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DF Availabl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in Children

Authors:
  •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bstract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may be one of the most common pathogen in gastrointestinal tract. Although several recent articles have reported a decline in the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in both children and adults over the last several years, H. pylori infection usually occurs early in life and persists for a long time. The role of H. pylori in some digestive diseases, such as gastritis, ulcer and gastric cancer has been well established. And the possible role of H. pylori as a trigger for some extraintestinal diseases in children and adults has been considered in the last year. H. pylori infection might be associated with refractory iron deficiency anemia,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growth retardation and obesity etc, directly or indirectly. Most of the studies are classified as epidemiological, clinical researches about effects on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after eradication, or case reports. This review describes the possibility of association with several extraintestinal diseases and H. pylori infection and their possible mechanisms based on reported studies in the world and our several studies, even though there are still many conflicting results about that.
S1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14
권 부록
1
2011
http://dx.doi.org/10.5223/kjpgn.2011.14.Suppl1.S1
접수
2011
12
13
,
수정
2011
12
26
,
승인
2011
12
28
책임저자
윤희상
, 660-751,
진주시 칠암동
92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Tel: 055-750-8158, Fax: 055-752-9339
E-mail: hsyoun@gnu.ac.kr
이 논문은
2010
년도 정부
(
교육과학기술부
)
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
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o. 2010-0011777).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장관 외 증상들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
미생물학교실
박지숙
서지현
윤희상
강형련
*
백승철
*
이우곤
*
조명제
*
이광호
*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in Children
Ji Sook Park, M.D., Ji-Hyun Seo, M.D., Ph.D., Hee-Shang Youn, M.D., Ph.D.,
Hyung-Lyun Kang, Ph.D.*, Seung-Chul Baik, M.D., Ph.D.*, Woo-Kon Lee, Ph.D.*,
Myung-Je Cho, Ph.D.* and Kwang-Ho Rhee, M.D., Ph.D.*
Departments of Pediatrics and Microb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Jinju, Korea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may be one of the most common pathogen in gastrointestinal tract.
Although several recent articles have reported a decline in the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in both
children and adults over the last several years, H. pylori infection usually occurs early in life and persists
for a long time. The role of H. pylori in some digestive diseases, such as gastritis, ulcer and gastric cancer
has been well established. And the possible role of H. pylori as a trigger for some extraintestinal diseases
in children and adults has been considered in the last year. H. pylori infection might be associated with
refractory iron deficiency anemia,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growth retardation and obesity
etc, directly or indirectly. Most of the studies are classified as epidemiological, clinical researches about
effects on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after eradication, or case reports. This review describes the
possibility of association with several extraintestinal diseases and H. pylori infection and their possible
mechanisms based on reported studies in the world and our several studies, even though there are still
many conflicting results about that.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11; 14(Suppl 1): S1
S8)
Key Words: Helicobacter pylori,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1983
Warren
Marshall
의해서 처음으로 위전정부의 조직 생검에서
분리된 이후로 위염과 소화 궤양
,
위암의 주요 인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 H. pylori
는 또한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장관 감염의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 H.
S2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14 1호 2011
Fig. 1.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substances released
by the immune system following gastric colonization by
Helicobacter pylori
2)
. TNF: tumor necrosis factor,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 LT: leukotriene, PG: prostaglandin, IL: inter-
leukin
,
INF: interferon.
Fig. 2. Possible physiopathologic mechanism of the anemia
7)
. Lf: lactoferrin, Tf: transferring, R: outer membrane receptor.
pylori
발견된 이후 몇몇 연구자들은 균과 숙주의 관
계에서
발현되는 면역 반응들을 연구해 왔으며
, H.
pylori
감염에 의한 면역 반응이 위의 국소적인 손상뿐
만 아니라 전신적인 면역 반응을 유발하여 위장관 외
질환의
임상 경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
β
용혈성 연쇄구균의 감염이 류마티스
,
사구체 신염 등과 같은 인후
,
편도 이외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H. pylori
감염이 위점막에
감염되고
,
점막을 손상시킬 때 발생하는 여러 다양한
cytokines, proinflammatory substance
들에 의해
,
또는
숙주의 일정부분 닮은 꼴에 의한 교차 반응에 의해
위장관 외의 증상이 발생할 있다는 것이다
(Fig. 1)2).
성인에서 위장관 외 질환으로 신경학적 질환
,
허혈성
심혈관 질환
,
피부 질환
,
알레르기성 질환
,
혈액학적
등이
H. pylori
감염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
소아
에서도 마찬가지로 철결핍성 빈혈과 특발성 혈소판
소증 등 혈액학적 질환과 더불어 저신장
,
설사
,
음식
레르기 등이
H. pylori
감염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3).
소아에서
H. pylori
감염과 연관 가능성이 제기되고
질환들에 대해 문헌 고찰과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
학원 소아과학교실과 미생물학교실에서 연구한 결과
들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1.
철결핍성 빈혈
H. pylori-
양성인 소아에서 철분 결핍과 철결핍성
박지숙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장관 증상들
S3
Table 1.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ron-deficiency Anemia according to the Six Parameters
in Infants and Children
13)
Parameters
AI IDA Nor UCA
HP
HP
HP
HP
HP
HP
HP
HP
No. of subjects 8 13 7 13 20 40 7 27
Age (months) 10.3 (4) 13.3 (4.9) 11.1 (7.0) 11.9 (3.5) 13.8 (7.0) 14.25 (4.8) 10.8 (5.6) 11.8 (4.2)
Hb 9.1 (1.1) 9.1 (1.4) 7.1* (0.8) 8.1 (0.89) 11.7 (0.59) 12.0 (0.76) 9.6 (0.6) 8.9 (0.9)
SF 253.2 (229.2) 132.1 (98) 3.2* (1.6) 6.7 (3.2) 102 (104) 89.5 (114) 23.9 (2.3) 26.4 (8.9)
STfR 3.5 (1.3) 4.1 (3.7) 13.6 (6.4) 10.5 (3.1) 3.96 (1.54) 4.61 (4.39) 4.8 (2.7) 6.0 (2.1)
Prohepcidin 219.3 (58.6) 190.4 (73.4) 232.9 (154) 274 (171.3) 325 (118) 295 (130) 352.9 (215) 256.6 (102)
IL-6 5.8 (7.6) 6.3 (9.5) 3.65 (6.6) 2.68 (7.1) 5.39 (11.9) 5.38 (11.8) 2.5 (4.6) 1.11 (1.91)
CRP 15.8 (16.8) 43.8 (51.2) 3.85 (1.64) 12.1 (13.2) 16.2 (22.5) 18.0 (32.1) 17.1 (17.3) 18.6 (19.1)
Data presented as means±SD (standard deviation). IDA: Iron deficiency anemia, AI: anemia of inflammation, Nor: normal control,
UCA: unclassified anemia. *
p
0.05
혈의 유병률이
H. pylori-
음성인 소아보다 높고
, H.
pylori
감염된 소아에서 더 낮은 저장철을 보이고
,
응성 빈혈
(refractory anemia)
소아에게
H. pylori
제균
료를 했을 때 짧은 시간에 혈액학적 지표가 호전되었다
보고 등으로 미루어
H. pylori
감염은 다른 원인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불응성 철결핍성 빈혈의 가능한 원인
하나일 겠다
4
6). H. pylori
감염과 불응성 철결
핍성 빈혈의 병인은 아직 명확하지만
,
감염으로 인한
만성 미란성 위염에 의한 잠혈 손실
,
위산 저하와
ascorbic acid
도 감 에 의 흡수 감소
,
그리고
균에 의
lactoferrin
에 결합된 철의 흡수와 철의 사용이
증가되어 철결핍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Fig. 2)7,8).
대부분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철결핍성
혈의 혈청지표로 저장 철인
ferritin
사용하여 보고하
였는데
,
균 감염 자체만으로 급성 활성 물질인
ferritin
상승할 있기 때문에
H. pylori
감염과 결핍성
빈혈의 연관성에 대한 지표로서 제한이 있을 있다
9).
염증성 질환에서도 영향을 덜 받는 철 대사 이용이나
저장에 관련된 가용성 트란스페린 수용체
(soluble se-
rum transferring receptor, sTfR)
농도가 청소년기 철분
결핍이 있는
H. pylori
감염자에서 혈청 트란스페린과
철이 정상 범위에 있었음에도
,
감염자보다 의미
게 높은 것을 관찰하였고 최와
10),
11)
는 소아에서
sTfR
농도가
H. pylori
감염이 있는 소아에서 결핍
상태를 더욱 잘 반영한다고 보고하였다
.
 
