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DF Available

Quickert Suture Using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for Lower Lid Entropion

Authors:
1739
대한안과학회지
2014
년 제
55
권 제
12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1739-1744
pISSN: 0378-6471
eISSN: 2092-9374
http://dx.doi.org/10.3341/jkos.2014.55.12.1739
Original Article
아래눈꺼풀속말림 환자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개선된 퀴커트 봉합술
Quickert Suture Using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for Lower Lid Entropion
고윤주
김호창
Youn Joo Ko, MD, Ho Chang Kim, MD, PhD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yeongju, Korea
Purpose: To introduce the modified Quickert suture for lower lid entropion, using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Methods: From October, 2011 to June, 2012, a total of 11 patients (12 eyes) with lower lid entropion, in poor general condition
or who did not want extensive surgery, were recruited for the present surgery. Three small skin incisions were made at the me-
dial, central, and lateral areas, just below the lower cilia. With double armed 6-0 nylon, each needle was inserted in the inferior
conjuctival fornix and the 2 ends of the suture were tied and buried at the point of the skin incision site. Sutures were made at the
medial, central and lateral areas.
Results: The patients consisted of 4 males and 7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71.3 ± 8.4 years (54-82 years).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the patients for an average of 13.9 ± 2.4 months postoperatively. All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utcome,
and there were no recurrences.
Conclusions: Quickert suture is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correcting lower lid entropion by inducing scar formation with
absorbable suture materials, but the effect duration is limited. Because the modified Quickert suture utilizes its own tension with
a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the effect lasts as long as the suture material remains. It is a useful and practicable method for
patients, in poor general condition or not wanting extensive surgical procedur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1739-1744
Key Words: Entropion,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Quickert suture
Received: 2014. 4. 18. Revise d: 2014. 6. 5.
Accepted: 2014. 11. 5.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o Chang Ki m, MD ,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ongguk University Gyeongju
Hospital, #87 Dongdae-ro, Gyeongju 780-350, Korea
Tel: 82-54-770-8256, Fax: 82-54-772-9618
E-mail: ophho@hanmail.net
* This study was presented as a narration at the 110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3.
2014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
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눈꺼풀속말림은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눈꺼풀테가 안구
방향으로 말려들어가는 질환으로
,
각막과 결막에 손상을
유발하여 안구 통증 불편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있다
.
눈꺼풀속말림은 발생원인에 따라 선천성
,
연축성
,
퇴행성
,
반흔성의 네 가지로 분류할 있다
.
눈꺼풀속말림
은 대부분 수술적인 교정을 필요로 하며
,
그 원인과 정도에
따라 퀴커트 봉합술과 같은 눈꺼풀 외번술
,
아래눈꺼풀당
김기 재부착술
,
가쪽눈꺼풀판띠조정술
,
눈꺼풀판골절술
,
꺼풀후층판 이식술 등의 다양한 수술법이 있다
.1
퀴커트 봉합술은
Quickert and Rathbun2
소개한 눈꺼
외번술로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사 주위에
긴 섬유성 반흔으로 안와사이막앞 눈둘레근의 수직 이동을
막아 눈꺼풀속말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
간단한 술기로
치료효과를 볼 있으나
,
그 효과가 일시적이고 재발이
다고 알려져 있어 시간이 지나면 호전될 있는 연축성
1740
- 대한안과학회지 2014년 제 55 권 제 12 호 -
Figure 1.
Schematic diagram of our modified Quickert suture using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Three sm all skin incisions are
made (A ). Cross section view of the lower eyelid. E ach needle of double-armed 6-0 nylon is inserted in the inferior conjuctival for-
nix and the two ends of the suture are tied and buried at the point of the skin incision site (B). Quickert suture was done at the medial,
central, and lateral skin incision site and the incised skin was sutured (C ).
