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DF Available

A Pilot Feasibility Study of a Combined Supervised- and Home-Based Exercise to Improve Cancer-Related Symptoms in 1-3 Colorectal Cancer Patients

Authors:

Abstract

PURPOS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specifically developed to improve bowel/defecatory and physical function in stage 1–3 colorectal cancer patients.METHODS: A total of 15 (56.7 years, 6 men and 9 women) stage 1–3 colorectal cancer survivors were recruited.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met with an exercise therapist once a week, 6 times over 6 weeks, where 1-hour exercise sessions (12 different resistance exercises, 10–15 reps, 2–3 sets) and an education session were provided.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were then asked to carry out the same exercises daily, at home. Their compliance was monitored through daily exercise logs.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exercise education or interventi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t the 6th week in both group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for a qualitative study.RESULTS: All 15 participants completed the trial and their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Stool frequency, flatulence, and embarrassmen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ercise group (pre vs. post, p<.05), while flatulence and embarrassmen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between-group p-value=.014, and .025 respective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ir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function improved, while symptoms such as fatigue, insomnia, stool frequency, flatulence, and embarrassment reduced after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 program.CONCLUSIONS: Our pilot feasibility study showed that home-based exercises provided to colorectal cancer survivors were feasible based on their compliance and qualitative data.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the current exercise program resulted in improvement in their bowel and defecator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Copyright © 2022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
141
1-3기 대장암 생존자 증상 개선 운동 프로그램 효과 예비 검증:
A Feasibility Study
변지용1,† PhD, 박동혁1,† MS, 이미경2 PhD, 연수진1 MS, 지선하3 PhD, 김남규4 MD, PhD, 김태일5 MD, PhD,
박지수6 MD, PhD, 전용관1,2 PhD
¹연세대학교스포츠응용산업학과,²암당뇨운동의학센터[ICONS],
3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역학건강증진학과,
4
연세대학교외과학교실,
5
연세대학교내과학교실,
6
신촌세브란스암예방센터
ORIGINAL
ARTICLE
ORIGINAL
ARTICLE
ORIGINAL
ARTICLE
ISSN(Print) : 1226-1726
ISSN(Online) : 2384-0544
A Pilot Feasibility Study of a Combined Supervised- and Home-Based Exercise to
Improve Cancer-Related Symptoms in 1-3 Colorectal Cancer Patients
Ji-Yong Byeon1,† PhD, Dong-Hyuk Park1,† MS, Mi-Kyung Lee2 PhD, Su Jin Yeon1 MS, Sun Ha Jee3 PhD,
Nam Kyu Kim4 MD, PhD, Tae Il Kim5 MD, PhD, Ji Soo Park6 MD, PhD, Justin Y. Jeon1,2 PhD
¹Department of Sports industry, Yonsei University, Seoul; ²Exercise Medicine Center for Diabetes and Cancer Patients, ICONS, Seoul;
3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Promotion,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Seoul;
4
Department of Surgical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5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Institute of Gastroenter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6
Hereditary Cancer Clinic of Cancer Prevention Center, Yonsei Cancer Center,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specifically developed to improve bowel/defecatory and physical
function in stage 1–3 colorectal can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5 (56.7 years, 6 men and 9 women) stage 1–3 colorectal cancer survivors were recruited.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met with an exercise therapist once a week, 6 times over 6 weeks, where 1-hour exercise sessions (12 different resistance
exercises, 10–15 reps, 2–3 sets) and an education session were provided.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were then asked to carry out
the same exercises daily, at home. Their compliance was monitored through daily exercise logs.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exercise education or interventi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t the 6th week in both group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for a qualita-
tive study.
RESULTS: All 15 participants completed the trial and their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Stool frequency, flatulence, and embar-
rassmen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ercise group (pre vs. post, p< .05), while flatulence and embarrassmen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between-group p-value = .014, and .025 respective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
ticipants reported that their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function improved, while symptoms such as fatigue,
insomnia, stool frequency, flatulence, and embarrassment reduced after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 program.
CONCLUSIONS: Our pilot feasibility study showed that home-based exercises provided to colorectal cancer survivors were feasible
based on their compliance and qualitative data.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the current exercise program resulted in improvement in
their bowel and defecator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Key words: Colorectal cancer, Symptoms, Quality of life, Exercise
Vol.31, No. 1, February 2022: 141-155
https://doi.org/10.15857/ksep.2021.00318
Corresponding author: Justin Y. Jeon Tel +82-2-2123-6197 Fax +82-2-2123-6197 E-mail jjeon@yonsei.ac.kr
* 연구는 연세대학교 시그니처사업(2021-22-0009),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2021-11-0778, 2021-11-2104)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The authors contributed to this work equally.
Keywords 대장암, 배변관련 증상, 삶의 , 운동
Received 18 May 2021 Revised 23 Feb 2022 Accepted 25 Feb 202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https://www.ksep-es.org
142 |Ji-Yong Byeon, et al. Exercise for Symptoms in Colorectal Cancer
Vol.31, No. 1, February 2022: 141-155
서 론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
2018
기준
,
째로
발생률
높은
암이지만
[1],
국가적
차원의
예방
관리와
의료기술
발전으
1990
년대
50%
대였던
대장암
5
생존율은
현재
74. 3%
증가하였다
[2].
발생률과
생존율이
동시에
높아짐에
따라
대장암을
험한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
있으며
, 2018
기준
대장암을
경험한
생존 자가
26
,
치료가
5
이상
경과한
장기
생존 자가
15
명을
초과함에
따라
임상
현장이나
지역사회에서
대장암
생존자
관리가
중요하다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3].
생존자들
성공적인
치료에
구하고
치료로
인한
신체적
,
신적
부작용이
나타나며
암의
재발과
이차암
발생의
두려움
그리고
치료
일상생활로의
복귀
문제
다양한
어려움
직면하고
있다
.
대장암
생존 자가
주로
경험하
신체적
부작용은
배변장애
,
매스꺼움
,
수면장애
,
가쁨
,
식욕
억제
,
구토
,
신체활동량
감소
,
체력저하
,
피로
,
불면증
등으
고되었다
[4].
특히
, Jeong et al. [5]
대장암
환자가
겪는
증상을
7
가지로
나누어
보고하였는데
, 7
가지
4
가지가
배변
관련된
증상 이기
때문에
대장암
생존자의
삶의
증진을
위해
관련
증상
개선이
매우
중요한
것을
있다
.
외에도
Downing
et al. [6]
영국인
대장암
생존자
21,802
명을
대상으
설문한
결과
장암
생존자의
16.3%
배변
관련
증상을
소하고
있으며
, Allal et al.
[7]
변실금
,
가스
,
변과
가스를
분하지
못함
,
갑작스런
변의와
같은
배변
증상이
정상적인
사회생활
유지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
.
특히
,
배변
관련
증상이
있는
대장암
생존자들
일상생
활에
어렵기
때문에
신체활동이
줄어들고
,
운동
참여에
어려움
있으
치료
나타나는
상으로
심폐
체력의
저하
[8],
높은
피로도
[9,10]
보고되고
있다
.
대장암
생존자와
건강한
사람을
매칭하여
석한
Sánchez Jiménez et al. [11]
환자
-
대조군연구에서
생존자는
건강한
사람보다
피로
,
호흡곤란
,
설사와
같은
증상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
나타났으며
,
건강
관련
체력
수준과
삶의
질은
유의하게
낮다고
보고하였다
.