교실에서는 연령별
,
성별로
H. pylori
감염과 혈액
학적 인자
(Hb, MCV, MCH)
등을 조사하였는데
, 12
18
사이의 여아들에서
H. pylori
감염의 정도
(
신속
요소 반응 검사의 변화 시간
)
심할수록 혈액학적 인
자와 역의 관계를 보였다
.
그러나 연령의 여아들의
월경의 유무
,
영양학적 상태
,
식이 등의 변수를 고려하
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
12).
또한 철결핍성 빈혈이 있는
6
개월에서
24
개월의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H. pyl-
ori cytotoxin-associated gene A (CagA)
항원을 이용한 면
역블롯팅법으로
H. pylori
감염군과 비 감염군에서
색소와
,
혈청
ferritin
함께
sTfR, hepcidine, IL-6
등을
조사하였는데
,
혈청
ferritin
혈색소가 의미 있게 낮았
sTfR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1).
철분의 상태를 벗어나 빈혈이 있는 영유아에서
H. pyl-
ori
감염의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지만 결핍성 빈혈
군에서 균 감염 여부에 따라 혈청
ferritin
과 혈색소가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보아 감염이 철 결핍 상태를
악화시켜 빈혈을 심하게 할 있을 것으로 예상된
.
본 연구의 제한점은 환자수가 부족한
,
식이를
려하지 않은 것이다
13).
 
