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DF Availabl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uthors:

Abstract and Figure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neurobehavioral 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a persistent pattern of inattention and/or hyperactivity, as well as forgetfulness, poor impulse control or impulsivity, and distractibility. The recommended evaluation includes documenting the type and severity of ADHD symptoms, verifying the presence of normal vision and hearing, screening for comorbid psychological conditions, reviewing the child's developmental history and school performance, and applying objective measures of cognitive function. Prevailing opinion characterizes ADHD as a disorder of executive function attributable to abnormal dopamine transmission in the frontal lobes and frontostriatal circuitry. A clearly defined etiology remains unknown, but studies suggest a strong genetic link. The aim of treatment is to decrease symptoms, enhance functionality, and improve well-being for the child and his or her close contacts. Stimulants remain the pharmacological agents of first choice for the management of ADHD, and psychosocial, behavioral and educational strategies that enhance specific behaviors may improve educational and social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DHD.
Content may be subject to copyright.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1, No. 9, 2008
DOI : 10.3345/kjp.2008.51.9.935 Review article : Pediatric disability
- 935 -
고려대학교 의과대 소아과학교실
= Abstract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o-Hee Eun, M.D. and Baik-Lin Eun, M.D.
Department of Pediatric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neurobehavioral 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a persistent
pattern
of inattention and/or hyperactivity, as well as forgetfulness, poor impulse control or impulsivity, and distractibility. The recom
-
mended evaluation includes documenting the type and severity of ADHD symptoms, verifying the presence of normal
vision
and hearing, screening for comorbid psychological conditions, reviewing the child's developmental history and school perfor
-
mance, and applying objective measures of cognitive function. Prevailing opinion characterizes ADHD as a disorder of execu
-
tive function attributable to abnormal dopamine transmission in the frontal lobes and frontostriatal circuitry. A clearly
defined
etiology remains unknown, but studies suggest a strong genetic link. The aim of treatment is to decrease symptoms,
functionality, and improve well-being for the child and his or her close contacts. Stimulants remain the
pharmacological
agents of first choice for the management of ADHD, and psychosocial, behavioral and educational strategies that
enhance
specific behaviors may improve educational and social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DHD. (Korean J Pediatr
2008;51:935-
943)
Key Word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 Review
1)
jtj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
order, ADHD)지속적인 의력결 과잉행동, 동성
증상을 이며 전체 아동 3-5%에서 아동의 교생활
가정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교적 흔한 질환이다1-4)
. 근래
매스컴의 집중적인 보도 화제 되고 있지만, ADHD
새로 질환 아닌 100 전에 이미 의학적 질환으
인식되었고, 중추신경자극제 약물 치료의 유익한 과에 대해
알려진지도 이미 50년이 넘었다5, 6)
. 하지만 그 역사에 비해 아직
까지 진단과 치료율 낮은 질환이기도 하다. 외국 경우
진료의들이 치료를 담당하지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적대적-반항 장애 품행 장애가 합병된 경우를 ADHD의
형으 생각하여 심각한 정신과질환으로 오인하경우
진단치료 제대 이루어지지 않는 경향 있다. 따라
본고에서는 ADHD에 개괄적 리를 통해 실제로 동의
Received : 31 July 2008, Accepted : 5 August 2008
Address for correspondence : Baik-Lin Eun, M.D.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2-dong,
Guro-gu, Seoul, 152-703, Korea
Tel : +82.2-2626-3153, FAX : +82.2-2626-1249
E-mail : bleun@korea.ac.kr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일차 료를 담당하고 있는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의 ADHD에 대한 인식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D HD란?
ADHD 아동부모수업시간에 허락 없이 돌아다니고, 팔
다리임없이 움직인다’, ‘오랜 시간 앉아 있어야 하는 경우
가만 있지 못하고, 다리 끊임없 움직이며 이상한
기도 한다’, ‘분노, 좌절, 슬픔, 등의 감정을 다른 아이
들보자주 강하게 표현한다, 문제를 끝까지 읽지 못하고
다른 과목에 비해 산수계산, 맞춤법 유난 어려워한다, 규칙
알고 이해하고 있는데생각 없이 충동적으로 행동한다,
줄서기임에서 자기 차례를 기다리못한다’, ‘분노 억누
르지 못하여 적절하지 못하게 행동한다’, 또래와 자주 싸우고, 다
른 아이들해하고 못살게 굴어 따돌림을 당한다, ‘지능에
성적매우 낮다, ‘키우기가 너무 힘든 아이다’라는 말
흔히 자신의 아동을 표현한다.
ADHD는 아동이 성숙해가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을 적절하
조절해나가 능력이 부족하 문제를 일으키 경우를 말한다.
ADHD 아동 일정한 나이가 되어도 자신의 행동을 대로
SH Eun and BL Eun
- 936 -
제하거나 조절하지 못하는데, 이러한 장애아동기 초기부
타나며 그 도가 잦고 정도하며,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
동성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징이다. 학교나
에 상관없이 비슷 행태 보이것도 중요 또 하나의 특징
이다.
이러 행동 양상이 동의 성장 과정에 오랜 시간 지속
으로 보이고 증상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하 나타난7, 8)
.
아기부터 행동상의 특징이 있으나 대부분의 5세 미만
동들은 충동적이고 활동적이며 집중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ADHD
아동별하기 어렵고,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제 행동들이 뚜렷해지는 경우가 많다. 령기에업성취
이런 아동들의 문제로 부각되고 인해 이차적으로
자존감이 저하되울증이 생길 수 있다. 청소년기가 되면
제 행동들은 상당 부분 호전되지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어려
움을 느끼고 주의력 결핍으로 인한 학습부진, 자존감의 저하,
로부 야기되는 청소년기의 우울증 또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로
이행 등이 주요 병증으 나타날 있다. ADHD 아동의
약 15-20% 정도가 인기까지 증상이 지속될 수 으며, 자라
서 대부분 과잉행동은 호전되지동적인 경향은 지속되는 경
우가 많아서 침착하하고 차 사고를 많이 내거나 직장을
주 옮기는 등으표현될 수 있고 사회적응능족, 알코올
독이 약물 남용의 험이 있다9, 10)
.