운동은
대장암
생존자의
예후와
다양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중요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 Je et al. [12]
치료가
종료된
대장암
환자들의
신체활동량이
높을수록
재발과
사망위험도
낮아진다고
고하였으며
, Wolpin et al. [13]
높은
신체활동량이
면역지표
개선
재발률
방지에
연관이
있을
아니라
,
대장암
생존자의
삶의
질을
높여준다고
보고하였다
.
또한
, Lee et al. [14]
대장암
생존자를
대상으
중재한
작위대 조연구
가정
기반
동프 그램이
대장암
후와
관련이
있는
혈중
인슐린
수치와
염증
지표를
개선한다고
규명하
였다
.
하지만
,
대장암
생존자의
치료
나타나는
증상을
완화 하기
운동
로그램
개발과
운동
로그램
증상
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
연구는
미비하다
.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대장암
생존자의
치료
나타나는
주요
증상인
배변
문제를
완화하
위하여
개발된
가정
기반
운동
로그램
[15]
대장암
생존자에게
미치는
효과와
실현
가능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연구는
대장암
생존자의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
로그램
실현
능성과
효과를
검증하
것이며
,
연구
디자인은
양적
자료와
자료를
종합적으
분석하
혼합방법설계
(mixed method design)
중에서
수렴적
설계
(convergent design)
방법
[16]
으로
진행하였다
(Fig.
1).
양적
자료는
대장암
생존자의
증상
완화
운동
로그램
실현
능성과
효과를
알아보
위해
유사 험연구
(Quasi-experimental
study)
디자인으
수집되었으며
,
질적
자료는
운동
참여
경험한
변화에
대하여
1
1
면담을
통해
집되었다
.
연구
참여자
2
측정에
참여하였으며
,
군으
배정된
대상자
사전
측정
6
이내에
운동
중재에
참여하였고
마지막
6
주차
운동
중재
참여
5
이내에
사후
측정을
진행하였다
.
대상자
모든
치료가
종료된
환자로
,
현재
치료
(
수술
,
방사선
,
항암
)
경과
지켜보
있는
대장
생존자이다
.
대조 군으
배정된
연구
참여자
6
주간
기존의
일상
생활을
유지하라
안내를
았으며
,
운동군은
1
감독하
운동과
가정
기반
운동
로그램
받았다
.
또한
운동군은
중재가
마무리되
6
주차에
운동
참여
경험에
대한
개인
면담을
시행하였다
.
연구는
S
병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진행하였다
(4-2017-0692).
2. 연구 참여자
연구의
참여자
신촌
S
병원
대장항문외과
의료진에게
내원하고
치료가
종료된
대장암
생존자
서울
또는
경기
소지인
환자
포함하였다
.
대상자
선정기준
대장암으
진단받고
필요한
모든
료가
종료된
19
이상의
대장암
생존자 이며
,
현재
전신
상태
(per-
for mance status)
Eastern-Cooperative-Oncology-Group performance
status (ECOG-PS)
기준
0-2
해당하는
자였다
.
대상자
제외
기준은
장암
이외의
다른
암을
진단받은
자로
하였다
.
3. 연구 도구
1) 신체구성요인
신체 요인
신장
,
체중
,
체질량지수
,
근육량
,
체지방량
허리
둘레를
측정하였다
.
신장은
자동측정
신장기
(JENIX, DS-103, Korea)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체중
,
근육량
,
체지방량
체성분 정기
(B IO- SPACE, InBody 720, Korea)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체질량지
https://www.ksep-es.org
https://doi.org/10.15857/ksep.2021.00318
변지용 외대장암생존자배변증상개선운동 | 143
(Body mass index, BMI)
체중
(kg)
신장
(m)
제곱으
나눈
용하였다
.
허리둘레는
있는
상태에서
배꼽
위치
둘레를
줄자
측정하였다
.
2) 체력 측정
체력은
하체
근지구력
,
악력
,
코어
근지구력
,
안정시
심박수
,
심폐지
구력을
측정하였다
.
하체
근지구력
30
초간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
(Sit to stand)
측정하였으며
, 30
동안
의자에
앉았다
완전하게
일어선
다시
앉았을
횟수를
기록하였다
[17] .
악력은
악력계
(T.K.K 5401, TAKEI, Japan)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
몸통과
팔이
15°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팔을
아래로
곧게
펴서
좌우
교대로
2
시하여
최댓값을
용하였다
[18].
코어
근지구력
검사는
45
도인
지지대
기대고
누워
양손을
교차하여
어깨에
올린
상태에서
지지대
제거
유지할
있는
시간을
단위로
측정하였다
[19].
안정시
심박수
무선
심박계
(Polar FT1, US)
이용하여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한
측정하였다
.
심폐지구력은
Tecumseh
스텝
테스트로
측정하였으며
,
상태에서
20.3 cm
스텝
박스를
메트로놈
(MH-200 CM, Muz-
tek, Korea)
박자
(96 beat/min)
맞춰
분당
24
번의
스텝
동작을
3
실시하고
1
휴식
후의
심박수
측정하였다
[20].
4) 신체활동량
신체활동량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
tionnaire, GPAQ)
한글판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G PAQ
·
고강
일에
관련된
활동
(min/week, Cohens kappa: 0.30-0.38),
장소
이동
활동
(mi n/week),
·
고강도
여가에
관련된
활동
(min/week, Cohens
kappa: 0.60-0.67),
좌식
시간
(mi n/day)
측정할
있는
16
문항으
구성되
있다
.
추가로
국민건강영양조사
문항과
동일하게
일주일
근력운
여일과
걷기량
설문하였다
. G PAQ
속도계
사용한
타당도는
0.34
검증되었
[21].
5) 삶의 질
건강관련
삶의
질은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
ment of Cancer (EORTC QLQ-C30) version 3.0
으로
측정하였다
.
설문
지는
30
문항으
전반적인
삶의
2
문항
,
기능
영역
15
문항
,
증상
영역
13
문항으
구성되
있으며
, Yun et al. [22]
국내에서
번역한
설문지를
용하였다
(Cronbachs α=.60-.87).
배변
증상
관련
삶의
Colorectal Cancer Specific Core Questionnaire (EORTC QLQ-
CR29)
측정하였으며
,
설문지는
장루
유무를
묻는
1
문항을
제외
하면
대상자의
성별에
맞는
문항
26
개를
기준으
기능
영역
6
문항
,
영역
20
문항으
구성된다
.
증상영역에서는
장루를
가진
환자에게
해당하는
문항을
제외하고
장루를
가지지
않은
환자
위한
19
항을
이용했으며
Ihn et al. [23]
국내에서
번역한
설문지를
사용하였
(Cronbach
s α= .70 -.87).
4. 운동 중재
연구의
운동
중재는
1
감독하
운동과
6
가정에서
참여
하는
동으
구성이
되었으며
,
동프 그램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Tab le 1
서술되었
.
동프 그램의
구체적인
목표는
주당
·
강도
신체활동을
150
이상으
참여할
있도록
권유하고
,
대상자
근력과
배변
관련
증상을
완화 하기
위해
근력운동
최소
3
Fig. 1. Study design and analysis method.
https://www.ksep-es.org
144 |Ji-Yong Byeon, et al. Exercise for Symptoms in Colorectal Cancer
Vol.31, No. 1, February 2022: 141-155
이상
참여할
있도록
권고하였다
[24].
감독하
운동은
전문가의
지도
하에
6
주간
1
60
분간
그룹
운동
운동
교육
제공하였다
.