H. pylori
감염이 혈액학적 인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있다는 것은 여러 연구들을 통하여 증명되어
으나 왜 감염된 모든 사람들에게서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하지는 않는가라는 물음에 대하여는 명백한 해답
없는 같다
.
경제 사회적 인자
,
영양 상태
,
치료에
대한 순응도 등의 교란 수를 고려해야 할 것이며
,
마도 특정 균주와 숙주의 철분 요구량 등이 철 결핍성
S4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14 1호 2011
빈혈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7).
2.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idiopathic th-
rombocytopenic purpura, ITP)
 
H. pylori
감염이
ITP
발병에 영향을 주는가
? ITP
H. pylori
감염에 대한 메타 분석에서 감염 양성인 환자
3
많았으며
,
감염 여부에 상관 없이 제균 치
료를 받았고
,
양성인
ITP
환자에서 혈소판이 확연히
상승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4.5
, 95% CI 4.2
83.0)14).
그러나 소아
ITP
환자에서는 감염과의 연관성에
한 연구 결과들이 일정하지 않다
.
태국
ITP
소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제균 치료가 혈소판 수의 회복
영향이 없었다고 했고
15),
이탈리아 만성
ITP
소아들
대상으로 연구에서는 제균 치료 후에 혈소판
가 의미 있게 상승했다고 보고하였다
16).
 
교실에서는 스테로이드와 면역 글로불린
,
혈소판
수혈력이 없는 급성
ITP (AITP),
만성
ITP (CITP)
조군에서
CagA
항원에 대한 면역블롯팅과
ELISA
법을
사용하여
H. pylori
감염과 소아
ITP
와의 관계를 조사하
였는데
,
감염률이
ITP
환자군에서 높았고
(62.5%,
39%, p=0.025),
균 감염의 정도와 혈소판 감소의 정도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
제균 치료
하지 않았고
AITP
CITP
간의
ELISA OD
,
소판 수의 차이는 없었다
(unpublished data).
 
최근까지 논문들은 균 감염률
,
제균 치료의 효과 등
으로
H. pylori
감염이
ITP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다고 제시하고 있지만
H. pylori
위장관의 흔한 감염
균이라는 점
, ITP
특성상 자연 호전을 보이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다
.
 
Scandellari
17)
은 성인
ITP
환자에서 제균 치료에
반응이 있었던 군에서
CagA
항체를 가진 환자가 많았
(83%, 12.5% of cases), CagA
항체를 가진
H. pylori
감염된
ITP
환자들에게는 제균 치료를 고려해야
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CagA
인간 혈소판
티드와 유사성은 없었지만 혈소판의
glycoprotein 1b
(GP1b)
수용체의 일부분이
H. pylori J99
Vacuolating
cytotoxin A (VacA)
와 일정 부분 구조적으로 닮았으며
,
모든
CagA
양성
H. pylori
vacuolating toxin
분비하
기 때문에 구조적인 유사성으로 인해 면역학적 교차
응이 나타나
ITP
가 발생할 있다고 하였다
. UreB
GPIIIa
도 교차 반응이 일어남을 발견하였다
18).
H. pylori
감염이
ITP
의 발병에 관여하는 가능한 기전
들로 균의 직접적인 영향
,
균 감염 후 발생하는 염증
인자들
(inflammatory mediator)
의한 전신적인 영향
또는 앞서 기술하였던 균과 숙주 항원 사이의 분자적
유사성으로 인한 교차 반응이 시되고 있다
1).
소아에
서는 성인과 달리
H. pylori
감염과
ITP
관계에 대한
구들이 상반된 결과들을 보이는데
,
이는 최근까지 소아
대상의 연구가 적었고 연구에 포함된 소아 환자의 수가
적고
, H. pylori
감염률이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
기 때문에 지역에 따른 감염률과 균주의 차이점도 고려
야 할 것으 보인
.
자연 호전을 보이는
ITP
물지 않기 때문에 소아
ITP
환자에서 감염과 연관성
연구는 대단위 연구와 상기 조건들을 고려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3.
두통
 
H. pylori
감염과 일차성 두통의 연관성에 대해서
Gasbarrini
일차성 두통이 있는 환자들의
40%
에서
호기 검사가 양성이었고
,
감염 양성인 군에서 전
구 증상 편두통이 많았으며 제균 치료 후에
86%
서 두통의 정도
,
빈도 등이 호전을 보였다고 하였다
19).
그리고
Yiannopoulou
등은 전구 증상이 없는 편두통
자군과 대조군들 사이의 감염률을 요소호기검사와
조직학적 검사로 조사하였는데
,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감염률이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20).
이는
H. pylori
발생하는 지속적인 면역학적
,
염증 반응으로
하여 발생하는
cytokine, prostaglandin, leukotriene
양한 혈관활동성 물질
(vasoactive substances)
들이 직접
적이거나 간접적인 방법으로 기능성 혈관 질환에 영향
끼쳐 편두통의 발병에 기여할 있을 것이라고
단하고 있다
21).
 