AD HD의 역사
ADHD는 국의 아과 의사 George Still이 1902년 자신
관찰20명의 아동의 행동 묘사하는 과정에처음 공식적으
표현되었는데, 대부분 남아로 8세 되기 이전부터 나타나
시작한 다루기 힘든 행동지고 있었다5)
. 이들은 대부분 주의
력이 부족하고, 지나치활동적이며, 규율에 저항한다는 점에서
다른 이들과 달랐다. 이후 1918-1919 행성 독감으
세계적으로 2000 명이 넘는 희생자가 발생하 이와 관련
뇌염으로 많은 사람들이 경학적 손상을 었는데, 이들
Still 묘사했던 문제들과 유사한 억제력부재같은 증상
즉시 나타 사람들 있었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ADHD는
뇌손상에 기인하 것으 간주되었다. 그러나, 1950-1960년대
연구자들은 대부분 ADHD 동들이 손상을 적이
없다 실을 닫기 시작했고, 미한 뇌기 장애(minimal
brain dysfunction) 원인이 된다고 믿었다6). 1970년대 초,
Douglass 주의력 결핍 충동 억제의 어려움이 과잉 행동의
원인이라고 발표한 구가 1980 정신장애의 통계
침서 제3판(the third edition of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III)에 반영되어 최초로 주의
력 결핍증(Attention Deficit Disorders, ADD)라는 용어를 사용
하게 되었11)
. 그리고 1987 DSM-III-개정판을 출간했는데,
여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라 용어 사용하였다12)
.
어떤 아동을 ADHD 로 진단하는가?
ADHD는 정신장애의 통계 지침 제4판(DSM-IV)
기준(Table 1) 따른 임상 단(clinical diagnosis)이13)
.
이 기준은 주의력 부족에 대한 증상들 과잉 충동 행위의 증상
들의 크게 목록으 구성되어 있다. 단하기 위해서
각각 목록에서 6가상의 아동의 발달 단계에 적절하
증상있어야한다. 이로 인해 가족 관계나 친구들과의
또는 그 외의 최소 두 가지 이상의 회적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쳐 사회적, 학업적, 업적 기능 임상적으로 심각 영향을
초래하는지 파악해야한다. 그리고 이러한 증상은 반적 발달
애, 정신분열증, 또는 기타 신증적 장애나 기분장애, 불안장애,
해리성장애, 인격장 등의 정신장애에서 비롯된 아니어
한다. 증상7세 이전에 있었고,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단할 있다. DSM-IV 기준에서 이런 항목들택에 근거
하여 ADHD를 세 가지의 주요 유형으류한다. 첫째, 주의력
부족 과잉 충동 행위 증상들 모두 나타나는 복합형으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아동들주의력이 없고 지나치게
적이 충동적이다. 둘째, 주의력 부족이 배적인 유형으로
상에 잘 빠지며, 울이지 않고, 쉽게 산만해지며, 주의력
부족하고, 경미한 학습 애를 는다. 셋째, 과잉행동-충동행위
지배적 형으로 바심을 며, 부산스럽고, 동적이며,
인내력이 부족하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증상렷하게 나타
나지 위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달리 분류되
않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not otherwise spe-
cified)로 포함하였다. 이로써 DSM-IV의 기준은 여성, 동기전
아동들, 인들의 포함을 증가시켜, ADHD의 유병률은 이전
DSM-III-개정판 3-5%에서 약 12%까지 증가하였14, 15)
.
일반적으로 아동이 ADHD라고 생각하만드요한
는 정상적인 지능을 지고 있으며 특별한 학습장애를 보이지 않
는데 불구하 학교에서의 성적이 현저하게 나쁘거나, 모와
가정환경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준보다 훨씬 더 형편없는 예기
않은 행동상의 문제를 보이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동들이
모두 ADHD는 아니ADHD와 유사한 행동으현될 수
는 많은 경우들이 있다16-21)
. 따라서 자세력청취와 신경학적
검사 포함한 면밀한 신체진찰 진단적검사를 통해 시각
청각장애, 갑상샘 기능저하증, 납중독 신체적 질병, 학습장
애, 경련, 염색체 이상, 정신지체, 발달장애, 뇌손상, 수면장애등
의 신경학적 질환, 다른 신장애, 환경적 요인 등을 감별해야 한
다(Table 2)22)
.
AD HD의 진단
ADHD 아동에서 나타나 핵심적인 증상은 과잉행동과 주의
산만인데, 이러 증상은 단지 ADHD뿐만 아니 다른 질병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937 -
Tabl e 1. Diagnostic Criteria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Either (1) or (2):
(1) Six (or more) of the following symptoms of inattention
have persisted for at least 6 months to a degree that is
maladaptive and inconsistent with developmental level:
Inattention:
(a) Often fails to give close attention to details or makes
careless mistakes in schoolwork, work, or other activities
(b) Often has difficulty sustaining attetion in tasks or play
activities
(c) Often does not seem to listen when spoken to directly
(d) Often does not follow through on instructions and fails
to finish schoolwork, chores, or duties in the workplace
(not because of oppositional behaviour or failure to un
-
derstand instructions)
(e) Often has difficulty organizing tasks and activities
(f) Often avoids, dislikes, or is reluctant to engage in tasks
that require sustained mental effort (e.g., schoolwork,
homework)
(g) Often loses things necessary for tasks or activities (e.g.,
toys, school adjustments, pencils, books, tools)
(h) Is often easily distracted by extraneous stimuli
(i) Is often foretful in daily activities
(2) Six (or more) of the following symptoms of hyperactivity
-
impulsivity have persisted for at least 6 months to a degree
that is maladaptive and inconsistent with developmental
level:
H yperactivity:
(a) Often fidgets with hands or feet or squirims in seat
(b) Often leaves seat in classroom or in other situations in
which remaining seated is expected
(c) Often runs about or climbs excessively in situations in
which it is in appropriate (in adolescents or adults, may
be limited to subjective feelings of restlessness)
(d) Often has difficulty playing or engaging in leisure acti
-
vities quietly
(e) Is often "on the go" or often acts as if "driven by the
a motor"
(f) Often talks excessively
Impulsivity:
(g) Often blurts out answers before questions have been
completed
(h) Often has difficulty awaiting turn
(i) Often interrupts or intrudes on others (e.g., butts into
conversations or games)
B. Some hyperactive-impulsive or inattentive symptoms that
caused impairment were present before age 7 years.