꺼풀속말림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
퇴행성이나 반흔성
눈꺼풀속말림에는 지속 기간이 짧은 퀴커트 봉합술은 적합
하지 않고 오랜 치료효과의 지속을 기대할 있는 다른
술적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술자들이 지배적이다
.1,3-6
하지만 수술실에서의 복잡한 처치를 원하지 않는 환자나
전신상태가 좋지 않거나
,
항응고제의 복용 중단이 힘든
자에서 시간이 필요한 수술방법은 적합하지 않다
.
이에
저자들은 수술시간이 짧고 간단한 방법으로 쉽게 시행할
있는 기존의 퀴커트 봉합술의 장점을 이런 환자들에게
적용하고자 하였고
,
지속 기간이 짧고 재발이 많은 기존의
퀴커트 봉합술의 개선을 위해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퀴커트 봉합술을 시도하여 결과를 알아보았다
.
대상과 방법
2011
10
월부터
2012
6
월까지 아래눈꺼풀속말림으로
본원 안과를 내원한 환자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커트 봉합술을 시행 받은
1
이상 추적관찰을 하였던
11
, 12
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
퇴행성과 연축성 그리고 반흔성 아래눈꺼풀속말림으로
진단받았거나 이전에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퀴커트
봉합술을 시행 받았으나 눈꺼풀속말림이 재발한 환자
,
환자의 전신 상태가 좋지 않거나 수술실에서의 복잡한
술적 처치를 원하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선천성
눈꺼풀속말림환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반흔성 아래눈
꺼풀속말림의 경우
,
눈꺼풀판 결막에 미미한 정도의 흉터
수축이 있으면서 눈꺼풀테의 뒤쪽 모서리가 약간 말린
모양으로 점막피부경계가 정상보다 약간 앞에 위치하는
꺼풀테속말림
(Marginal entropion)
정도의 경한 환자를
상으로 국한하였고 심한 반흔성 아래눈꺼풀속말림 환자
들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퀴커트 봉합술 이외에 다른
가적인 수술을 받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
수술방법은 다음과 같다
. 1:100,000 epinephrine
이 혼합된
2% lidocaine
을 아래눈꺼풀 피하와 아래결막구석에 주사하
여 마취한 아래속눈썹
2-3 mm
아래 피부에
2 mm
크기
수평한 피부절개를 안쪽
,
가운데
,
가쪽의
3
군데에 시행
하였다
(Fig. 1A).
비흡수성 봉합사인
double armed 6-0 ny-
lon
으로 각각의 바늘이 아래 눈꺼풀판아래 결막구석으로
들어가서 아래눈꺼풀당김기 복합체를 통과하고 아래눈꺼
풀 앞쪽의 피부절개부위로 나오도록 통과시킨 후 피부절개
부 아래에서 개의 봉합사의 양끝을
3-1-1
의 외과적 봉합
술로 서로 묶어주었다
(Fig. 1B).
이러한 봉합을 안쪽
,
가운
,
가쪽 피부절개부의
3
군데에 시행하였으며
,
봉합 매듭부
위가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피부절개부 아래로 매몰시
피부절개부위를 같은 봉합사를 이용하여 단순 단속
봉합하였고
(Fig. 1C), 1
피부봉합사를 제거하였다
.
술 후
1
주간 항생제
/
스테로이드 혼합 연고
(Maxitrol, Alcon
Co.)
아래눈꺼풀에 하루
4
도포하였으며
,
1
개월
1
간격
, 6
개월까지는
2
개월 간격
,
이후로는
3
개월
간격으로 경과관찰하였다
.
결과
11
(
남자
4
,
여자
7
), 12
안을 대상으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퀴커트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71.3 ± 8.4
(54-82
)
였고
,
평균 추적관찰기간
13.9 ± 2.4
개월
(12-20
개월
)
이었다
.
대상환자 퇴행성
아래눈꺼풀속말림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4
(36.4%)
이었고
A B C
1741
-고
김호창 :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퀴커트봉합술 -
Table 1.