그러나
Pinessi
등은 환자
-
대조군 연구에서 요소호기
검사로 조사한
H. pylori
감염률은 편두통 환자군과
조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30.1%, 31.1%),
만성 균 감염
편두통에 대한
odds ratio
0.96
으로
,
성 균
이 편두통의 임상 양상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22).
 
소아에서도 두통은 비교적 흔한 증상이만
, H. pylori
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
그리스의
31
명의
박지숙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장관 증상들
S5
편두통 환아들을 대상으로 한 조직학적 균 감염률 연구
에서는 감염률이
22.6% (7
)
Mavromichalis
등은
염과
,
날문방 위염
,
편두통과의 연관성에 대해 부정적
이었으나 만성 반복성 복통과 편두통과의 강한 연관성
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23).
 
교실에서는
H. pylori
감염이 있는 두통 환아군에
서 감염이 없는 두통 환아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십이지
장 점막의 비만세포가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p=0.000).
연구에서는 두통이 없는
H.
pylori
감염이 있는 환자군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 H.
pylori
감염과 십이지장 비만 세포의 증가
,
그리고 두통
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24).
소아에서 두통과
H. pylori
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많지 않고
,
성인 연구에서도 과연 두통이 제균 치료를
통해 호전이 되었는지 인과 관계가 불확실하며
,
제균
치료가
H. pylori
외 두통을 유발할 수 있는 부비동염
등의 다른 감염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H. pylori
감염군과 비감염군을 대상으로 한 이중 맹검 연구가
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21).
4.
성장 지연
(growth retardation)
H. pylori
는 흔한 위장관 감염균이며
,
일반적으로 소
아기에 감염이 이루어진다
.
일단 감염되면 자연 소실은
매우 드물고 앞서 기술하였듯이 위장관계뿐만 아니라
여러 임상적 문제점들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
최근
에는 소아기의 만성적인 균 감염이 설사
,
영양 실조
성장 지연에도 영향을 줄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25,26).
 
가능한 기전으로
H. pylori
감염 자체가 소아에서
특히
1
미만의 영유아에서 설사의 위험 요인으로
수 있으며
,
이로 인해 영양 부족을 초래하고
,
장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과
27)
균 자체보다는 감염
의해 발생한 결핍성 빈혈이 성장을 지연시킬 수
다는 것이다
28).
그리고
H. pylori
감염이 식욕을 조절하
ghrelin
leptin
분비에 관여하여 성장 속도에
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는데
, Pacifico
등은 사춘기
소아들에서 혈청
ghrelin
농도가
H. pylori
연관 위염
의 정도와 역의 관계에 있고
,
제균 치료 후에 체질량
지수가 의미 있게 상승하였고
, ghrelin
농도는 감소하
, leptin
농도는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29).
H. pylori
감염은 지역적
,
경제적
,
위생적인 환경과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 및 수에 영향을 받고
,
성장은
성별
,
연령
,
부모의 경제력
,
유전적 소인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H. pylori
감염과 성장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상기 교란 변수들을 보정할 수 있는 충분
설계된 대단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5.
만성 두드러기
(chronic urticaria)
만성 두드러기
6
주 이상 지속되는 소양성 팽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이다
.
두드러기와 혈관 부종은
인구의
20%
도에 일생 번은 험하
,
전히 원인이 불명확하고 치료가 어려운 질환 중의 하나
이다
.
유발 인자들로는 감염에서부터 악성 종양까지 다
양한데
,
감염성 원인 중 하나로
H. pylori
제시
되었다
30).
몇몇 연구들이
H. pylori
와 만성 두드러기가
역학적 관계가 있고
,
제균 치료 후 증상을 호전을
다고 보고하였다
31
33).
제시된 기전으로 균 감염으로
인해 위의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게 되어 감염된 숙주가
소화관의 알레르겐에 노출될 여지가 많아지고
,
이로 인
H. pylori
대한
IgE
만들어지게 되어 두드러기를
유발할 있다는 것인데 두드러기는
IgE-
연관 과민
응 이외에도 보체 연관
,
자가 항체 등이 작용할 수 있으
므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4).
 
상기 연구 결과들과 상반되는 보고들도 다수 있는 바
여전히 두드러기와의 상관 관계에 대하여는 논쟁의
지가 있다
35,36).
소아에서 연구는 드물었으며
,
만성 두드
러기의 원인에 대한 연구에서 언급된 있으나 연관이
있다고 결론을 짓기에는 포함된 환자 수가 적었다
37,38).
 