C. Some impairment from th symptoms is present in two or
more settings (e.g., at school〔or work〕and at home)
D. There must be clear evid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im
-
pairment in social, academic, or occupational functioning.
E. The symptoms do not occur exclusively during the course
of a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Schizophrenia, or
other Psychotic Disorder, Dissociative Disorder, or a Per
-
sonality Disorder.
Code based on type:
314.01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mbined
Type: if both Criteria A1 and A2 are met for the past
6 months
314.00 Attention-Deficit-Hyperactiv ity Disorder, Predomi
-
nantly Inattentiv e Type: if both Criterion A1 is met
but Criterion A2 is not met for the past 6 months
314.01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redomi
-
nantly Hyperactive-Impul sive Type: if Criterion A2
is met but Criterion A1 is not met for the past 6
months
Coding note: For individuals (especially adolescents and
adults) who currently have symptoms that no
longer meet full criteria, "In Partial Remission"
should be specified.
Fro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DSM-I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Table 2. Differential Diagnosis of ADHD
General medical conditions Neurologic conditions Environmental conditions Psychiatric conditions
Hearing impairment
Visual impairment
Medication effects (e.g., antihistamine
decongestants, beta agonists, anti
-
convulsants)
Asthma
Allergic rhinitis
Eczema
Enuresis*
Encopresis
Malnutrition (e.g., vitamin deficiency)
Hypothyroidism
Lead toxicity
Learning disability
*
Tic disorder
Seizure disorder
Mental retardation (e.g., fetal
alcohol syndrome, fragile
X syndrome, phenylketo
-
nuria)
Developmental delays
Brain injury
Sleep disorders
Improper learning environment
(e.g., unsafe, disruptive)*
Mismatch of school curriculum
with child' s ability (e.g., gi
-
fted, learning-disabled)
Family dysfunction or stressful
home environment*
Poor parenting (e.g., inappropri
-
ate, inconsistent, putative)*
Child neglect or abuse*
Parental psychopathology*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Conduct disorder*
Substance abuse
Anxiety*
Depressi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mon comorbid and associated conditions
Abbreviation :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H Eun and BL Eun
- 938 -
서 또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있는 동에서흔히 관찰될
있는 증상이다. 또한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은 수행 중인 활동에
대한 아동의 흥미 수준과 처한 상황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
기 때문에 부모에 따라 또는 부모와 교사 에 관찰한 내용
를 수 있고 여러 증상이 다양한 상황에일관되게 표현되
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ADHD의 진단은 장과 발
달, 질병의 거력, 사회력을 파악하 위한 부모면담, 발달수준
종합 증상을 판별하 위한 아동면담, 전반적인 체진찰
신경학적 검사 포함한 의학 평가, 인지평가, 부모 교사가
작성하는 행동 평가 척도, 운동 기능 등의 다양 진단적
도구들을 통해 이루어지며, 어느 한 지 검사로 진단할 수 없다.
1. 부모 아동 면담
부모와의 면담 통해 현재 문제 되고 있는 아동 증상
정도, 가정 환경, 발달력, 학교생활의 정도, 또래와 관계
등을 알고 아동의 문제가 다양한 상황에서 전반적으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부모가 떻게 대처하는지를 파악한다. 또한
아동과의 면담으로 아동의 동, 대인관계 양상, 어, 사회적인
기술 등을 관찰하여 단한다. 아동 면담을 때는 학교생
문제, 친구들과의 문제, 부모님과의 문제 별적이 구체적
으로 질문해야 한다. 그리고 이차적으 수 있는 불안, 우울,
희박 자아개념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 한다8).
2. 의학적 평가
아동 유전적인 배경, 임신과 출산기상황, 달력, 현재의
건강, 영양 상태, 감각 동의 발달 조사한다. 중요한 것은
치료 가능한 다른 의학적 상태와 ADHD를 별하는 것이다.
련성 질환, 특히 결신발작과의 감별이 필요하고, 갑상샘 이상 유
무, 납중독, 빈혈의 유무 확인이 요구된다. 또한 신경학적 검사, 전
반적 성장대한 평가, 시력 청력측정요하다21, 22).
3. 행동 평가 척도 ( Beha vioral Ra ting Scales)
ADHD 증상에 확증적 자료나 추가 자료를 보하는
데에 있어 다양한 기보고 보고자 척도가 개발되어
있고, 부모와 교사들의 체크리스트로 작성결과를 아동에
용할 있다. 이러도는 광범위한 ADHD 증상반영하는
간단 목록을 포함하 있으며, 이를 부모나 교사 읽어보고
적용되는 항목이나 증상을 체크하는 형식으성되어 있다. 쉽
게 사용할 수 있는 단축형 부모용 및 교사용 코너스 행동평
도(부록 1)는 10개 항으로 성되어 으며 문항은
음’, 약간’, ‘상당히, 아주 심함’ 단계평가하며 최근 4
동안 아동이 보인 행동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곳에 표시하여
0-3점으로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ADHD 아동 부모 가에서
16점, 교사 평가에서 17점 이상의 점수를 보인다. 이외에 정 및
학교 상황 설문지,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 평가 척도 등이 주
사용되는 설문지들로 각각 가정 학교라는 양한 상황
따른 아동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주의력 문제행동과
적응 능력을 평가하 ADHD 증상에 국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행동 특성들을 반적으 평가 있다. 일반적인
교사 질문지 ADHD를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
된다23, 24)
.