감독
운동
로그램
트레칭
(5
),
근력운
(50
),
트레칭
(5
)
서로
진행되었으며
,
모든
근력
운동
동작은
자신의
체중을
이용하며
대장암
생존자를
대상으
개발된
8
가지
근력
운동
[14]
배변
관련
증상을
개선할
있는
4
가지
동작을
추가하
12
가지로
구성하였
.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근력운동은
골반기울 이기
(Posterior pelvic
tilting),
숄더
브릿지
(Shoulder bridge),
상체들어올리기
(Crunch),
균형
잡기
(Bird-dog exercise),
멕켄지
운동
(McKenzie exercise),
굽혀펴기
(Push up),
스쿼트
(Squ at),
대고
숄더
프레스
(Wall shoulder press with
elbow and back of hand touching the wall),
골반
외전운
(External ro-
tation of the hip),
공조이기
(Ball squeeze with knee in bridge position),
카프
레이즈
(calf raises),
슈퍼맨
운동
(superman exercise)
진행하였으
모든
운동은
환자의
수행
능력에
따라
10-15
반복하고
1-3
세트를
실시하였다
.
동프 그램은
동작
수행도의
난이도
가장
낮은
운동 부터
제공
하였고
,
특정
동작을
수행하면서
대상자가
쉽게
느끼게
되는
시점을
파악하여
난이도
단계
높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
이러
동작을
난이도에
따라
·
·
고로
나누고
,
대상자의
특성
,
관절의
상태
,
체력
상태에
따라
변형된
운동
로그램
제공하였다
(Table 1).
가정
기반
운동
로그램
연구에서
제시된
감독하
운동프
그램
12
가지
동작을
가정에서
1-3
세트씩
최소
3
이상
,
걷기는
만보
이상을
수행하여
동전문가 에게
받은
운동
일지에
매일
성하고
일주일에
한번
감독하
운동
교육
시간에
확인받도록
권유하였
.
대조군은
측정
이외에
운동
교육
실시하지
았으며
일반적인
환자의
치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
5. 자료 수집
자료
수집은
설문
조사와
체력
측정
,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
.
양적
자료는
운동
전과
운동
2
같은
연구자에
의하여
수집
되었으며
,
신체 요인
(
체중
,
신장
,
근육량
,
체지방량
)
체력
(
하체
지구력
,
악력
,
코어
근지구력
,
안정시
심박수
,
심폐
지구력
)
측정하고
신체적
,
기능적
삶의
(EORTC QLQ-C30)
배변
증상
(EORTC
QLQ -CR29)
대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
질적
자료는
대장암
생존자
운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
심리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
운동
프로
그램의
적절성에
대해
파악 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
면담은
운동
중재가
마무리되
6
주차에
운동군
9
명을
대상으
30
분가량
진행했으며
,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1
1
면담으
이루어
Table 1. Supervised and home-bas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General purpose of the exercise program
To meet weekly 150 min of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twice weekly strength exercise
General description of the exercise program
Both Supervised and home-based exercise program implemented in this pilot study to meet the general purpose of the exercise goal
Once a week supervised exercise
Daily home-based exercise
Supervised exercise (1 hour per session, once a week)
Main goal of the supervised exercise are three folds
Instruct participants to correctly perform prescribed exercises
Encourage participants to be compliant to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hand in their exercise diary
Home-based exercise (Daily)
Main goal of the home-based exercise is to perform calisthenics exercise daily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perform at least one set of exercise (8-12 different exercises) and stretching (At least 3 days per week, but preferably
most of the days) daily
To increase cardiopulmonary fitness and increase energy expenditur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perform more than once set of exercises (8-12
different exercises) daily
Another goal of the home-based exercis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walk 10,000 steps most of the day (at least five days a week)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take complete rest at least once a week (no exercise day)
Composition of calisthenics exercise implemented in this study
Basic 8 exercises which increase ROM and strength of shoulder (Extensors, Horizontal adductors/abductors, scapula adductors/abductors), lower back
(spine flexors/extensors), Hip (Flexors/extensors, adductors/abductors), Knee (Flexors/extensors) and ankle (Plantar flexors)
Additional 4 exercise to increase core strength and stability
Pelvic floor muscles & core strengthening exercises to improve bowel symptoms
https://www.ksep-es.org
https://doi.org/10.15857/ksep.2021.00318
변지용 외대장암생존자배변증상개선운동 | 145
졌다
.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여
모든
연구
여자가
같은
질문을
하여
경험한
내용을
진솔하게
이야기할
있도록
하였으며
,
모든
내용은
참여자의
동의를
받고
기록하고
녹취하였다
.
6. 대상자 수
연구를
위한
대상자
산출은
G-power 3.1
이용하였다
. Hung
et al. [25]
연구를
참조하여
운동 군과
대조군의
삶의
평균
표준
편차
값을
(
운동군
: 14.68±1.49 vs.
대조군
: 12.91 ±2.91; p= .01)
기반으
효과
크기를
계산하였으며
,
검정력
80%,
유의수준
5%
가정하여
출한
결과
그룹
28
56
출되었다
.
연구는
치료
종료된
장암
환자의
운 동효과 를
규명하기
위한
파일럿
연구임을
고려하였을
,
전체
대상자의
30%
18
(
운동군
: 9
,
대조군
: 9
)
에서
탈락
10%
고려하
20
(
운동군
: 10
,
대조군
: 10
)
계획하였다
.
대상자
모집군
포함된
40
,
바쁨
(11
),
실제
거주지가
지방
(5
),
관심
없음
(3
),
신체적
문제
(3
),
증상
없음
(1
),
운동군을
원하지
(1
),
사전
측정
불참
(1
)
이유로
25
명을
제외하고
,
15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Fig. 2).
7. 자료 분석
연구의
양적
자료에
대한
효과
검증은
SPSS 24.0
사용하여
석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
하였다
.
중재
대상자
특성은
빈도
분석
,
기술
통계
,
비모수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검정
으로
분석하였다
.
신체
조성
신체활동량
,
삶의
,
배변
증상의
운동
중재
전과
후에
대한
운동 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Ma nn-Whit-
ney
석하였으며
,
그룹
중재
,
후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는
비모수
대응표본
Wilcoxon
으로
분석하였다
.
질적
자료는
전통적
내용분석방법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이용하여
귀납적으
도출하였다
[26].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프로그
참여에
따른
변화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하여
비슷한
의미를
나타
내는
주제를
형성하였다
.
녹음한
면담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언어
대로
전사한
,
연구자가
녹음한
자료를
들으면
자료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
연구자
반복적으
자료를
읽으면
전체의
의미를
악한
자료에서
드러나
의미
있는
단어나
,
문장
등을
도출하여
유사한
의미를
모아
하위
범주를
생성하였으며
,
하위
범주는
상성이
높은
상위
범주로
분류하였다
.
연구 결과
1. 연구 참여자 특성
연구의
참여자
특성은
Tab le 2
같다
. 1
측정
참여한
16
대조 군으
배정된
1
명은
연구
비참여
의사를
밝혔고
1
명은
군으
배정되지
않을
경우
,
연구
비참여
의사를
밝혔다
.
따라서
,
운동군
8
,
대조군
8
명으로
무작위
배정을
진행하려
계획에서
변경되어
운동군
9
,
대조군
6
명으로
배정되었다
.
그룹의
평균
나이는
운동
53.9
,
대조군
60.8
세로
나타났으며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그룹
유의한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았다
.