앞서 기술하였던 성인 연구에서도 제균 치료에 사용
약제와 치료 기간
,
지역별 모집단의 차이들이 있었
으므로 두드러기와 연관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진단 방법
,
치료 방법 등을 통일한 대단위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한다
.
6. Henoch-Schoenlein purpura (HSP) and IgA
신병증
 
HSP
는 작은 혈관의 백혈구파괴 혈관염
(leukocytoc-
lastic vasculitis)
으로 피부
,
위장관
,
관절과 신장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
혈관벽과 신장의 메산지움에
IgA1
침착함으로써 임상 증상이 발현된다
39).
발병 기전은
매우 다양하며 감염 특히
group A
β
hemolytic Strepto-
S6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14 1호 2011
coccus
약물 알레르기 등이 관여한다고 여겨지고
지만 여전히 명백하지 않다
40). H. pylori
감염과 관련될
있는 피부 증상으로 앞서
ITP
만성 두드러기에
해 설명하였는데
,
최근
HSP
의 발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증례 보고들이 있었다
41,42). HSP
IgA
신병증과
임상적
,
조직학적 양상에서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43).
IgA
신병증은 흔한 사구체신염이며
, IgA
가 사구체
이질에 침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 Barratt
등은
IgA
신병
환자에서
H. pylori
감염이
IgA1
체 반응을 화시
킬수 있다고 하였고
44),
이는
H. pylori
감염이 숙주의
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유발할 있다는 가능성을 뒷받
할 수 을 것
.
그러나
HSP
관련 가능성에 대
한 연구는 아직까지 몇몇 증례 보고들에 의존하고 있
, randomized controlled trial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
.
 
앞서 기술한 질환들 외에도 여전히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아토피 피부염
,
천식
,
음식 알레르기 등의 알레
르기성 질환과 성인에서 각종 혈관 질환
,
면역학적
비만에 대한 연관성도 제시되고 있다
.
위축성 위
,
감염이 있는 동안 발생하는 위의 혈관 투과성의
,
염증 전달물질
(inflammatory mediator),
분자적 유사
(molecular mimicry),
전신적 면역 반응으로 가능한
기전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그러나 증례
,
적은 환자 수
,
치료 반응에 대한 무작위적이지 않은
방법
(non-randomised trial)
에 의한 연구 보고들은 논란
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Mastricht III consensus
에 따르면 설명되지 않는 철
결핍성 빈혈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은
H.
pylori
와 연관이 있을 수 있고
,
이 중 감염 환자에서는
궤양과
MALT
임파종과 더불어 제균 치료를 권장하였
.
소아에서도 불응성 철결핍성 빈혈인 경우 감염
부를 판단하고 제균 치료를 권장하였으나 연관 질환들
을 반드시 배제하여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45).
 