Patients’ characteristics
Patient Age (years) Sex Side Entropion subtype Follow-up time
(months)
1 81 Male Right Involutional 12.0
2 73 Female Left Spastic & cicatricial (marginal) 14.0
3 54 Male Right Spastic 12.0
4 66 Female Right Spastic 16.0
5 75 Female Left Involutional 12.0
6 60 Female Right Spastic 13.0
7 66 Male Left Involutional & cicatricial (marginal) 16.0
8 74 Male Right Involutional 14.0
9 82 Female Left Involutional 12.0
10 75 Female Right Involutional & spastic 12.0
11 78 Female Both Involutional & cicatricial (marginal) 20.0
Total 71.3 ± 8.4 13.9 ± 2.4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unless otherwise indicated.
Figure 2.
Postoperative skin dimpling. Slit lam p photographs of a 73 years old fem ale patient who had spastic and cicatricial
(marginal) entropion because of herpetic keratoconjunctivitis. Six m onths after post-modified Q uickert suture using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A). Twelve months after post-modified Quickert suture using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B). Postoperative
skin dimpling gradually improved during the follow up period.
연축성 아래눈꺼풀 속말림이
3
(36.4%),
퇴행성과 연축성
아래눈꺼풀속말림이 동반된 경우가
1
(9.1%)
이었으며
,
행성과 경한 반흔성 아래눈꺼풀속말림이 동반된 경우가
2
(18.2%),
연축성과 경한 반흔성 아래눈꺼풀속말림이
반된 경우가
1
(9.1%)
이었다
.
퇴행성과 경한 반흔성이
반된 아래눈꺼풀속말림 환자
1
(9.1%)
경우 이전에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퀴커트 봉합술을 시행 받았으나
재발한 환자였다
(Table 1).
수술 후 모든 환자에서 아래눈꺼풀 속말림이 해결되었고
1
이상 추적관찰기간 동안 아래눈꺼풀속말림의 재발은
없었다
.
모든 환자에서 감염이나 출혈
,
봉합사 풀림
,
속발성
눈꺼풀겉말림과 같은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
대부분의
환자에서 수술 부위의 반흔은 관찰되지는 않았으나
, 3
(27.3%)
환자에서 봉합부위 피부의 함몰이 발생하였다
.
피부 함몰은 추적관찰기간 동안 점차 호전되는 소견을
였다
(Fig. 2).
봉합부위 피부의 함몰이 발생한 환자
3
두 함몰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처치나 퀴커트 봉합사의
거를 원하지 않아 재수술을 시행하지는 않았다
.
고찰
눈꺼풀속말림이란 눈꺼풀테가 안구 방향으로 말려들어
가 피부와 속눈썹에 의해 각막과 결막에 자극과 손상을
발하는 질환으로 발생 원인에 따라 선천성
,
연축성
,
퇴행성
,
반흔성의 가지로 분류할 있다
.1
퇴행성 눈꺼풀속말림은 아래 눈꺼풀에서만 발생하고
,
환자에서 주로 관찰되며
,
아래눈꺼풀당김기의 약화
부착부 파열
,
눈꺼풀의 수평이완
,
안와사이막앞 눈둘레
A B
1742
- 대한안과학회지 2014년 제 55 권 제 12 호 -
근의 연축과 상방이동 같은 여러 해부학적 원인에 의해
생한다고 알려졌다
.1,7
퇴행성 눈꺼풀속말림의 치료는 발생
요인들을 수술적으로 교정하는 것으로 아래눈꺼풀당김기
재부착술
,
가쪽눈꺼풀판띠조정술
,
피부눈둘레근절제술
행해지고 있다
.3,5,6
반흔성 눈꺼풀속말림은 결막의 반흔이나 눈꺼풀 뒤층판
의 수직방향으로의 단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트라코마
,
화상
, Stevens-Johnson
증후군
,
외상 등 결막에 흉터를 일으
키는 모든 질환이 원인이 있다
.1,8,9
반흔성 눈꺼풀속
말림의 교정을 위한 수술은 정도에 따라 경도에서 중등도
반흔성 눈꺼풀속말림의 경우에는
Wies procedure,
눈꺼
풀층판분리술
, Tenzel procedure,
눈꺼풀판골절술 등의
술방법이 이용되어 왔고
,
심한 반흔성 눈꺼풀속말림의
우에는 여러 가지 이식편을 이용한 눈꺼풀후층판 이식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8-10
연축성 눈꺼풀속말림은 전안부 외상이나 수술
,
안구나
눈 주위의 염증과 같은 자극에 의한 지속적인 눈꺼풀 찡그
림이 눈둘레근의 과도한 수축을 유발하여 눈꺼풀테를 안구
쪽으로 밀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아래눈꺼풀의 수평이완이
아래눈꺼풀당김기의 이완 같은 퇴행성 아래눈꺼풀속말
림의 유발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자주 발생한다
.1
대개
일시적으로 안구자극이 없어지면 좋아지는 경우가 많고
술적으로는 퀴커트 봉합술이 널리 이용된다
.
