess lipolytic responsiveness (via glycerol determination) and changes in local blood flow following perfusion of a lipolytic agent, isoproterenol. Evaluation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6-week experimental period. Mechanical massage initiated important modifications in gene expression profile. The lipid-mobilizing effect of isoproterenol was enhanced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Basal local blood flow and isoproterenol-induced vasodilatation were also improved. The protocol of mechanical massage used in the study promoted noticeabl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metabolic pathways. The lipolytic and local adipose tissue blood flow responses initiated by isoproterenol were significantly enhanced.
Article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body fat has repeatedly been found to be a significant and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both obese men and women. To determine whether abnormalities in the lipid-lipoprotein profile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re related to specific fat depots early in the course of obesity, we us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o measure accurately intraabdominal and subcutaneous fat masses in 14 obese [body mass index (BMI; in kg/m2) 30 +/- 1.3] and 10 nonobese (BMI: 21 +/- 0.5) adolescent girls matched for age and Tanner stage of development. Intraabdominal and subcutaneous fat depots were two- to threefold greater in obese than in nonobese girls (P < 0.01). Total cholesterol, triacylglycerol, low-density-lipoprotein (LDL) cholesterol, basal insulin,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adolescent girls than in control subjects. In obese girls, intraabdominal fat but not BMI or waist-to-hip ratio was highly correlated with basal insulin (r = 0.55, P < 0.04), triacylglycerols (r = 0.53, P < 0.03), and high-density-lipoprotein (HDL) cholesterol (r = -0.54, P < 0.04). Femoral adipose tissue was inversely related to triacylglycerol (r = -0.51) and LDL cholesterol (r = -0.56, P < 0.05) concentrations in obese girls. The study indicates that early in the natural history of obese adolescent girl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re related to the amount of intraabdominal fat.
Article
Upper-body obesity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developing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a lipolysis defect is present in this form of obesity, we examined the adrenergic regulation of lipolysis in abdominal subcutaneous fat cells from 25 women with upper-body obesity and 24 non-obese women. Lipolytic noradrenaline sensitivity (but not the maximum rate of lipolysis) was reduced by 10-fold in obese women (p<0.01). The noradrenaline resistance could be ascribed to a 10-fold decrease in lipolytic beta2-adrenoceptor sensitivity (p<0.01). The lipolytic sensitivity of beta1- and alpha2-adrenergic receptors was normal in the obese women. A 70 % reduction in the cell surface density of beta2-adrenoceptors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control subjects (p<0.01). However, beta1-receptor density as well as steady-state mRNA levels for beta1- and beta2-receptors were normal in obese women. Lipolytic noradrenaline sensitivity correlated inversely with BMI (adjusted r2=0.76 together with fat cell volume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fasting plasma level of free cortisol was 30 % lower in obese compared to non-obese women (p<0.05) but obesity did not influence resting plasma catecholamine levels. Thus, lipolytic catecholamine resistance is present in abdominal obesity, due to low density of beta2-adrenoceptors, which in its turn may be caused by a post-transcriptional defect in beta2-receptor expression. Whether abnormalities in circulating free cortisol levels have caused the impaired lipolytic function of these receptors in upper-body obesity remains to be established.