운동군
9
8
명은
감독하
운동
6
모두
참여하였고
, 1
명의
상자만
건강상의
이유로
2
불참하여
감독하
그룹
운동
(Supervised
group exercise)
로그램
수행률은
평균
96.3%
였다
.
가정기반
운동
수행률
일지를
통해
확인하고
하였으나
,
일지의
수거율
50%
미만 이었고
,
일지를
확인
받은
대상자
중에도
동일지를
충실히
록되지
않은
것이
확인되어
정확한
가정
기반
운동의
수행률은
확인
없었다
.
2. 양적 데이터 분석 결과
1)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중재 후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활동량의 변화
대장암
생존자의
중재
신체조성
,
체력
신체활동량
변화
대한
결과는
Tab le 3
같다
. 6
주간의
운동
중재
참여
운동군에
근육량이
증가하
체지방률
감소하
경향
보였으
하체근
Fig. 2. Flowchart of study.
Enrollment
& Screening
(n = 40)
Baseline assessment
(n = 15)
Intervention group
(n = 9)
6 week follow-up
Analysis (n =9)
6 week follow-up
Analysis (n =6)
In-depth interview
(n = 9)
Usual care group
(n = 6)
Allocation
Excluded
Too busy (n = 11)
Not resident to Seoul (n =5)
Not interested (n= 3)
Physical problem (n= 3)
No symptoms (n =1)
Refused to travel (n= 1)
Unable to contact (n =1)
https://www.ksep-es.org
146 |Ji-Yong Byeon, et al. Exercise for Symptoms in Colorectal Cancer
Vol.31, No. 1, February 2022: 141-155
지구력
,
코어
근지구력
,
코어
근력이
증가하
경향
보였다
.
또한
,
군의
·
고강도
신체활동량이
증가하였고
(178.3 ±238.4 min/week,
p= .04 2),
근력운동
참여
일수가
주당
평균
0.4
일에서
6.1
일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0 01).
2)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중재 후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는
Tab le 4
같다
.
운동
중재
참여
운동 군에서
오심과
구토
,
통증
,
호흡곤란
,
변비
,
설사의
증상이
감소하
경향
보였으
,
인지
기능은
운동
(81.5 ±15.5)
보다
운동
(88.9±14.4)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 .046),
사회
기능은
운동
(81.6 ±12.9)
보다
운동
(96.3±11.1)
유의하게
가하였다
(p= .00 2).
또한
,
운동 군에서
피로감
(-16.0 ±1 3.7, p=. 00 8)
면증
(-22 .2 ±23. 6, p<.022)
감소하였다
.
또한
,
역할
기능은
운동군
(9.3
±16.9)
대조군
(-13.9 ±12 .5)
보다
유의하게
상되었다
(p= .016) .
3)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후 배변 증상 관련 삶의 질의 변화
대장암
생존자의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
중재
배변
증상
관련
질의
변화는
Table 5
같다
.
군의
배변
증상
배변
횟수가
(46 .3 ±23.2)
비해
운동
(22.2 ±16.7)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 .026)
가스
참이
운동
(55. 6 ±33.3)
비해
운동
(29.6 ±2 0.0)
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003),
갑작스런
변의가
운동
(4 8.1 ±17.6 )
비해
운동
(18.5 ±17.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002).
가스
참은
운동군
(-25 .9 ±22.2)
대조군
(0.0 ±0.0)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 .014)
갑작스런
변의는
운동군
(-29.6 ±20. 0)
대조군
(-5.6 ±13.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025).
Table 2.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Factors All (n= 15) Exercise (n =9) Control (n =6) p-value
Age (yr) 56.7 (51.9, 61.4) 53.9 (48, 59.8) 60.8 (53.6, 68.1) .388
Gender .667
Male 6 (40.0) 4 (44.4) 2 (33.3)
Female 9 (60.0) 5 (55.6) 4 (66.7)
Married 10 (66.7) 6 (66.7) 4 (66.7) .172
Complemented Univ. 10 (66.7) 7 (77.8) 3 (50.0) .264
Drinking .792
Never/Past 7 (46.7) 5 (55.6) 2 (33.3)
Current 8 (53.3) 4 (44.4) 4 (66.7)
Smoking
Never 8 (53.3) 5 (55.6) 3 (50.0)
Past 7 (46.7) 4 (44.4) 3 (50.0)
Current 0 (0) 0 (0) 0 (0)
Weight (kg) 62.2 (56.8, 67.7) 59.6 (53.5, 65.7) 66.2 (56.3, 76.1) .272
BMI (kg/m2)23.2 (21.5, 25.0) 22.1 (20.5, 23.7) 25.0 (21.7, 28.2) .181
Site of Cancer .667
Colon 9 (60.0) 5 (55.6) 4 (66.7)
Rectal 6 (40.0) 4 (44.4) 2 (33.3)
Stage .420
I4 (26.7) 2 (22.2) 2 (33.3)
II 9 (60.0) 6 (66.7) 3 (50.0)
III 2 (13.3) 1 (11.1) 1 (16.7)
Duration after diagnosis .264
< 2 yr 5 (33.3) 4 (44.4) 1 (16.7)
≥ 2 yr 10 (66.7) 5 (55.6) 5 (83.3)
Hypertension .475
No 11 (73.3) 6 (66.7) 5 (83.3)
Yes 4 (26.7) 3 (33.3) 1 (16.7)
Diabetes .205
No 14 (93.3) 9 (100) 5 (83.3)
Yes 1 (6.7) 0 (0) 1 (16.7)
Mean (1st and 3rd quartiles) or n (%).
BMI, body mass index.