퀴커트 봉합술은
2-3
개의 수평회전봉합을 이용하여 아래
눈꺼풀당김기를 강화시키고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합사 주위에 생긴 섬유성 반흔으로 안와사이막앞 눈둘레근
수직 이동을 막아 아래 눈꺼풀속말림을 해결하는 술기
1971
년에
Quickert and Rathbun2
의해 처음 소개되었
으며
,
그 술기가 간단하며 복잡한 수술적 교정 없이 불필요
한 정상 눈꺼풀 조직을 희생하지 않고 아래눈꺼풀속말림을
교정할 있다는 장점이 있어 항응고제를 중단하기 힘든
환자나 복잡한 수술적 처치를 원하지 않는 환자에서 효과
적이다
.1,7 Quickert and Rathbun2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
눈꺼풀외번술을 보고한 이후로 퀴커트 봉합술의 재발률
은 여러 저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 Wright et al11
은 퇴행성 눈꺼풀속말림
62
안에 대퀴커트 봉합술을 시행
하여
48
개월 이내
15%
재발을 보고하였으며
, Scheepers
et al12
퇴행성 눈꺼풀속말림에서
18
개월의 경과관찰기간
동안
21%
재발률을 보고하였다
. Tsang et al13
퇴행성
눈꺼풀속말림 환자
28
, 34
안을 대상으로 하여 비흡수성
봉합사인
5-0 silk
이용하여 눈꺼풀외번술을 시행한
2-6
뒤에 봉합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13
개월의 경과관
찰기간 동안
11.8%
의 재발률을 보고하였고
,
술 후 평균
9
월째에 재발하였다
.
국내에서는
Bae et al7
이 퇴행성 눈꺼풀
속말림 환자
132
명을 대상으로 하여
23%
의 재발을 보고하
였고 평균 재발기간은
9.1
개월이었다
.
저자들은 심한 반흔
눈꺼풀 속말림과 같이 퀴커트 봉합술로는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를 제외하고 퇴행성
,
연축성
,
경한 반
흔성 눈꺼풀 속말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비흡수성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 아래에 봉합 매듭을 매
몰시키는 방법은 미용적인 목적으로 위눈꺼풀 비절개 쌍꺼
풀성형술에 사용되었다
.
위눈꺼풀 비절개 쌍꺼풀성형술은
수술시간이 짧고 술기가 간단하며 통증이 적고 회복
도 빠르다
.
또한 반흔이 적고 재발 시에 절개법으로 재수술
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4
비절개 쌍꺼풀성형술의 재발
률을 살펴보면
Chi et al14
39
명을 대상으로 비절개 쌍꺼
풀성형술을 시행하여
6
개월 동안의 추적관찰기간 동안
5.1%
재발률을 보고하였고
, Zhang et al15
90
174
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4
년 이상의 경과관찰 동안 쌍꺼풀의
소실이 없었음을 보고하였다
.
저자들은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위눈꺼풀 비절개 쌍
꺼풀의 장점을 퀴커트 봉합술에 적용하여 비흡수성 봉합사
이용한 퀴커트 봉합술을 시도하였다
.
비록 흡수성 봉합
사를 이용한 기존의 퀴커트 봉합술에서 봉합사가 흡수된
봉합사 주위의 반흔형성에 의해 치료효과가 유지되는
것보다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사 자체의 장력이
유지되는 동안 오랜 기간 아래눈꺼풀속말림 치료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기대하였고 봉합을
3-1-1
외과적 봉합술
시행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봉합사가 풀리는 것을 예방
하려 하였다
.