H. pylori
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위장관계 감염균
중 하나이다
.
국내에서 감염률이 최근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46)
한 번 감염되면 자연 치유가 힘들고 만성
감염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며 일부에서
위암을 일으킬 수 있고
,
다양한 위장관외 질환들과 동
시에
,
또는 원인 중 하나로
,
질병 발현의 촉진 인자로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1) Gasbarrini A, Carloni E, Gasbarrini G, Menard A.
Helicobacter pylori and extragastric disease-other
Helicobacters. Helicobacter 2003;8:68-76.
2) Gasbarrini A, Franceschi F, Armuzzi A, Ojetti V,
Candelli M, Torre ES, et al. Extradigestive manifestations
of Helicobacter pylori gastric infection. Gut
1999;45(Suppl I):9-12.
3) Sherman PM, Lin FY. Extradigestive manifestations of
Helicobacter infe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an J
Gastroenterol 2005;19:421-4.
4) Fagan RP, Dunaway CE, Bruden DL, Parkinson AJ,
Gessner BD. Controlled, household-randomized, open-
label trial of the effect of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on iron deficiency among children in rural Al-
aska: results at 40 months. J Infect Dis 2009;199:652-60.
5) Baysoy G, Ertem D, Ademoglu E, Kotiloglu E, Keskin
S, Pehlivanoglu E. Gastric histopathology, iron status and
iron deficiency anemia in children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4;38:
146-51.
6) Hershko C, Ianculovich M, Souroujon M. A hematolo-
gist’s view of unexplained iron deficiency anemia in
males: impa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Blood
Cells Mol Dis 2007;38:45-53.
7) Barbino A. Helicobacer pylori-related iron deficiency
anemia: a review. Helicobacter 2002;7:71-5.
8) DuBois S, Kearney DJ. Iron-deficiency anemia and Heli-
cobacter pylori infection: a review of the evidence. Am
J Gastroenterol 2005;100:453-9.
9) Choi JW. Does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relate to
iron deficiency anemia in prepubescent children under 12
years of age? Acta Paediatr 2003;92:970-2.
10) Choi JW, Son BK.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concen-
tration is not superior to log ferritin for evaluating ery-
thropoiesis in adolescents with iron deficiency anemia.
Clin Chim Acta 2005;355:83-9.
11) Choi JW.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redictive value of
serum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at different stages of
iron deficiency. Ann Clin Lab Sci 2005;35:435-9.
12) Goo SI. Relationship between complete blood cell count
박지숙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장관 증상들
S7
profiles and histopatholoigic changes of gastric mucosa in
children(dissertation).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
2005.
13) Son MH, Yeom JS, Park JS, Park ES, Seo JH, Lim JY,
et al. Relationship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ron-deficiency anemia in infants and children. Ko-
rean J Pediatr 2009;52:544-8.
14) Arnold DM, Bernotas A, Nazi I, Stasi R, Kuwana M, Liu
Y, et al. Platelet count response to H. pylori treatment
in patients with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with
and without H. pylori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Haematologica 2009;94:850-6.
15) Treepongkaruna S, Sirachainan N, Kanjanapongkul S,
Winaichatsak A, Sirithorn S, Sumritsopak R, et al. Ab-
sence of platelet recovery following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in childhood chronic idiopathic thrombo-
cytopenic purpura: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 Blood Cancer 2009;53:72-7.
16) Ferrara M, Capozzi L, Russo R.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on platelet count in children with chro-
nic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Hematology
2009;14:282-5.
17) Scandellari R, Allemand E, Vettore S, Plebani M, Randi
ML, Fabris F. Platelet response to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adult chronic idiopathic throm-
bocytopenic purpura seems to be related to the presence
of anticytotoxin-associated gene A antibodies. Blood
Coagul Fibrinolysis 2009;20:108-13.
18) Bai Y, Wang Z, Bai X, Yu Z, Cao L, Zhang W, et al.
Cross-reaction of antibod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urease B with platelet glycoprotein IIIa and its signi-
ficance in the pathogenesis of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Int J Hematol 2009;89:142-9.
19) Gasbarrini A, De Luca A, Fiore G, Ojetti V, Franceschi
F, Di Campli C, et al. Helicobacter pylori and primary
headache. Gastroenterol Int 1997;10:11-3.
20) Yiannopoulou KG, Efthymiou A, Karydakis K, Arhi-
mandritis A, Bovaretos N, Tzivras 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s an environmental risk factor for migraine
without aura. J Headache Pain 2007;8:329-33.
21) Realdi G, Dore MP, Fastame L. Extradigestive manifes-
tation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fact and fiction.
Dig Dis Sci 1999;44:229-36.
22) Pinessi L, Savi L, Pellicano R, Rainero I, Valfrè W,
Gentile S, et al. Chronic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migraine: a case-control study. Headache 2000;40:836-9.
23) Mavromichalis I, Zara,bpilas T, Giala MM. Migraine of
gastrointestinal origin. Eur J Pediatr 1995;154:406-10.
24) Choi MB. Cellular changes in the gastroduodenal mucosa
associated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with headache(dissertation).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 2003.
25) Soylu OB, Ozturk Y.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effect
on malnutrition and growth failure in dyspeptic children.
Eur J Pediatr 2008;167:557-62.
26) Bravo LE, Mera R, Reina JC, Pradilla A, Alzate A,
Fontham E, et al. Impac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on growth of children: a prospective cohort study.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3;37:614-9.
27) Passaro DJ, Taylor DN, Meza R, Cabrera L, Gilman RH,
Parsonnet J. Acut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s fol-
lowed by an increase in diarrheal disease among Peruvian
children. Pediatrics 2001;108:E87.
28) Choe YH, Kim SK, Hong YC.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with iron deficiency anaemia and subnormal
growth at puberty. Arch Dis Child 2000;82:136-40.
29) Pacifico L, Anania C, Osborn JF, Ferrara E, Schiavo E,
Bonamico M, et al. Long-term effects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on circulating ghrelin and leptin
concentrations and body composition in prepubertal
children. Eur J Endocrinol 2008;158:323-32.
30) Wedi B, Raap U, Kapp A. Chronic urticaria and infec-
tions.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4;4:387-96.
31) Abdou AG, Elshayeb EI, Farag AG, Elnaidany NF. Heli-
cobacter pylori infe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urti-
caria: correlation with pathologic findings in gastric
biopsies. Int J Dermatol 2009;48:464-9.