Article
Insulin resistance is the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Free fatty acids (FFAs) cause insulin resistance in muscle and liver and increase hepatic gluconeogenesis and lipoprotein production and perhaps decrease hepatic clearance of insulin. It is suggested that the depressing effect of insulin on circulating FFA concentration is dependent on the fraction derived from visceral adipocytes, which have a low responsiveness to the antilipolytic effect of insulin. Elevated secretion of cortisol and/or testosterone induces insulin resistance in muscle. This also seems to be the case for low testosterone concentrations in men. In addition, cortisol increases hepatic gluconeogenesis. Cortisol and testosterone have "permissive" effects on adipose lipolysis and therefore amplify lipolytic stimulation; FFA, cortisol, and testosterone thus have powerful combined effects, resulting in insulin resistance and increased hepatic gluconeogenesis. All these factors promoting insulin resistance are active in abdominal visceral obesity,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NIDDM,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addition, the endocrine aberrations may provide a cause for visceral fat accumulation, probably due to regional differences in steroid-hormone-receptor density. In addition to the increased activity along the adrenocorticosteroid axis, there also seem to be signs of increased activity from the central sympathetic nervous system. These are the established endocrine consequences of hypothalamic arousal in the defeat and defense reactions. There is some evidence that suggests an increased prevalence of psychosocial stress factors is associated with visceral distribution of body fat. Therefore, it is hypothesized that such factors might provide a background not only to a defense reaction and primary hypertension, suggested previously, but also to a defeat reaction, which contributes to an endocrine aberration leading to metabolic aberrations and visceral fat accumulation, which in turn leads to disease.
Article
Increase in tissue blood flow is one of the most acknowledged potential effects of massage; however, actual research studies examining this phenomenon are inconsistent and inconclusive. One possible reason for continued uncertainty regarding this topic is methodology, specifically how tissue blood flow is measured because limitations exist in previously utilized technologies. Near-infrared spectroscopy (NIRS) affords massage researchers a versatile and non-invasive measurement option by providing dynamic information on oxy- and deoxy-hemoglobin concentrations, total hemoglobin concentration, and blood oxygen saturation in deep tissue. Near-infrared diffuse correlation spectroscopy (DCS) is an innovative technique for continuous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flow in deep tissue.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technologies has resulted in a novel hybrid diffuse optical instrument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limb muscle blood flow and oxygenation. The purposes of this short report are to review previous blood flow measurement techniques and limitations in massage therapy research, introduce a novel hybrid near-infrared diffuse optical instrument that addresses previous limitations in the assessment of hemodynamic properties, outline a proposed massage therapy pilot study utilizing the novel measurement technology, and present sample data from a pilot participant using the introduced novel technology.
Article
It is often hypothesized that increasing the volum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American lifestyle will slow and possibly even reverse the epidemic of obesity. Herein, we review the evidence pertaining to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weight control from interventions performed in adults. Evidence exists both for and against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weight control. High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successful maintenance of body weight may be a result of better coupling between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potentially mediated by physiological changes in appetite, albeit in the presence of large interindividual variability. Prospective studies, however, find little evidence of the more physically active members of a population gaining less excess weight than those who are the least physically active.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on body weight regulation,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re are multiple hormones that acutely suppress (or stimulate) food intake and that the integration of these signals influence overall energy balance in a manner that is not yet fully understood. Moreover, cognitive and social influences may override these signals. Even though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for weight control is still controversial, little doubt exists that increasing regular physical activity, particularly energy expended during structured exercise, is important for improving physical fitness and cardiovascular health.
Article
LPG Endermologie is a machine-assisted massage system that allows positive pressure rolling, in conjunction with applied negative pressure to the skin and subcutaneous tissues (LPG Endermologie U.S. A. (800-222-3911). Endermologie was originally developed in the late 1970s in France to soften scars and standardize physical therapy; however, patients treated with the LPG machine also showed improvement in body contour and skin texture. Since then, Endermologie machines have been used in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many other nations as an alternative method to altering fat distribution in the subcutaneous plane. The authors have continued their study of determin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is machine. Since our last report in March 1997 (Ersek RA et al., Aesth. Plast. Surg. 21(2):61-67, 1997), we have compiled records of 85 additional patients. With this larger patient pool, we can expect more statistically accurate results. This study is composed of 85 women between the ages of 21 to 61. The study group exhibited a wide range of body habitus, initial weights, and final results. Out of 85 patients, 46 patients completed seven sessions of treatment and showed a mean index reduction in body circumference of 1.34 cm, while 39 patients who completed 14 sessions of treatments showed a mean index reduction in body circumference of 1.83 cm. A decrease in mean body circumference index was seen regardless of loss or gain in patients' weight in most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