실제로
11
12
안 모두에서
12
개월의 경과관
찰기간 동안 눈꺼풀속말림이 재발하지 않았다
.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퀴커트 봉합술에서 피부 절개
부위의 반흔형성은 모두에서 발견되지 않았으나
, 3
(27.6%)
환자에서 퀴커트 봉합부위의 피부 함몰이 발생하였다
.
피부 함몰은
12
개월 후에도 남아있었지만 관찰기간 동안
점차 호전되었으며 눈꺼풀속말림의 치료효과는 유효하였
환자가 피부함몰의 적극적 해결을 원하지 않아서 재수
술을 시행하거나 봉합사를 제거하지는 않았다
.
이번 연구
대상으로 환자들이 대부분 고령이고 미용적인 측면
중요시하기보다는 간단한 시술로 눈꺼풀속말림의 치료
원하는 환자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술을 시행
할 적절한 대상을 선택하는 것이 요구되며
,
환자가 피부
몰의 해결을 원할 시에는 작은 절개만으로 간단하게 봉합
사를 제거함으로써 피부함몰의 해결이 가능하다
.
이 시술은 비록 여러 종류의 눈꺼풀속말림에서 간단하게
시도하여 치료효과를 기대할 있으나
,
심한 반흔성 눈꺼
풀속말림과 같이 기존의 퀴커트 봉합술로는 치료효과를
대하기 어려운 정도의 눈꺼풀속말림에는 적용하기 힘들다
1743
-고
김호창 :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퀴커트봉합술 -
제한점이 있다
.
또한
,
연구는 증례의 수가 적어 성공
률에 대한 정확한 산출이 어렵고
,
대상 환자 모두에서
12
이상 경과관찰을 시행하여 재발이 없었지만
,
이상의
장기간의 경과관찰이 시행되지 않아 평균적인 치료효과의
지속기간과 장기간 경과관찰에 대한 재발 합병증에
자료가 부족하다는 제한점이 있다
.
그러므로 추후 다수
대상으로 전향적이고 장기적인 재발률
,
합병증에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저자들의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술기가 간단
하다는 기존의 퀴커트 봉합술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기존의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
한 퀴커트 봉합술보다 긴 치료효과의 지속을 기대할
다는 장점이 있다
.
이에 여러 원인의 아래눈꺼풀속말림으
고통받는 환자에서
,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장시간의
술이 어려운 경우나 수술실에서의 복잡한 수술적 처치를
원하지 않는 경우
,
진료실이나 입원실에서 일차적으로
단하게 시도해 보기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
REFERENCES
1) Pereira MG, Rodrigues MA, Rodrigues SA. Eyelid entropion.
Semin Ophthalmol 2010;25:52-8.
2) Quickert MH, Rathbun E. Suture repair of entropion. Arch
Ophthalmol 1971;85:304-5.
3) Kim SW, Lee WS, Rho JH. Lateral tarsal strip procedure combined
with Quickert sutures in correcting involutional entrop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213-8.
4) Ahn Y, Kang IS. Correction of involutional entropion by the
amount of lower eyelid laxity. J Korean Ophthalmol Soc 1999;
40:596-602.
5) Ha JK, Kim YS, Sohn MA. Surgical treatment of sensile entropi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8;39:631-6.
6) Kim JY, Kim YD. Surgical correction of senile entropi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2;33:1015-20.
7) Bae SH, Kim MJ, Choi YJ, Kim SJ. The effect of involutional en-
tropion surgery: Quickert-Rathbun suture.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1103-7.
8) Kang SH, Kim YD. Management of severe cicatricial entropion us-
ing shared nasal turbinate mucosal graft. J Korean Ophthalmol Soc
2002;43:2335-40.
9) Goldberg RA, Joshi AR, McCann JD, Shorr N. Management of se-
vere cicatricial entropion using shared mucosal grafts. Arch
Ophthalmol 1999;117:1255-9.