4. 심리 검사
1) 지기능검사
주의력은 아동 발달수준과 관련되 때문에 단지 부주의하
고 산만하다만으로 ADHD를 진단수 없고, 주의력 문제
및 학업성취도가 아동의 발달수준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인지기능검사 실시한다. 동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것은 아동 웩슬개인
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WISC)로
세계적으로 개인의 지적 기능에 대한 타당도가 높은 척도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사는 아동지적기능과 잠재력 대한
준을 세우기 위한 교육 심리검사 영역의 부분으로 실제
업성 반 등수와 비교할 수 있는 검사이다. 우리나라의 실정
맞게 표준화하여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 있는 것은
한국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WISC-III)로, 6세에서 16세 11개월에 해
당하는 아동들에게 실시할 수 있으며, 13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성 검사(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이해 숫자외우기)
동작성 검사(빠진 찾기, 호쓰기, 차례맞추기, 토막짜기,
모양맞추기, 찾기, 미로)로 구성되으며, 언어성 소검
동작소검사를 대로 시한다. 검사 평가 아동
지적 기능 잠재력과 실제 학업성취도가 현저한 이를 보이는
경우 ADHD를 의심할 수 있다. 지능검사의 하위 척도에서 ADHD
아동 주의 집중력이 요구되는 숫자외우기, 기호쓰기, 수학
의 항목에서 수행 성취도어진다. 동적인 경향능검사
의 이해 문제에도 영향을 주지만 모든 아동이 이런 결과를 보이
는 것은 아니므로 지능검사만으로 ADHD 진단을 내리기는 어렵
25, 26)
.
2) 평가
ADHD 아동은 동, 업, 사회 문제로 인해 우울과 불안
증상, 낮은 자존감 형성 및 여러 정서적 문제를 보일 수 다. 반
대로 불안이우울 등의 정서적 문제가 있는 경우 안절부절
거나 과제집중을 못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다. 따라정확
진단 위해아동 및 성격평가요하며, ADHD
동에 동반정서제에 대한 이해 아동치료
움이 27)
. 일반적으 실시되는 평가방법 집-무-
사, 가족화 검사, 주제통각검사, Rorschach 검사, 문장완
검사 등과 같은 투사적 심리검사 및 동용 우울증 평가척도,
모가 보고하는 한국아동인성검사, 아동청소년 평가척
행동평가질문지 있다.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939 -
5. 신경심리검사
1) 연속수행검사(continu ou s perfo rmance te st, CPT)
연속수행검사(CPT) ADHD의 임상적 단과 료효과
평가용되고 있는 도구ADHD 아동들이 주의산만
특성으로 인해 제시되는 표적 자극을 놓치고 충동적인 반응을 보
이며 검사 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력 결함을 정하는데 유용한 검사이다28)
. CPT는 제시되는 자극
의 형태와 , 자극의 제시 시간과 제시 간격, 목표자극과 목표
자극제시 비율, 전체시행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인다. 근에는 산화된 연속수행검사들 발되어 상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주의력 문제를 진단하는 표준
화된 구로 ADHD Diagnostic System(ADS) 사용되
있다29)
.
2) 더-게스탈트 사( bender-g es ta lt te st, BGT)
BGT는 지각-동 협응 능력의 성숙 정도와 행동을 계획하거
조직화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아동의 기질적 장애
를 진단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검사자료를 통해서 아동의
감정이나 욕구상태 행동특성을 알아보는 투사 검사로서의
역할 가능하30)
.
3) AD HD 진단에 사용되 경심리검사
같은 찾기(Matching Familiar Figure Test) 충동
인지 양식정하고, 집중력과 정신적 추적능력을 알아보
해 사용되는 선잇기(Trail Making Test), 상적 사고와 분류
억, 작업기억, 유연성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등이 ADHD
평가 도움을 있다.
ADHD 아동발달 수준과 상황 따라 다양한 행동을 보이
고, 상당수에서 학습, 기분, 대인 관계 등의 다양한 문제를 동반
하기 때문에 단순히 증상만으로 ADHD를 진단하는 은 어렵다.
따라 ADHD 동을 정확 진단하 위해서 주의력 사,
신경심리검사를 포함 개별적 심리검사와 함께 부모 교사
면담 행동 평가 척도 등을 이용괄적이다차원적인
가가 이루어져 한다.
AD HD의 원인
ADHD의 정확한 원인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대체
유전되어 나타나며 일부는 임신 및 출산시의 뇌손상, 영유
기의 심한 질병, 화학 독소 노출 다양 요인 의해서도
생하고, 부모와의 애착관계 등의 사회적 요인이 영향친다고
알려 있다.
1. 유전적 요인
전체 ADHD의 75%의 발생에 유전적 요인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유전적인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밝
혀져 있지 않다. 가장 관심 있게 연구되고 있는 도파민 운반체
수용 유전자 대한 분자 유전 구인데, ADHD는 전통적
유전질환의 모델이 아닌 유전- 요인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
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여러 색체 분이 ADHD 발생에
감수성을 가지는 유전자가지다고 예측되고 있지만 현재
까지 발병에 결정적으로 기여하하나전자는 밝혀지
다유전자성 요인에 의해 야기 것으 생각하고 있다31)
.
덧붙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검사(Positron Emission To-
mography, PET) 구에서 전두엽에서 신진대사가 감소함이 관
찰되어 전두엽의 억제 기제(inhibitory mechanism)저하로 그
결과 과잉 운동생하는 것으명하고 있으며, 생화학적으
로는 대뇌의 카테콜라민 대사 이상이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
32). 이러한 생화학적 가설은 ADHD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
있는 중추신경자극제가 결국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에 영향
주어 장애를 치료하 것이라는 해석 근거 것이다.
경영상학, 신경생리기 및 분자유전학의 발달이 ADHD 아동
평가 적용되 많은 연구가 시행되 있으나, 구마다
자 선정기준의 차이가 있고 특히 동반장애와 관련된 부분의
연구 결과를 비교 해석하는데 제한점 되고 다.