https://www.ksep-es.org
https://doi.org/10.15857/ksep.2021.00318
변지용 외대장암생존자배변증상개선운동 | 147
Table 3. Changes i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Variables Exercise (n= 9) Control (n =6) p-value
Pre Post Difference Pre Post Difference
Weight (kg) 59.6 (53.5, 65.7) 59.6 (53.7, 65.6) 0.0 (-0.6, 0.6) 66.2 (56.3, 76.1) 66.0 (55.5, 76.4) -0.3 (-1.0, 0.5) .679
BMI (kg/m2)22.1 (20.5, 23.7) 22.1 (20.5, 23.7) 0.0 (-0.2, 0.2) 25.0 (21.7, 28.2) 25.0 (21.4, 28.5) 0.0 (-0.3, 0.3) .905
Muscle mass (kg) 24.6 (21.8, 27.4) 24.9 (22.1, 27.7) 0.3 (-0.1, 0.7) 24.9 (21.1, 28.7) 24.8 (20.8, 28.7) -0.2 (-0.5, 0.2) .155
Body fat (%) 24.7 (20.1, 29.2) 23.8 (19.2, 28.4) -0.9 (-1.8, 0.0) 30.5 (23.6, 37.5) 30.7 (23.8, 37.7) 0.2 (-0.4, 0.8) .124
RHR (bpm) 69.8 (65.0, 74.6) 69.8 (62.7, 76.8) 0.0 (-4.6, 4.6) 65.7 (59.9, 71.5) 71.3 (64.0, 78.7) 5.7 (2.0, 9.3) .140
HRR30s (bpm) 93.4 (85.6, 101.3) 96.4 (90.0, 102.9) 3.0 (-1.5, 7.5) 98.5 (88.1, 108.9) 98.2 (88.5, 107.9) -0.3 (-2.7, 2.1) .437
HRR60s (bpm) 80.8 (74.4, 87.2) 81.3 (74.9, 87.7) 0.6 (-4.2, 5.4) 79.7 (69.7, 89.6) 83.8 (72.4, 95.2) 4.2 (-1.5, 9.9) .594
Chair stand test (reps) 26.7 (23.0, 30.3) 27.1 (24.1, 30.1) 0.4 (-1.3, 2.2) 20.7 (18.3, 23.1) 24.0 (19.1, 28.9) 3.3 (-1.0, 7.7) .234
Core endurance (sec) 76.0 (39.9, 112.1) 88.7 (42.9, 134.4) 12.7 (-41.0, 66.4) 42.0 (24.0, 60.0) 26.8 (22.3, 31.4) -15.2 (-32.4, 2.0) .194
Core strength (mmHg) 97.1 (87.8, 106.4) 107.9 (97.0, 118.8) 10.8 (0.4, 21.2) 84.1 (68.1, 100.2) 87.4 (76.3, 98.5) 3.3 (-6.6, 13.1) .409
Hand grip strength (kg) 30.5 (26.0, 35.0) 30.7 (26.6, 34.7) -0.2 (-2.1, 1.7) 27.8 (22.1, 33.5) 28.0 (22.4, 33.6) -0.2 (-1.4, 1.0) .906
MPA (min/week) 191.7 (108.8, 274.5) 316.7 (161.1, 472.3) 125.0 (-38.5, 288.5) 154.6 (22.1, 287.1) 65.0 (0, 140.0) -89.6 (-176.2, -2.9) .137
VPA (min/week) 0.0 (0.0, 0.0) 53.3 (0.0, 130.4) 53.3 (-23.7, 130.4) 0.0 (0.0, 0.0) 0.0 (0.0, 0.0) 0.0 (0.0, 0.0) .129
MVPA (min/week) 191.7 (108.8, 274.5) 370.0 (205.1, 534.9) 178.3 (22.6, 334.1)* 154.6 (22.1, 287.1) 65.0 (0.0, 140.0) -89.6 (-176.2, -2.9) .037
Resistance training (day/week) 0.4 (0.0, 1.1) 6.1 (5.2, 7.0) 5.7 (4.5, 6.8)* 0.5 (-0.5, 1.5) 0.3 (0.0, 1.0) -0.2 (-0.5, 0.2) .001
Mean (1st and 3rd quartiles).
BMI, body mass index; RHR, resting heart rate; HRR30s, heart rate recovery at 30 sec after step test cessation; HRR60s, heart rate recovery at 60 sec after step test cessation; MPA, moderate physical
activity; VPA, vigorous physical activity; MVPA, moderate-vigorous physical activ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p<.05), p= Exercise (difference pre-post) vs. Control (difference pre-post),
Table 4. Chang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ORTC QLQ-C30
Variables Exercise (n= 9) Control (n =6) p-value
Pre Post Difference Pre Post Difference
Functional scales
Physical functioning 88.9 (80.7, 97.0) 92.6 (87.5, 97.7) 3.7 (-1.2, 8.6) 75.6 (63.1, 88.0) 78.9 (69.7, 88.1) 3.3 (-11.7, 18.3) .368
Role functioning 87.0 (78.0, 96.1) 96.3 (89.0, 103.6) 9.3 (-1.8, 20.3) 83.3 (62.7, 104.0) 69.4 (51.7, 87.2) -13.9 (-23.9, -3.9) .016
Emotional functioning 82.4 (75.0, 89.8) 91.1 (85.8, 96.4) 8.7 (1.2, 16.2) 66.7 (43.6, 89.8) 64.7 (41.2, 88.3) -2.2 (-4.0, -0.4) .055
Cognitive functioning 81.5 (71.4, 91.6) 88.9 (79.5, 98.3) 7.4 (1.7, 13.1)* 75.0 (58.7, 91.3) 75.0 (61.0, 89.0) 0.0 (-8.4, 8.4) .174
Social functioning 81.6 (73.2, 90.0) 96.3 (89.0, 103.6) 11.1 (3.4, 18.8)* 69.4 (43.6, 95.3) 86.1 (68.4, 103.8) 8.3 (-15.1, 31.8) .196
Symptom scales
Fatigue 25.9 (17.0, 34.8) 9.9 (4.2, 15.5) -16.0 (-25.0, -7.1)* 48.1 (39.0, 57.3) 40.7 (14.6, 66.9) -7.4 (-28.2, 13.4) .431
Nausea and vomiting 1.9 (0.0, 5.5) 0.0 (0.0, 0.0) -1.9 (-5.5, 1.8) 0.0 (0.0, 0.0) 5.6 (0.0, 16.4) 5.6 (-5.3, 16.4) .163
Pain 14.8 (2.1, 27.5) 7.4 (0.0, 17.0) -7.4 (-18.4, 3.6) 22.2 (11.3, 33.1) 22.2 (8.4, 36.0) 0.0 (-8.4, 8.4) .405
Dyspnoea 14.8 (3.3, 26.3) 11.1 (0.2, 22.0) -3.7 (-11.0, 3.6) 16.7 (-5.6, 39.0) 22.2 (0.4, 44.0) 5.6 (-5.3, 16.4) .163
Insomnia 37.0 (9.4, 64.7) 14.8 (0.0, 30.6) -22.2 (-37.6, -6.8)* 44.4 (22.7, 66.2) 44.4 (22.7, 66.2) 0.0 (-16.9, 16.9) .090
Appetite loss 3.7 (0.0, 11.0) 3.7 (0.0, 11.0) 0.0 (0.0, 0.0) 11.1 (-2.7, 24.9) 16.7 (0.0, 49.3) 5.6 (-20.7, 31.8) 1.000
Constipation 29.6 (12.6, 46.7) 11.1 (0.2, 22.0) -18.5 (-34.3, -2.7) 50.0 (22.0, 78.0) 44.4 (30.7, 58.2) -5.6 (-31.8, 20.7) .256
Diarrhea 18.5 (7.0, 30.0) 7.4 (0.0, 17.0) -11.1 (-22.0, -0.2) 33.3 (16.5, 50.2) 27.8 (7.7, 47.9) -5.6 (-25.6, 14.5) .683
Financial difficulties 7.4 (0.0, 17.0) 0.0 (0.0, 0.0) -7.4 (-17.0, 2.2) 50.0 (22.0, 78.0) 27.8 (1.6, 54.0) -22.2 (-44.0, -0.4) .227