10) Paik HJ, Lee TS. The effects of tenzel operation on cicatricial
entropi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3;34:943-9.
11) Wright M, Bell D, Scott C, Leatherbarrow B. Everting suture cor-
rection of lower lid involutional entropion. Br J Ophthalmol
1999;83:1060-3.
12) Scheepers MA, Singh R, Ng J,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everting sutures with everting sutures and a lateral tar-
sal strip for involutional entropion. Ophthalmology 2010;117:352-5.
13) Tsang S, Yau GS, Lee JW, et al. Surgical outcome of involutional
lower eyelid entropion correction using transcutaneous everting
sutures in Chinese patients. Int Ophthalmol 2014;34:865-8.
14) Chi MJ, Park MS, Choi YJ, Baek SH. The effect of nonincisional
double fold formation using three small incisions, two-stitch
method. J Korean Ophthalmol Soc 2006;47:505-11.
15) Zhang MY, Yang H, Ding SL, et al. Construction of a double eye-
lid: an uncut strip of orbicularis removed through three mini-
incisions. Aesthetic Plast Surg 2013;37:22-8.
1744
= 국문초록 =
아래눈꺼풀속말림 환자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개선된 퀴커트
합술
목적:
아래눈꺼풀속말림 환자를 대상으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Quickert 봉합술(퀴커트 봉합술)을 시도하고 이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1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여러 원인의 아래눈꺼풀속말림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복잡한 수술적 치료를 원하지
않거나 전신상태 저하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기 어려운 환자 11명, 12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래눈꺼풀 속눈썹 바로 밑 안쪽, 가운
데, 가쪽 3곳에 수평 방향의 소절개를 시행하고, 비흡수성 봉합사(double armed 6-0 nylon)를 용하여 두 개의 바늘을 아래결막구
석에서 피부 절개를 실시한 부위로 나오게 통과시켜 묶은 후 그 매듭을 피부 절개부위 아래로 매몰시켰다. 이러한 봉합을 안쪽, 가운
데, 가쪽 3군데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71.3 ± 8.4세(54-82세)였고 남자 4명, 여자 7명이었다. 수술 후 평균 13.9 ± 2.4개월간 경과관찰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아래눈꺼풀속말림이 해결되었고, 추적관찰기간 동안 재발은 없었다.
결론:
퀴커트 봉합술은 그 술기로 간단하나 효과가 일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저자들이 시도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방법은
봉합사 자체의 장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력이 유지되는 동안 그 효과가 지속되어 장기간의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수술적 치료를 원하지 않거나 전신상태가 나빠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기 어려운 환자들을 대상으로 입원실이나 외래에서 일차적으로
간단하게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4;55(12):1739- 1744>
- 대한안과학회지 2014년 제 55 권 제 12 호 -
Article
Full-text available
To evaluate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inferior retractor tightening combined with lateral tarsal strip surgery and anterior lamellar resection for simultaneously correcting the 3 main causes of involutional entropion.
Article
Full-text available
To evaluate long-term effectiveness of lateral tarsal strip procedure combined with Quickert sutures in correcting involutional entropion.
Article
Full-text availabl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transcutaneous everting sutures for lower eyelid involutional entropion in Chinese patients. A retrospective, non-comparative, interventional case series. This retrospective study consecu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ith involutional lower eyelid entropion who underwent transcutaneous everting suture for entropion correction at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Caritas Medical Centre, from 1st January 2010 to 31st October 2013. Exclusion criteria included concurrent eyelid pathologies such as malignant tumor, infection, cicatricial entropion,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of <3 months, significant horizontal lid laxity, and aged <60 years at the time of surgery. The primary outcome measures were recurrence rate and complications. Secondary outcome measures included patient demographic data, type and number of everting sutures, duration of operation, timing of stitch removal, duration of follow-up, as well as each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current medications. Thirty-four eyelids of 28 patients were included. The average age was 78.2 ± 7.3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4:3. In this series, 26.5 and 2.9 % of eyelids underwent entropion correction whilst receiving aspirin and warfarin, respectively. The mean duration of post-operative follow-up was 13.2 ± 10.5 months. The recurrence rate was 11.8 % at a mean of 9.0 ± 6.0 months. There were no peri-operative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bserved. A transcutaneous everting suture was found to be a quick and effective means to correct senile involutional lower lid entropion in Chinese patients with no complications despite the continued use of anti-coagulation therapy in >25 % of our cases.