그러 재까지 과를 종합하면 ADHD는 유전적
증상이고, 뇌의 정상 조절 기능미세 문제 발생하며
분의 연구자들은 뇌에서 부적합행동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 전두엽 기저핵과의 경로에 생기 기능 장애
때문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부분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화학 물
질, 즉 신경 전달 물질의 수준에 불균형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
지고 있다33)
.
2. 환경적 요인
대략 20%의 ADHD 환자가 신기 출생 화학 독소나
신체 손상으로 인한 뇌손상 때문에 발생한다 생각되고 2)
.
임신 과다한 음주 흡연 납중독, 그리고 조기 산을
비롯 출생 전후의 여러 문제들이 련된다 알려져 있고,
식물의 부가제로 사용되고 는 색소나 향료들도 과잉 운동
이나 학습장애를 유발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리고 아동 자신이
납중독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 이것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34)
.
3. 사회적 요인
사회 요인 지로 ADHD 발생을 명할 수는 없지만,
부모와의 애착 형성과 상호 관계 및 그 밖의 환경적 요소가 아동
의 집중력과 자기 조절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ADHD 아동
폭력 학대, 부적절 부모와의 애착 관계 노출되 경우
증상 심화 있다.
공존장애 ( C omorbidity)
ADHD 동은 과잉행동과 동성, 의력결핍의 핵심
SH Eun and BL Eun
- 940 -
이외에 학습, 기분, 대인 관계 등에양한 문제를 지는 경우
가 많다. 흔히 동반되는 관련 증상 및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합병
증으로는 특정 학습 장애, 우울증 불안 장애, 적대적-반항
장애, 품행 장애, 틱 및 뚜렛 증후군, 동 조정 능력의 문제,
장애, 양극성 장애, 약물 남용 등이 있다35). 이러한 관련 문제들
ADHD 아동의 절반 상에서 관찰되며, 이러한 공존장애가 동반
되는 경우 치료훨씬 어렵고, 각각의 문제료가 필요
하므 흔히 나타나는 관련 증세 인식하는 중요하다.
AD HD의 치료
ADHD 동이 가지는 부주의, 과잉 행동 및 충동성의 증상들
조절뿐만 아니라 아동의 학업 성취, 사회 관계 가족
능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물치료
이에 상관없이 전 연령에 효과적이며 집중력을 높이고 과잉
을 억제하는 등 통제력을 가지게 하고 자기 중감을 회복해주
치료 결정적역할 한다. 그러 이러한 핵심 상의
이 교육이나 사회적 면을 모두 해결해주지는 못하므로 부모 및
가족 상담, 특수치료, 행동치및 정신치 등의 방법들
하여 적절한 양육이 루어지도록 지하고 교육해야한다.
1. 약물치료
현재까지 시도된 치료방법 중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중추신
자극제, 항우울제, α-2 효현제 여러 종류 약물 사용되
왔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가능한 약물은 추신경자극제
메틸페니데이트, 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에 대한 선택적 차단제
atomoxetine, 항우울제, 선택적 세로토흡수 차단제 등이
다(Table 3). 현재 단독 치료로 가장 율적인 방법으 알려
있으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 중추신경자극제이다36).
이러물은 뇌 신경세포의 시냅스에 작용하여 도파민, 세로토
등의 경전달물질의 신진대사 관여함으로써 불균형을
상화하는 용을 한다. 메틸페니데이트 대개 복용 후 30분 정
도 지나면 효과가 나타나시작하며 행동 및 학습에
과는 3-5시간 정도 지속되고 점차 효과가 저하되므로 아침
심에 복용해야 한다. 투약과 관련된 효과는 가정과 교실에서
이는 과잉행동과 안절부절못하는 행동의 감소, 충동성 감소,
의력, 집중력 및 단기기억능력의 향상, 불안정한 성향의 감소, 반
응빈도와 수준 그리고 갑자기 짜증내는 성향의 감소 등으로
져 있으며 최근에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되는 제형이 개발되어
활발 사용되 있다. 중추신경자극제의 복용으 비교적 흔하
게 나타나는 부작용은 입맛이 저하되거나 소화불량 증세 나타
나는 것이다. 대개 약물을 복용한 초기 또는 용량량시킨
우에 타나며 경과하 사라진다. 아동 자라서 물의
도움 없이도 자기 일에 집중해서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충동적
행동 의식적으로 조절 수 있게 되면 약물 거의 필요가
게 되며, 약물 복용은 적어1년에 한 번 정도 계속할중단
야 할지를 철저히 관찰하여 판단해야 한다. 중추신경자극제
용할 없는 우에 쓰이 항우울제에 삼환 항우울제,
택적 세로토재흡제제 등이 있으울증 또는 심한
안감 동반한 ADHD에서 과적이37).
2. 사회-심리 치료
1) 상담
아동의 지속적인 문제 행동으로 이차적으로 부모-녀관계
가족 관계 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상담을 통하여 이러동을
다루방법을 교육 하여 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비행 및
공격성을 비롯한 이차적인 증상들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고, 무엇
보다도 가정 내 비순종 행동을 현저하게 개선시켜 부모와의 갈등
을 감소,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는 보고가
다. 또한 종종 ADHD 아동의 부모 신이 비슷한 상을 가지는
경우 있어아동제를 잘 도와줄 으므로 상담을
파악해야 한다.
2) 육적 방법
ADHD 아동모든 자극에 반응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교
육을 받는 상황 이것 고려하여야한다. 일대일의 상황에서는
집중수도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적은 수의 학생이 포함
된 분위기가 바람직하다. 좌석치도 앞좌석으로 하여 산만한
행동 대하즉각적으 주의 할 수 있도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초기단계에서 학습시간을 짧게 자주하고, 서서히 학습
시간잡는 것이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특정학습장애
가지ADHD 아동의 경우습치료와 같은 전문적인 치료
개입 필요하다.
3) 지행동요법
긍정 또는 부정 강화법 많이 사용된다. 구체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행동의 목록을 만들어 아동과 미리 약
속을 하고 바람직 행동 나타났을 때에는 이에 대한 상을
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대하여는 벌을 주는 방법이다.