Global health status 73.1 (65.1, 81.2) 75.0 (59.6, 90.4) 1.9 (-16.8, 20.5) 54.2 (40.3, 68.0) 51.4 (25.9, 76.8) -2.8 (-15.2, 9.6) .393
Mean (1st and 3rd quarti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p<.05), p= Exercise (difference pre-post) vs. Control (difference pre-post)
https://www.ksep-es.org
148 |Ji-Yong Byeon, et al. Exercise for Symptoms in Colorectal Cancer
Vol.31, No. 1, February 2022: 141-155
Table 5. Chang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ORTC QLQ-CR29
Variables Exercise (n= 9) Control (n =6) p-value
Pre Post Difference Pre Post Difference
Functional scales
Body Image 22.2 (9.1, 35.3) 16.0 (6.4, 25.7) -6.2 (-12.6, 0.2) 50.0 (27.7, 72.3) 31.5 (10.1 52.8) 13.0 (-3.3, 29.3) .254
Anxiety 40.7 (31.1, 50.3) 29.6 (16.5, 42.7) -11.1 (-22.0, -0.2) 44.4 (16.9, 72.0) 38.9 (7.7 70.1) 5.6 (-5.3, 16.4) .163
Weight 33.3 (11.6, 55.1) 25.9 (7.8, 44.1) -7.4 (-28.6, 13.8) 61.1 (34.9, 87.3) 50.0 (22.0 78.0) 0.0 (0.0, 0.0) 1.000
Sexual interest (M) 41.7 (30.8, 52.6) 33.3 (15.6, 51.1) -8.3 (-19.2, 2.6) 44.4 (29.0, 59.8) 44.4 (29.0 59.8) 0.0 (0.0, 0.0) .386
Sexual interest (F) 50.0 (37.4, 62.6) 41.7 (30.8, 52.6) -8.3 (-19.2, 2.6) 22.2 (6.8, 37.6) 33.3 (6.7 60.0) 0.0 (0.0, 0.0) 1.000
Symptom scales
Urinary frequency 13.0 (2.4, 23.5) 16.7 (0.3, 33.0) 3.7 (-12.4, 19.8) 41.7 (27.7, 55.7) 27.8 (20.9 34.7) -13.9 (-27.0, -0.8) .157
Blood and mucus in stool 1.9 (0, 5.5) 5.6 (0, 13.3) 3.7 (-5.4, 12.8) 0.0 (0.0, 0.0) 0.0 (0.0 0.0) 0.0 (0.0, 0.0) .613
Stool frequency 46.3 (31.1, 61.5) 22.2 (11.3, 33.1) -24.1 (-36.4, -11.8)* 44.4 (28.3, 60.6) 41.7 (19.8 63.6) -2.8 (-20.5, 14.9) .078
Urinary incontinence 7.4 (0, 17.0) 5.6 (0.0, 13.3) 3.7 (-3.6, 11.0) 27.8 (7.7, 47.9) 22.2 (0.4 44.0) -5.6 (-16.4, 5.3) .163
Dysuria 3.7 (0, 11.0) 3.7 (0, 11.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1.000
Abdominal pain 14.8 (0, 30.6) 7.4 (0, 17.0) -7.4 (-17.0, 2.2) 16.7 (2.1, 31.3) 16.7 (2.1 31.3) 0.0 (-16.9, 16.9) .447
Buttock pain 18.5 (2.7, 34.3) 11.1 (0.2, 22.0) -7.4 (-25.6, 10.7) 16.7 (0.0, 39.0) 11.1 (0.0, 24.9) -5.6 (-25.6, 14.5) .849
Bloating 37.0 (20.0, 54.1) 22.2 (11.3, 33.1) -14.8 (-34.0, 4.4) 38.9 (12.7, 65.1) 38.9 (12.7 65.1) 0.0 (-16.9, 16.9) .301
Dry mouth 18.5 (2.7, 34.3) 22.2 (11.3, 33.1) -7.4 (-17.0, 2.2) 22.2 (8.4, 36.0) 44.4 (22.7 66.2) 11.1 (-10.7, 32.9) .107
Hair loss 0.0 (0.0, 0.0) 3.7 (0.0, 11.0) 3.7 (-3.6, 11.0) 16.7 (0.0, 49.3) 16.7 (0.0, 49.3) 0.0 (0.0, 0.0) .414
Taste 14.8 (0, 36.9) 14.8 (0, 36.9)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1.000
Flatulence 55.6 (33.8, 77.3) 29.6 (16.5, 42.7) -25.9 (-40.4, -11.4)* 61.1 (34.9, 87.3) 61.1 (34.9 87.3) 0.0 (0.0, 0.0) .014
Fecal incontinence 29.6 (16.5, 42.7) 18.5 (7.0, 30.0) 11.1 (-4.3, 26.5) 22.2 (8.4, 36.0) 16.7 (2.1 31.3) -5.6 (-16.4, 5.3) .496
Sore skin 25.9 (7.8, 44.1) 22.2 (6.8, 37.6) -3.7 (-16.8, 9.4) 22.2 (8.4, 36.0) 27.8 (7.7 47.9) 5.6 (-20.7, 31.8) .672
Embarrassment 48.1 (36.7, 59.6) 18.5 (7.0, 30.0) -29.6 (-42.7, -16.5)* 50.0 (22.0, 78.0) 44.4 (16.9 72.0) -5.6 (-16.4, 5.3) .025
Impotence 25.0 (14.1, 35.9) 25.0 (14.1, 35.9) 0.0 (0.0, 0.0) 66.7 (66.7, 66.7) 66.7 (66.7 66.7) 0.0 (0.0, 0.0) 1.000
Dyspareunia 25.0 (14.1, 35.9) 22.2 (0.0, 47.4) 0.0 (-10.9, 10.9) 11.1 (0.0, 26.5) 16.7 (0.0, 35.5) 0.0 (0.0, 0.0) 1.000
Mean (1st and 3rd quarti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p<.05), p= Exercise (difference pre-post) vs. Control (difference pre-post).
https://www.ksep-es.org
https://doi.org/10.15857/ksep.2021.00318
변지용 외대장암생존자배변증상개선운동 | 149
3. 질적 데이터 분석 결과
1)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참여 후 나타난 신체적 변화
질적
자료를
통해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참여
나타난
신체
변화
살펴본
결과
,
신체조성의
변화
,
체력
향상
,
신체활동량
나타났다
.
첫째
,
신체
조성의
변화로
질적
자료에서
운동군
50%
이상의
여자들
운동
중재를
참여하면서
체중이
감량되고
지방이
감소된
같다고
하였으며
,
특히
,
뱃살이
들어간
같다고
말하였다
.
또한
,
근육이
단단해짐을
느끼고
몸이
탄탄해졌다
언급하였다
.
연구
여자들
운동을
통해서
수치적인
체중
감량
아니라
외형적으
인지되는
체형의
변화
느끼고
있었다
.
샤워를
,
몸을
이렇게
보게
되더라고
.
전보다
배가
들어간
같고
느낌이
그래요
. (
참여자
3)
가장
거는
팔뚝
정리된
.
그리고
뱃살이
들어간
같아
. (
생략
)
다리를
만져보면
근육이
뭔가
단단해졌다
느껴요
.
여름까지도
말랑말랑
했었거든요
?
근데
요즘
이거
하고나서
허벅지
단단해졌다
내가
느껴요
. (
참여자
5)
체중이
빠졌어
.
뭔가
이렇게
탄탄해지는
느낌이라가지고
,
근육
조금
생겼나
?
그런
생각이
... (
참여자
6)
지방이
줄어든
같고
,
몸이
가벼워진
같기도
하고
... (
여자
8)
굽혀펴기도
안하 다가
지금은
20-30
개씩
하니까
팔도
두꺼워졌
다리도
단단해진
같은
느낌이
들어요
. (
참여자
9)
둘째
,
체력
향상에
대한
부분으
,
운동군
참여자들은
6
주간
꾸준
운동에
참여하면서
운동
능력이
향상됨을
느낀다고
하였다
.
운동
지속할수
숨참이
줄어들고
점차적으
있는
운동
횟수와
양이
증가하
,
운동
쉬는
시간이
감소하
주관적으
인지하
체력이
향상되고
있다고
있었다
.
주하고
비교를
하면
숨이
되게
찼거든요
.
하나
하고
나면
힘들
었는데
2
, 3
주차
까지도
조금
힘들다가
3
주차
되고
하니까
수월해요
. (
참여자
1)
2
주일에
,
시간
정도
되는
등산을
해요
.
그곳
내지는
정도를
쉬고
정상까지
올라갔었는데
요새는
바로
번에
올라
가더라고
.