32) Magen E, Mishal J, Schlesinger M, Scharf S.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equally improves chronic
urticaria with positive and negative autologous serum skin
test. Helicobacter 2007;12:567-71.
33) Fukuda S, Shimoyama T, Umegaki N, Mikami T, Nakano
H, Munakata A.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in the treatment of Japanese patients with chronic idio-
pathic urticaria. J Gastroenterol 2004;39:827-30.
34) Hernando-Harder AC, Booken N, Goerdt S, Singer MV,
Harder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dermatologic
diseases. Eur J Dermatol 2009;19:431-44.
35) Dauden E, Jimenez-Alonso I, Garcia-Diez A. Helico-
bacter pylori and idiopathic chronic urticaria. Int J Der-
matol 2000;39:446-52.
36) Başkan EB, Türker T, Gülten M, Tunali S. Lack of
correl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autologous serum skin test in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Int J Dermatol 2005;44:993-5.
37) Sackesen C, Sekerel BE, Orhan F, Kocabas CN, Tuncer
A, Adalioglu G. The etiology of different forms of urti-
caria in childhood. Pediatr Dermatol 2004;21:102-8.
S8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14 1호 2011
38) Kilic G, Guler N, Suleyman A, Tamay Z. Chronic urti-
caria and autoimmunity in children. Pediatr Allergy Im-
munol 2010;21:837-42.
39) Saulsbury FT. Henoch-Schonlein purpura in children:
report of 100 patein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
dicine 1999;78:395-409.
40) Ana CHH, Nina B, Sergij G, Manfred VS, Herman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dermatologic disease.
Eur J Dermatol 2009;19:431-44.
41) John RM, James WP, Erin ST, Jeffrey W, Frank TS.
Henoch-Schonlein purpura associated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a child. Pediatric dermatology 2008;
25:630-2.
42) Kellerman P. Henoch-Schonlein purpura in adults. Am J
Kidney Dis 2006;48:1009-16.
43) Davin JC, ten Berg IJ, Weeining JJ. What is the dif-
ference between IgA nephropathy and 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 Kidney Int 2001;59:823-34.
44) Barratt J, Bailey EM, Buck KS, Mailley J, Moayyedi P,
Feehally J, et al. Exaggerated systemic antibody response
to mucosal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IgA neph-
ropathy. Am J Kidney Dis 1999;33:1049-57.
45) Malfertheiner P, Megraud F, O'Morain C, Bazzoli F,
El-Omar E, Graham D, et al. Current concepts in the ma-
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the Maastricht
III Consensus Report. Gut 2007;56:772-81.
46) Lee SY, Ko JS, Seo JK.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biopsy-prov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with functional recurrent abdominal pain over the
last 18 years.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9;
12:150-5.
Article
Full-text available
To elucidate a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HP) infection and iron-deficiency anemia (IDA) in infants and children in terms of the other factors related to iron utilization and storage although the association of ferritin was previously studied.
Article
Full-text available
Eradication of H. pylori improves thrombocytopenia in some patients with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by mechanisms that remain obscure. Platelet count responses may occur independently of H. pylori infection as a result of the immune modulating effects of macrolide antimicrobials or the removal of other commensal bacteria. We perform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to determine the effect of H.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by comparing the platelet response in patients who were, and who were not infected with H. pylori. MEDLINE, EMBASE, Cochrane central registry and abstracts from the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from 2003) were searched in duplicate and independently without language or age restrictions. Eleven studies, 8 from Japan, were included enrolling 282 patients with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who received eradication therapy; 205 were H. pylori-positive and 77 were H. pylori-negative. The odds of achieving a platelet count response following eradication therapy were 14.5 higher (95% confidence interval 4.2 to 83.0) in patients with H. pylori infection (51.2% vs. 8.8%). No study reported bleeding or quality of life.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in 12 patients. H. pylori eradication therapy was of little benefit for H. pylori-negative patients. These findings strengthen the causal association between H. pylori infection and immune thrombocytopenia in some patients. Randomized trial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H. pylori eradication therapy across diverse geographical regions.
Articl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fulfills each of Koch's postulates as a human pathogen causing chronic active gastritis. Disease consequences that develop in a subset of infected subjects include peptic Ulcerations, gastric adenocarcinoma and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More recently, multiple publications have advocated a role for H pylori infection in causing a variety of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Many of these reports suffer from being case reports or case series without adequate controls. As a result, purported manifestations may simply be coincidental in nature. On the other hand, increasing evidence supports H pylori infection as a cause of sideropenic (refractory iron deficiency) anemia. Moderate evidence supports H pylon gastric infection as a cause of some cases of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due to molecular mimicry. Guidelines should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advancing knowledge in the field.
Article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sTfR), log territin, the ratio of sTflZ to log ferritin (sTfR-F index), and the log of the ratio of sTfR to ferritin [log(sTfR/F)] vs. reticulocyte production during iron deficiency. Methods: Fluorescent intensity of reticulocytes, immature reticulocyte fraction (IRF), reticulocyte maturity index (RMI), sTfR, and serum ferritin were measured in 149 adolescent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ticulocyte parameters between the iron deficiency anemia (IDA) subjects with sTfR >= 4.9 mg/I and those with sTfR < 4.9 mg/l. However, IDA subjects with log ferritin < 0.73 gg/l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mean values for IRF and RMI, compared to those with log ferritin >= 0.73 mu g/l (2.75 +/- 1.36% vs. 1.45 +/- 1.01%, p < 0.05; 2.76 +/- 1.3 1% vs. 1.46 +/- 1.09%, p < 0.05). In the non-IDA group, reticulocytes averaged 0.97 +/- 0.31% in subjects with sTfR, 2.1 mg/l, which were significantly above the values in those with sTfR < 2.1 mg/l (0.72 0.16%, p=0.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eticulocyte parameters between the subjects with log ferritin >= 1.35 mu g/l and those with log ferritin < 1.35 gg/l. Correlation coefficients of log ferritin vs. RMI (r=-0.41) were higher than those of sTfR, sTfR-F index, and log(sTfRJF) vs. RMI (r=0.24, r=0.30, and r=0.28, respectively) in IDA subjects. Conclusion: Reticulocytopoiesis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log ferritin value than with sTflZ concentrations in IDA patients, although sTflZ significantly reflects erythropoietic activity in non-IDA subjects. (c) 2005 Elsevier B.V. All rights reserved.