4) 리치
ADHD 아동은 흔히 이차적으로 우울증, 신감 결여, 인 관
계의 갈등과 같은 문제를 동반하며 이런 경우 개인심리치료가 필
요하다. 심리치료는 ADHD에 수반 제를 해결하는
도움 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지속적인 주의력결 잉행
동, 충동성에 관련된 증상들을 진단의 기준으로 하는 임상진단으
로 소아과 영역에서 교적 흔하지만 그리 심각하지 않게 인식
고 있는 질환이다. 그동안 신경생물학및 치료 부분에
당한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증상들
근거로 하는 임상진단으로 확한 발생 원인을 비롯한 본 질환
이해 위한 많은 연구가 구되는 환이기 하다. 전에는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941 -
Tabl e 3. Medications Used to Treat ADHD
Drug Dose
(mg/kg/day)
Daily dosage
schedule Main indications Common Adverse Effects and Comments
Stimulants
Methylpenidate,
immediated release
Methylpenidate,
extended release
NSRIs
Atomoxetine
Antidepressants
Tricyclics
Imipramine*
Desipramine*
Other antidepressants
SSRIs
Fluoxetine
Bupropion
1.0-2.0
1.0-2.0
0.5-1.4
2.0-5.0
2.0-5.0
0.3-0.9
3-6
2 or 3 times
1 or 2 times
1 or 2 times
1 or 2 times
1 or 2 times
1 time
2 times
ADHD
ADHD±comorbidity
ADHD
Enuresis
Tic disorder
OCD (clomipramine)
AD, dysthymia
OCD
Anxiety disorders
Eating disorders
ADHD
MD
Smoking cessation
Insomnia, decreased appetite, Depression, psychosis (rare,
with very high doses)
Increased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mild)
Possible growth reduction with long-term use
Withdrawal effects and rebound phenomena
Mechanism of action: noradrenergic-specific reuptake
inhibitor
Mild or moderate appetite depression
Gastrointestinal symptoms
Mild initial weight loss
Mild increase in blood pressure, pulse
Mixed mechanism of action: noradrenergic/serotonergic)
Narrow therapeutic index
Overdoses can be fatal
Anticholinergic effects: dry mouth, constipation, blurred
vision
Weight loss
Mild increase in diastolic pressure and ECG conduction
parameters with daily doses >3.5 mg/kg
Serotonergic mechanism of action
Large margin of safety
No cardiovascular effects
Irritability
Gastrointestinal symptoms
Headaches
Sexual dysfunction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s (cytochrome P-450)
Mixed mechanism of action (dopaminergic/noradrenergic)
Irritability
Insomnia
Drug-induced seizures at doses
> 6 mg/kg
*Doses are general guidelines and must be individualized with appropriated monitoring
Abbreviations :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CG, electrocardiogram; MD, mood disorder; NSRIs, norepinephrine
-
specific reuptake inhibitors; OC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SSRIs,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나이 들고 자라면 저절로 전된다 생각했으 장기간
추적 연구 통해 재는 지속되는 만성 태로 아동 가족의
전 생애에 심각한 사회 심리적 손상을 초래할 있는 질환임이
알려 있다. 따라서 진료를 당하고 소아청소년과
의사 세심한 관찰을 통해 렸을 단하므로써 주의,
잉 행동 및 충동성의 핵심 증상들의 조절과 함께 아동의 학업 성
취, 회적 관계 가족 개선을 포함한 포괄적인 치료를
조기 시작하 것이 중요하겠다.
References
1) Reiff MI, Banez GA, Culbert TP. Children who have atten-
SH Eun and BL Eun
- 942 -
tional disorders: diagnosis and evaluation. Pediatr Rev 1993;
14:455-65.
2) Barkley RA.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2nd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1998.
3) Polanczyk G, de Lima MS, Horta BL, Biederman J, Rohde
LA.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DHD: a systematic re-
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m J Psychiatry 2007;
164:942-8.
4) Schachar R, Taylor E, Wieselberg MB, Ghorley G, Rutter M.
Changes in family functioning and relationships in children
who respond to methylphenidat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87;26:728-32.
5) Still G. Some abnormal psychical conditions in children.
Lancet 1902;20:192.
6) Clements SD, Peters J. Task force one: Minimal brain dys-
function in the school aged child. Arch Gen Psychiatry
1962;6:185.
7) Blackman JA.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preschoolers. Does it exist and should we treat it? Pediatr
Clin North Am 1999;46:1011-25.
8) Palfrey JS, Levine M D, Walker DK, Sullivan M. The emer-
gence of attention deficits in early childhood: A prospective
study. J Dev Behav Pediatr 1985;6:339-48.
9) Wender PH, Reimherr FW, Wood DR. Attention deficit dis-
order ("minimal brain dysfunction") in adults. Arch Gen
Psychiatry 1981; 38:449-56.
10) Fischer M, Barkley RA, Edelbrock CS, Smallish L. The
adolescent outcome of hyperactive children diagnosed by
research criteria: II. Academic, attentional, and neuropsy-
chological status. J Consult Clin Psychol 1990;58:580-8.
1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80.
1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revis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87.
1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 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4.
14) Baumgaertel A, Wolraich ML, Dietrich M. Comparison of
diagnostic criteria for attention deficit disorders in a German
elementary school sample. J Am Acad Child Adolesc Psy-
chiatry 1995;34:629-38.
15) Wolraich ML, Hannah JN, Pinnock TY, Baumgaertel A,
Brown J. Comparison of diagnostic criteria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 county-wide sampl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319-24.
16) Hazell P. The overlap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other common mental disorders. J Paediatr
Child Health 1997;33:131-7.
17) Fletcher JM, Shaywitz SE, Shaywitz BA. Comorbidity of
learning and attention disorders. Separate but equal. Pediatr
Clin North Am 1999;46:885-96.
18) Barbaresi WJ. Primary-care approach to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ayo
Clin Proc 1996;71:463-71.