좋아 졌기는
했는가보다
하는
생각을
합니다
. (
참여자
3)
예전에
굽혀펴기도
번하고
쉬고
했는데
, 30
번에
쉰다던
.
횟수를
나눴던
연속적으
하는
...
지금은
저녁에
하면
연속
적으로
앉았다
섰다
하는
(
스쿼트
)
50
바로
연속으
하거든
.
그니깐
지금은
연속적으
수가
있겠더라고
. (
참여자
4)
또한
,
운동군
참여자들은
근력이
증가한
경험에
대하여
말하며
,
력이
향상됨을
느끼면서
운동
동작도
수행할
있게
되었고
전과
달라진
같다고
언급하였다
.
약간
근력이
붙기
시작하면서
,
우와
-
달라요
.
조금만
하면
힘들고
랬는데
근력이
진짜
없었나
봐요
.
내가
생각해봐도
옛날에
내가
아닌
같이
근력이
확실히
늘긴
늘었어요
. (
참여자
2)
복근과
허벅지
근력이
좋아진
같아요
.
개인적으
내가
복근
되는
것에
깜짝
놀랐지
.
예전에는
복근이
괜찮았었는데
,
최근에
복근
개도
못하는
것에
놀랐어
.
꾸준히
한달
정도만
한다면
복근
힘이
좋아질
같아요
. (
참여자
7)
또한
,
운동군
참여자들은
운동
로그램
전후로
시행한
스트레
운동의
근육
수축과
이완은
유연성
증가에도
도움을
주었다
.
트레칭
동작이
예전에는
고통스러웠지만
이제는
조금
참고
동작을
있게
되었고
근육이
부드러워진
것을
느끼며
어깨
유연성도
아졌다고
언급하였다
.
이렇게
구부릴
(
앞으
상체를
기울이는
동작
)
전에는
조금
만해
아아
(
고통의
표현
)
했는데
지금은
그래도
조금
있고
,
참고
있는
같아요
. (
참여자
1)
근육이
부드러워진
기분은
드는
같아요
. (
참여자
8)
어깨는
운동을
하고
나니
좋아진
같은데
,
예전에
오십견이
었고
양쪽
,
오른쪽
왼쪽이
있어서
한의원
다니고
너무
좋았는데
여기서
로그램
참여하고
나서
팔이
펴지던
펴지는
. (
참여자
9)
셋째
,
운동군
참여자들은
신체활동량이
증가되었다
언급하고
.
운동
중재
참여를
통해
동적인
운동
참여에
능동적
운동
참여
변화했고
몸이
아지는
것을
느끼게
되니
자발적
운동에
여하게
되었다고
언급하였다
.
수동적으로
운동을
했던
부분들이
이제는
능동적으로
하게
되었
. (
참여자
7)
대장암
수술한
사람들은
무조건
권유를
해야될
필요가
있어
만보
계를
차고
만보를
걷는게
힘들어
근데
자꾸
걸으려고
하고
움직이려
하는
의식이
생겼어
그랬으면
인터넷이나
하고
티비도
보고
했을텐
요새는
머리
속에
박혀가지고
티비
보면서
왔다갔다
는게
생겼
어요
. (
참여자
8)
몸이
아지는
것을
느끼니
한번이라도
운동하려고
노력해
.
(
참여자
9)
https://www.ksep-es.org
150 |Ji-Yong Byeon, et al. Exercise for Symptoms in Colorectal Cancer
Vol.31, No. 1, February 2022: 141-155
2)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참여 후 나타난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질적
자료를
통해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참여
나타난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살펴본
결과
,
피로도
개선
,
수면의
향상
성취감
,
긍정적
사고
변화가
있는
것으
나타났다
.
첫째
,
운동군
참여자들은
치료
과정을
겪은
일상생활에서
느끼
피로감이
줄어들고
운동을
느끼던
피로감도
감소된
같다
언급하였다
.
버틸
힘이
생겼다고
해야
되나
?
예전에는
금방
피곤해서
쉬어야
조금
했으면
바로
마사지도
받고
그런
해야지
기력을
차려서
하고
집안일도
했는데
요새는
정신없이
바쁘게
돌아다니는
확실
버티는
힘이
생긴
같아요
. (
참여자
2)
똑같은
운동을
해도
피로도
감소한
같은
기분이
들어요
.
수술
후에
싸이클이나
걷기
정도
2
시간씩
했었는데
피로감을
많이
느꼈죠
.
컨디션이
좋으면
많은
피로감을
느꼈었는
지금은
2
시간
정도
걸어도
산책
갔다
정도예
. (
참여자
7)
둘째
,
운동군
참여자들은
수면
자주
깨거나
깊이
들기
어려웠
과거와
달리
,
운동을
통해
에너지가
소진되어
숙면을
취할
있게
되었고
,
수면
배변
문제로
자주
깨던
상태가
호전되면서
수면의
아졌다고
언급하였다
.
밤에
깨지
않고
자는
.
새벽에
5
시쯤
2
시간에
한번
씩은
깼는
...
요즘에
자기
전에
운동을
해서
그런지
정신없이
자요
. (
참여자
2)
같은
시간을
자도
몸이
가볍고
잠도
있게
되었어
. (
참여자
7)
잠을
자는
거는
는게
생겼어요
.
원래는
밤에
화장실을
계속
다니기
때문에
잤는데
요새
운동을
해서
그런지
잠깐을
자더라
자니까
일어날
개운한
기분이
들어
내가
스스로
느끼는
예요
. (
참여자
8)
셋째
,
운동군
참여자들은
1
회의
감독하
운동을
참여하고
한주간
과제를
집에서
수행하면서
강제성이
부여되지만
하고나면
성취감
뿌듯함을
느낀다고
언급하였다
.
예전에는
몸을
움직여야한다는
각은
갖고
있지만
생각대로
몸을
움직이지
못했는데
,
운동
로그램
참여
하면서
움직임
늘어나고
운동을
해냈다는
성취감을
느끼는
으로
나타났다
.
체크를
해주시잖아요
.
어떻게
보면
일주일
숙제잖아요
.
이런
강제성
있으니까
...
강제성이
없으면
되게
게을러지잖아요
.
사람이
...
아무리
돈을
주고
학원을
끊어도
안가거나
게을러
있는데
...
체크를
해주시니까
해야
같다는
....
하고
나면
정해주신걸
하고
나면
듯해요
. (
참여자
1)
예전에는
내가
몸을
너무
움직여
.
그게
사실
마음이
되게
불편해
.
내가
이러면
되는데
이런
생각을
하고
그랬는
,
일단
움직이
나니까
기분은
확실히
,
뭔가
해낸
그런
느낌은
받아요
..
그러니까
밖에
나가서도
좋은
있냐
소리도
들었고
. (
참여자
6)
넷째
,
운동군
참여자들은
운동을
참여하면서
긍정적인
생각이
늘어
나고
기분이
아졌다고
언급하였다
.
막연하게
운동을
하면
좋아질
이라는
기대감과
희망이
생겼으며
활기차졌다
느낌을
받고
있었다
.
하기
전에는
남는
시간에
멍을
때린다던가
TV
본다거
컴퓨
터를
하면
기분이
다운되잖아요
.
그런데
시간이
나면
이걸
(
운동
)
해야
 
되니까
하게
되니까
아무래도
!!
시간이
남네
하면은
운동을
하게
니까
하고
나서
훨씬
기분이
아져요
. (
참여자
1)
활발 해진거
같긴해
.(
웃음
)
그니까
활기차졌다
그래야
되나
?