Articl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gA nephropathy and Henoch-Schönlein purpura nephritis? Henoch-Schönlein purpura nephritis (HSPN) and IgA nephropathy (IgAN)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diseases since both can be encountered consecutively in the same patient, they have been described in twins, and bear identical pathological and biological abnormalities. Apart from the presence of extrarenal clinical signs found only in HSPN, other differences are noticed between the two diseases. The peak age ranges between 15 and 30 years for a diagnosis of IgAN, whereas HSPN is mainly seen in childhood. Nephritic and/or nephrotic syndromes are more often seen at presentation in HSPN. In contrast to IgAN, HSPN has been described in association with hypersensitivity. Endocapillary and extracapillary inflammations as well as fibrin deposits in the glomerulus are more frequent in HSPN. No major biological differences have been found between the two illnesses, except for a larger size of circulating IgA-containing complexes (IgA-CC) and a greater incidence of increased plasma IgE levels in HSPN. As tissue infiltration by leukocytes is a major feature of HSPN vasculitis, a possible role of a more potent activation of the latter cells by IgA-CC and/or circulating chemokines in HSPN should be considere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this possible mechanism as well as the role of hypersensitivity in HSPN.
Article
Recent reports have suggested, particularly in adults, an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HPI) and chronic idiopatic thrombocytopenic purpura (cITP) with improvement of platelet count after eradication therap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HPI and cITP and the effect of HP eradication therapy on thrombocytopenia in a population of 24 children of both sexes mean age 8.0+/-0.28 years (range 5.4-10.7 years), affected by cITP (PLT <or=50 x 10(9)/l) lasting more than 6 months. HPI was investigated by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s (HpSA). In eight out 24 patients (33.3%) HP infection was identified positive and bacterial eradication was successful following 7 days of triple therapy (amoxicillin, clarithromicin and proton pump inibitors). A follow-up of platelet count was performed for 1 year after HpSA detection. Six out eight patients (75%) had total recovery of platelet count during the first year after bacterial eradication (PLT before therapy 32.5+/-3.5 x 10(9)/l; after 1 year 275+/-106.06 x 10(9)/l) (P<0.05), two patients (25%) had partial recovery (PLT before therapy 30 x 10(9)/l, after 1 year 103.5 x 10(9)/l) although not reaching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Non-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latelet count between infected and uninfected patients before eradication treatment (PLT 33.0+/-2.8 x 10(9)/l versus 34.0+/-5.75 x 10(9)/l) (P>0.05),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fter eradication therapy (PLT 315.0+/-7.07 x 10(9)/l versus 43.5+/-2.12 x 10(9)/l) (P<0.05). HP assessment should be performed in all cITP patients and eradication therapy should be attempted in positive cases.
Articl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ronic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adult patients and investigate the platelet response after eradication. To minimize the confounding effect of concomitant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therapies,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e prospective study if they had 20-100 x 10/l platelets, and no requirement for treatment for thrombocytopenia or no change of doses of ongoing medications for at 3 months before inclusion.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was assessed in 62 patients using a stool antigen test, and the infection was present in 52% of patients. Immunoglobulin G antibodies against the cytotoxin-associated gene A protein were detected in 53% of infected patients. All patients underwent sampling for specific platelet autoantibodies, 37.5% of H. pylori-positive and 33% of H. pylori-negative patients had detectable platelet autoantibodies. Sixteen eligible H. pylori-positive patients were submitted to the eradication therapy and followed in the prospective study. We considered 14 H. pylori-negative patients as control group. Platelet response was defined as an incremental increase above 50% from baseline platelet count. A positive response was observed in 43% patients after 6 months of follow-up. Eradicated responder and nonresponder patients were comparable for all main clinical features but not for anticytotoxin-associated gene A antibodies (83 vs. 12.5%, P = 0.026).Given the good cost-benefit ratio, we believe that all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patients should be screened for H. pylori infection and eradication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particularly for patients who are also found positive for anticytotoxin-associated gene A antibodies.
Article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s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 variety of skin diseases. The best evidence for such a link is found for two diseases: chronic urticaria and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Other diseases that have a purported, but not yet proven link to H. pylori are: cutaneous pruritus, Behçet's disease, nodular prurigo and lichen planus. Based on the current evidence for a relationship between H. pylori and chronic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the European Helicobacter Study Group consensus 2007 recommended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affected patients. Lastly, single or few case reports have documented associations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rosacea, aphthous stomatitis, atopic dermatitis, alopecia areata, Schoenlein-Henoch purpura and Sjögren syndrome, but these are only descriptive in nature. Systematic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rmatologic entities and infection with H. pylori and documentation of the effect of H. pylori eradication are needed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n this to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