19) Accardo P. A rational approach to the medical assessment
of the child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 Clin North Am 1999;46:845-56.
20) Biederman J, Newcorn J, Sprich S.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conduct, depressive, an-
xiety, and other disorders. Am J Psychiatry 1991;148:564-77.
21)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chil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s
2000;105:1158-70.
22) Smucker WD, Hedayat M.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DHD. Am Fam Physician 2001;64:817-29.
23) LinksChen WJ, Faraone SV, Biederman J, Tsuang MT.
Diagnostic accuracy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scales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J Consult Clin Psychol 1994;62:1017-
25.
24) Conners CK. Rating scale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use in assessment and treatment monitoring. J
Clin Psychiatry 1998;59:24S-30S.
25) Snow JB, Sapp GL. WISC-III subtest patterns of ADHD and
normal samples. Psychol Rep 2000;87:759-65.
26) LinksNaglieri JA, Goldstein S, Delauder BY, Schwebach A.
Relationships between the WISC-III and the cognitive as-
sessment system with conners' rating scales and continuous
performance tests. Arch Clin Neuropsychol 2005;20:385-401.
27) Waxmonsky J.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with comorbid psychiatric
illness. Curr Opin Pediatr 2003;15:476-82.
28) Corkum PV, Siegel LS. Is the Continuous Performance Task
a valuable research tool for use with children with Atten-
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Child Psychol Psy-
chiatry 1993;34:1217-39.
29) Shin MS, Cho SZ, Chun SY , Hong KE. A study of the de-
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ADHD diagnostic system.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0;11:91-9.
30) Bender L. A visual motor gestalt test and it' s clinical use.
New York: American Orthopsychiatric Association;1932.
31) Acosta MT, Arcos-Burgos M , Muenke M.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omplex phenotype, simple
genotype?". Genetics in Medicine 2004;6:1-15.
32) Zametkin AJ, Liebenauer LL, Fitzgerald GA, King AC,
Minkunas DV, Herscovitch P, et al. "Brain metabolism in
teenager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1993; 50;333-40.
33) Solanto MV. Dopamine dysfunction in AD/HD: integrating
clinical and basic neuroscience research. Behav Brain Res
2002;10:65-71.
34) Tuthill RW. Hair lead levels related to children' s classroom
attention-deficit behavior. Arch Environ Health 1996;51:214-
20.
35) Pliszka S. "Patterns of psychiatric comorbidity with atten-
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orth Am 2000;9:525-40.
36) Jensen PS, Garcia JA, Glied S, Crowe M, Foster M, Schlan-
der M, et al. "Cost-effectiveness of ADHD treatments:
findings from the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children
With ADHD". Am J Psychiatry 2005;162:1628-36.
37) Oades RD. Role of the serotonin system in ADHD: treatment
implications. Expert Rev Neurother 2007;7:1357-74.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943 -
부록 1. Conners Abbreviated Rating Scale
관찰된 행동
전혀 없음 약간 상당히 아주 심함
1. 차분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활동적이다.
2. 쉽게 분하고 충동적이다.
3. 다른 이들에게 방해가 된다.
4. 한번 작한 일을 끝내지 못하고 주의 집중시간이 짧다.
5. 안절부절못한다.
6. 주의력이 없고 쉽게 주의분산이 된다.
7. 요구하는 것을 금방 들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좌절한다.
8. 자주, 쉽게 울어버린다.
9. 금방 분이 변한다.
10. 화를 터뜨리거나 쉽게 감정이 격해지고 행동을 예측하기 렵다.
Article
Full-text availabl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s been associated with impairments in frontal inhibitory function and the catecholaminergic system. ADHD is diagnosed in 3-5% of children. Children with ADHD seem develop various forms of urinary problems such as nocturnal enuresis, dysfunctional voiding, and diurnal incontinence. However, no data exist to confirm the presence of these problems in Korean children with ADHD.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findings of voiding dys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Artic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parent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hildren in relationship to treatment compliance.
Article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being affect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reaching a very serious level. A method to help children with attention-related conditions such as ADHD without depending on drugs is required. In this context, the necessity for research on means of improving attention through the use of computer games, loved by children,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Therefore, in this study, research on variables that enable the measurement of attention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angible games to improve attention while children are playing these types of games by moving their bodies is done. First, measurement variables are selected based on a survey of existing attention measurement methods in a computer environment. Experimental research is then conducted to find i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s and normal children can be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 selected measurement variables in the tangible game environment. Those variables are omission error, commission error, average response time, and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According to the results, four variables are confirmed to be usable to measure and assess attention in the tangible game to b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th these experimental results, a 3D tangible game that improves children’s attention level can be developed.
Article
Full-text available
Backgrou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caused by multiple risk factors and accompany many problem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childhood obesity with ADHD and to know the related factors of ADHD. Methods: In 2006, 427 students in fourth grade were recrui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Gwangmyeong city.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and children's weight status was classified as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using the age and gender-specific BMI established by Korean Academy of Pediatrics. The Korean abbreviated Conners' parent rating scale (ACRS) was used to measure the ADHD state. Results: The obesity rate was higher in ADHD group than in non-ADHD group (P = 0.005).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core (CDI score) of ADH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on-ADHD group (P = 0.003). In ADHD group, there were many cases where students were looked after by members of the family other than the parents after school (P = 0.01). ADHD group had a tendency to have breakfast heavily (P = 0.01).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parents of ADHD group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ADHD group (P = 0.03), and the fathers of ADHD group tend to have night eating syndrome (P = 0.003). Conclusion: The ADH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and was likely to be more depressive and had different life styles than non-ADHD group.