Article
Background In recent years, many mini-incisional techniques for double-eyelid plasty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removal of pretarsal tissue has not been satisfactory because only small pockets of soft tissue just inferior to the skin have been removed to place the suture. The formed double eyelid may therefore not be durable. This report introduces a modified mini-incisional method that involves removing a long uncut strip of orbicularis through three mini-incisions. Methods A strip of orbicularis uncut from the inner canthus to the outer canthus was removed through three mini-incisions made on the upper eyelid, quite similar to that of a full incisional procedure. The left orbicularis then was pruned in three directions: left, right, and down (toward the palpebral margin). Finally, the incisions were sutured, and a vivid fold was created. Results From 2008 to 2012, the authors applied this technique to 90 patients (174 eyes). Although the trauma may have been more severe due to a large amount of orbicularis removed, including an uncut strip of orbicularis, bleeding during the operation was easy to control and usually very limited. The edema period for most patients ended within 3 weeks, mainly because of the skin bridge between each incision. The scars became unnoticeable after 3–6 months. Disappearance of the fold was not found in any case at either the 3- or 12-month (average, 9-month) follow-up evaluation or during the 4-year follow-up period. Conclusion The described technique combines the advantages of both full incisional and the usual mini-incisional techniques in developing a long-lasting suprapalpebral fold with inconspicuous scars and a short recovery period. Level of Evidence V Opinions of respected authorities, based on clinical experience,descriptive studies, or reports of expert committees.
Article
Entropion is a common eyelid malposition in which the margin turns inward against the globe. If untreated, this condition can cause irritative symptoms like ocular discomfort, corneal abrasion, microbial keratitis, corneal vascularization, and visual loss. It may be classified as cicatricial, congenital, acute spastic and involutional. Involutional entropion is the most common type seen in general ophthalmic practice and its prevalence is increasing as the population ages. There are several treatment strategies including nonsurgical and surgical procedures. This paper describes the surgical techniques most commonly used to treat entropion: everting sutures (Quickert), transverse blepharotomy and marginal rotation (Weis procedure), orbicularis transfer technique, tarsal strip, and advancement of the lower lid retractors.
Artic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gical outcome of everting sutures (ES) alone versus everting sutures with a lateral tarsal strip (ES+LTS) in the treatment of involutional entropion.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ative trial. Sixty-three patients with primary involutional lower eyelid entropion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age range was 54 to 94 years, with a mean age of 77 years.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ative groups were similar. Patients requiring primary surgical repair for involutional entropion were selected, and those providing informed consent were randomized for surgery. Thirty-six patients were randomized to ES alone, and 27 patients were randomized to ES+LTS. Patients were evaluated at 3 weeks and 6, 12, and 18 months postoperatively. Successful surgery was defined as a normal eyelid position at rest and inability to induce entropion on tetracaine provocation testing at or before the 18-month follow-up visit. Eight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7 had ES alone). Of the 55 patients with complete follow-up data, there were 6 failed procedures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ES alone and no failed procedures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ES+LTS (P = 0.02). These data provide strong evidence that success rates at 18 months are higher in patients treated with ES+LTS procedure compared with ES alone.
Article
SUTURES have been used for the correction of lower eyelid entropion since the time of Hippocrates¹ who placed a suture through a horizontal fold of skin just beneath the lid margin. Guillard, Graefe and Arlt¹ also used sutures in the anterior lid layers (skin and orbicularis muscle) to correct the inverted lid margin. Snellen and Stellen¹ proposed techniques for the placement of two or three double armed sutures through the entire lid thickness. Snellen passed the suture through conjunctiva, lower lid retractors, and orbicularis muscle at the level of the lower fornix. The suture was then passed superiorly and brought out through the skin 2 mm inferior to the cilia. Stellen modified the technique by passing the needle superiorly between the tarsus and orbicularis muscle. Both tied their sutures over bolsters. This report describes a technique for placement of sutures through the full thickness of the lower lid.
Article
To assess the long term efficacy of everting sutures in the correction of lower lid involutional entropion and to quantify the effect upon lower lid retractor function. A prospective single armed clinical trial of 62 eyelids in 57 patients undergoing everting suture correction of involutional entropion. Patients were assessed preoperatively and at 6, 12, 24, and 48 months postoperatively. The main outcome variables were lower lid position and the change in lower lid retractor function. When compared with the non-entropic side, the entropic lid had a greater degree of horizontal laxity and poorer lower lid retractor function. These differences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A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nd after a mean follow up period of 31 months, the entropion had recurred in 15% of the patients. There were no treatment failures in the group of five patients with recurrent entropion. The improvement in lower lid retractor function after the insertion of lower lid everting sutur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failure group and the group with a successful outcome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horizontal lid laxity or lower lid retractor function present preoperatively; patient age or sex; an earlier history of surgery for entropion. There was neither a demonstrable learning effect nor a significant intersurgeon difference in outcome. The overall 4 year mortality rate was 30%. The use of everting sutures in the correction of primary or recurrent lower lid involutional entropion is a simple, successful, long lasting, and cost effective procedure.
Article
To retrospectively analyze our experience using nasal turbinate and hard palate mucosal grafts as shared buttress graft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 for reconstruction in severe cicatricial entropion. SURGICAL TECHNIQUES: A horizontal tarsectomy is per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yelid approximately 2 mm posterior to the gray line. The distal tarsal segments are then dissected and rotated 180 degrees. A graft of nasal turbinate mucosa or hard palate mucosa measuring 1.5 x 3 cm is harvested. The graft is sutured to the cut edge of tarsus in the upper and lower eyelid. The rotated distal tarsal segment is stabilized against the graft using 5 mattress sutures. After 3 weeks, the graft is split by sharp diss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The medical records of 12 consecutive patients, representing 15 shared buttress grafts, were reviewed. There were 5 hard palate and 10 nasal turbinate mucosal grafts placed. Follow-up ranged from 2 months to 7 years. The amount of corneal stipple, as well as subjective patient comfort, improved after eyelid margin reconstruction in 12 of the 15 eyes. One patient's visual acuity improved by more than 2 lines after surgery. There were no cases of failure of graft survival and no complica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shared graft technique. Recurrent entropion and trichiasis were noted in 3 eyelids more than a year after graft placement, reflecting ongoing cicatrization in these eyelids. Hard palate mucosal grafts were irritating to the corneal surface, requiring removal of the epithelium using a diamond burr and bandage contact lens wear. Nasal turbinate mucosal grafts were better tolerated by the corneal surface and had the added benefit of mucous production. Eyelid reconstruction using nasal turbinate and hard palate mucosal tissues as a shared buttress graft is a viable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severe cicatricial entropion. Resolution of trichiasis and mechanical corneal abrasion was noted in 13 (86%) of 15 patients with no specific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technique. The shared buttress technique successfully autostents the healing eyelid margins, makes good use of the large turbinate mucosal graft, and minimizes trips to the operating room. When the mechanical requirements of eyelid margin reconstruction do not require the sturdiness of hard palate mucosa, nasal turbinate mucosa is a preferable graft tissue because it is better tolerated by the corneal surface and produces mucous.
Correction of involutional entropion by the amount of lower eyelid laxity
  • Y Ahn
  • I S Kang
Ahn Y, Kang IS. Correction of involutional entropion by the amount of lower eyelid laxity. J Korean Ophthalmol Soc 1999; 40:596-602.
Surgical treatment of sensile entropion
  • J K Ha
  • Y S Kim
  • M A Sohn
Ha JK, Kim YS, Sohn MA. Surgical treatment of sensile entropi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8;39:6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