Article
Thi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the assessment and diagnosi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is guideline, the first of 2 sets of guidelines to provide recommendations on this condition, is intended for use by primary care clinicians working in primary care settings. The second set of guidelines will address the issue of treatment of children with ADHD. The Committee on Quality Improvement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elected a committee composed of pediatricians and other experts in the fields of neurology, psychology, child psychiatry, development, and education, as well as experts from epidemiology and pediatric practice. In addition, this panel consists of experts in education and family practice. The panel worked with Technical Resources International, Washington, DC, under the auspices of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to develop the evidence base of literature on this topic. The resulting evidence report was used to formulate recommendations for evaluation of the child with ADHD. Major issues contained within the guideline address child and family assessment; school assessment, including the use of various rating scales; and conditions seen frequently among children with ADHD. Information is also included on the use of current diagnostic coding strategies. The deliberations of the committee were informed by a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 about prevalence, coexisting conditions, and diagnostic tests. Committee decisions were made by consensus where definitive evidence was not available. The committee report underwent review by section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nd external organizations before approval by the Board of Directors. The guideline contain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of ADHD: 1) in a child 6 to 12 years old who presents with inattention, hyperactivity, impulsivity, academic underachievement, or behavior problems, primary care clinicians should initiate an evaluation for ADHD; 2) the diagnosis of ADHD requires that a child meet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criteria; 3) the assessment of ADHD requires evidence directly obtained from parents or caregivers regarding the core symptoms of ADHD in various settings, the age of onset, duration of symptoms, and degree of functional impairment; 4) the assessment of ADHD requires evidence directly obtained from the classroom teacher (or other school professional) regarding the core symptoms of ADHD, duration of symptoms, degree of functional impairment, and associated conditions; 5) evaluation of the child with ADHD should include assessment for associated (coexisting) conditions; and 6) other diagnostic tests are not routinely indicated to establish the diagnosis of ADHD but may be used for the assessment of other coexisting conditions (eg, learning disabilities and mental retardation). Thi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s not intended as a sole source of guidance in the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DHD. Rather, it is designed to assist primary care clinicians by providing a framework for diagnostic decisionmaking. It is not intended to replace clinical judgment or to establish a protocol for all children with this condition and may not provide the only appropriate approach to this problem.
Article
For many years it has been the custom among child guidance workers to attribute the behavioral and learning deviations seen in children almost exclusively to the rearing patter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xperienced by such youngsters. We, as well as an increasing number of clinical child workers, feel that when evaluating a disturbed child, we must search as carefully among the myriad possibilities of organic causation as we have in the past among the interpersonal, deprivation, and stress factors; and certainly without sacrificing the important knowledge which has accumulated in the latter areas. In many clinics, it has become habitual to assume psychogenicity when no easily recognizable organic deviation can be found in the child. Undoubtedly this has been due, in part, to the difficulty in delineating the contribution to symptomatology and personality structure of subtle organic and central nervous system deviations, and to the
Article
• This study replicated an earlier one dealing with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ADD, or minimal brain dysfunction) in adults. Subjects who met provisional operational criteria for adult ADD were entered in a randomassignment, parallel, double-blind trial of placebo and pemoline, a noneuphorigenic psychostimulant drug effective in children with ADD. There was improvement in both the pemoline group and the placebo group, but the difference in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analyses were confined to that subgroup of patients whose parents had described them in the 95th percentile of childhood "hyperactivity" or when the hyperactivity score was partialled out statistically, pemoline was demonstrably more effective than placebo. Revised operational criteria for adult ADD are proposed.
Article
Objectives: We sought to obtain and compare values of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n normal minors and minor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e also sought to confirm our earlier findings of reduced brain metabolism in adults with ADHD,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results might be diagnostically useful. Design: Case-control study. Setting: Adolescents were recruited to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Center/Research Facility through advertisement at local high schools and ADHD organizations. Patients: Subjects were 10 normal adolescents and 10 adolescents with ADHD diagnosed with structured interviews using DSM-III-R criteria. Main Outcome Measures: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fludeoxyglucose F18 were used to study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n minors while they performed an auditory-attention task. Results: Global or absolute measures of metabolism did not statistically differ between groups, although hyperactive girls had a 17.6% lower absolute brain metabolism than normal girls. As compared with the values for the controls, normalized glucose metabolism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six of 60 specific regions of the brain, including an area of the left anterior frontal lobe (P<.05). Lower metabolism in that specific region of the left anterior frontal lobe was significantly inversely correlated with measures of symptom severity (P<.001-.009, r=—.56 to —.67). Conclusions: Global or absolute measures of metabolism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fludeoxyglucose F18 did not statistically differentiate between normal adolescents with ADH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s can be performed and are well tolerated by normal teenagers and teenagers with ADHD. The feasibility of normal minors participating in research involving radiation was established.
Book
Recent years have seen tremendous advances in understanding and treat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Now in a revised and expanded third edition, this authoritative handbook brings the field up to date with current, practical information on nearly every aspect of the disorder. Drawing on his own and others' ongoing, influential research - and the wisdom gleaned from decades of front-line clinical experience - Russell A. Barkley provides insights and tools for professionals working with children, adolescents, or adults. Part I presents foundational knowledge about the nature and developmental course of ADHD and its neurological, genetic, and environmental underpinnings. The symptoms and subtypes of the disorder are discussed, as are associated cognitive and developmental challenges and psychiatric comorbidities. In Parts II and III, Barkley is joined by other leading experts who offer state-of-the-art guidelines for clinical management. Assessment instruments and procedure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expanded coverage of adult assessment. Treatment chapters then review the full array of available approaches - parent training programs, family-focused intervention for teens, school- and classroom-based approache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pharmacotherapy - integrating findings from hundreds of new studies. The volume also addresses such developments as once-daily sustained delivery systems for stimulant medications and a new medication, atomoxetine. Of special note, a new chapter has been added on combined therapies. Chapters in the third edition now conclude with user-friendly Key Clinical Points. This comprehensive volume is intended for a broad range of professionals, including child and adult clinical psychologists and psychiatrists, school psychologists, and pediatricians. It serves as a scholarly yet accessible text for graduate-level courses. Note: Practitioners wishing to implement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in the Handbook are advised to purchase the companion Workbook, which contains a complete set of forms, questionnaires, and handouts, in a large-size format with permission to photocopy. (PsycINFO Database Record (c) 2012 APA, all rights reserved)(jac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