같은
경우는
묵묵히
일하는
스타일이거든요
.
주변에
동요를
하지
않고
,
얌전
하게
...
근데
점점
목소리가
커지고
활발해졌다
그래야
되나
? (
참여자
5)
긍정적으
!
내가
움직였
,
내가
운동했다
,
뭔가
했다
하는
,
그런
생각하면
좋더라고
. (
참여자
6)
지금은
운동을
하다
보니
지금보다
많이
아지겠지라
기대
감과
희망이
생겨요
.
확신도
생기구요
. (
참여자
7)
기분이
좋은것
같아
뭔가
깨우친거
마냥
,
밝힌거
마냥
기분이
아요
.
열심히
하면
운동을
하면
좋아 질거라
생각해요
. (
참여자
8)
3)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참여 후 나타난 배변 관련 삶의 질의 변화
질적
자료를
통해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참여
나타난
배변
관련
삶의
질을
살펴본
결과
,
연구
여자가
가장
많이
소하는
증상
배변
문제로
대장암
생존자들
갑작스런
변의
,
잦은
배변
,
설사
,
배변
관련한
다양한
어려움
겪고
있었다
.
질적
자료에서
운동
중재에
참여한
대장암
생존자 들의
44.4%
에서
배변
조절
문제가
개선되었다고
언급하였다
.
운동을
수행하면서
항문에
힘이
생기고
조절할
있게
되어
화장실
가는
횟수가
줄어들고
수면
변실금
감소하
배변
관련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언급하였다
.
운동을
하면서
조금
그건
생긴
같아요
.
화장실을
참을
있는
.
괄약근이
조금
힘들었는데
...
왜냐면
변을
누면
항문이
많이
헐어
.
그래서
제가
치질약
발라요
.
예전에
치질약
바르고
그러면
문에
힘이
없는
같았는데
요즘
치질약
바르면
조금
항문에
힘을
는게
느낌이
와요
.
예전에
항문에
손을
넣어가지고
약을
바르면
들어갔는데
이제는
조금
힘을
줘야지만
어가거든
.
그리고
방귀
참을
있고
견딜
있더라고
.
근육이
생기다
보니깐
그런
부분
https://www.ksep-es.org
https://doi.org/10.15857/ksep.2021.00318
변지용 외대장암생존자배변증상개선운동 | 151
아지는
같아요
. (
참여자
4)
제가
음식을
조금
잘못
먹으면
바로
설사
해요
.
맞는
거를
먹으면
바로
설사
하거든
.
진짜
물처럼
나와요
.
물처럼까지
와야지
이제
멎어요
.
내가
물론
먹는
것도
설사하
증세가
너무
으니까
먹는
것도
신경써서
이렇게
계속
먹어왔겠지만
운동
하면서
(
)
없어요
.
그리고
밤에
무의식중에
변이
조금
새어나오는게
었는데
없어졌어요
.
이번에
이거
시작하면서부터
매일매일
운동하
아요
.
하니까
,
내가
근육
,
힘을
안다
그럴까
? (
참여자
5)
로그램에서
운동하라
대로만
했는데
화장실
가는
횟수가
50%
정도
감소한거
같고
변이나
가스
나오는
것도
좋아진
같아요
.
(
참여자
7)
변비가
있었고
설사도
있었고
불규칙
했었는데
조금
개선이
같아요
.
한번
변보기
시작하면
있는
없는거
나오다가
설사
했는
...
지금은
그런
부분들이
개선된
같아요
,
50%
정도는
개선이
같고
.
일반인들보다
약하니까
불시에
조금만
신호가
오면
가야
되었는데
요새는
괄약근
수축
운동을
하고
나니까
억제력이
생기
니까
그런
부분들이
좋아진
같아요
. (
참여자
9)
또한
운동군
참여자들은
운동을
통하여
배변
문제가
호전되어
신감도
생겼다
.
배변
문제가
아지면서
사람들과
교류하
것이
편해
졌고
외출할
때의
부담감도
줄어들어
일상생활
영위하는데
자신감
생겼다고
언급하였다
.
Fig. 3. The integrated interpret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on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는데
편해졌고
그러다보니
스스로
자신감
생겼어요
.
예전에는
상황들
이해하
사람들만
만났었는데
(
실수할까봐
),
요새는
(
배변문제
)
많이
감출
있는
정도라서
사람들
많이
만나고
여행도
다녀오고
운전해서
삼척까지
갔다
왔어요
. (
여자
7)
화장실
가는
때문에
멀리
나가
것도
어려웠었는
...
가려면
아예
빈속으
가야
화장실을
안가니까
...
그리고
약간
자신감이
생기
같아
'
운동을
하고
나면
아지겠다
'
라는
희망
때문인지
오기도
해서
그런지
약간
자신감이
생기는
같아요
. (
참여자
8)
4.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중재 효과에 대한 양적, 질적 자료의
통합적 해석
대장암
생존자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
로그램
중재
나타난
화를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통합하여
해석한
결과는
Fig. 3
같다
.
논 의
연구는
대장암
생존자의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
로그램
과와
실현
가능성을
아보았
.
결과
, 6
주간의
운동
로그램
여는
운동 군에서
신체활동량
증가
,
기능
관련
삶의
질의
향상
,
배변
증상이
감소하였다
.
비록
운동 군과
대조군
배정에
있어
무작위
당이
되지
않아
연구의
결과
통해
증상
완화
운동의
효과성
검증
https://www.ksep-es.org
152 |Ji-Yong Byeon, et al. Exercise for Symptoms in Colorectal Cancer
Vol.31, No. 1, February 2022: 141-155
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의
통합을
통하여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
로그램
참여가
대장암
생존자에게
어떠한
변화
나타냈는지
알아볼
있었던
의미
있는
연구라고
있다
.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참여는
여러
제약을
수반한다
.
대장암
생존
자들은
신체적
,
정신적
그리고
환경적인
제약으
대장암
치료
참여에
어려움
겪는
것으
고되었다
[27].
대장암
생존자
국스포츠의학회에서
권고하
신체활동에
대한
이행률
26.5%
과한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
기인할
것이다
[28]. Park et al.
[29]
암화학치료를
받은
대장암
환자들의
운동에
대한
인식은
치료에
도움
주는
요인으 로
알고
있으나
,
신체적
,
정신적
그리고
환경적인
제약과
운동에
관한
정보가
족하기
때문에
,
환자들의
상태를
고려한
운동
로그램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
선행연구
암생존자의
운동
참여율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
또는
그룹으
감독하
운동
육을
진행하거나
[30, 31]
가정
기반
운동에
운동
일지나
전화
상담을
진행하여
참여를
촉진하고
하였다
[14,32-35].
연구에서는
대장
생존자의
운동
참여의
제약을
낮추고
증상
완화에
중점을
운동
로그램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1
동전문가
함께
그룹으
운동
교육
진행하고
,
가정
기반
운동을
수행한
매일
운동
일지
작성할
있도록
권고하였다
.
결과
, Table 2
같이
운동군은
조군보다
주당
근력운
횟수와
중고강도
신체활동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
것을
확인할
있었다
.
이는
미국스포츠의학에서
권고하
주당
150
이상의
중강도
신체활동과
주당
2
이상의
근력
운동
기준에
부합하
것으
운동
로그램
대장암
생존자의
체활동
촉진하고
목표
운동
권장량
달성하
도움이
되었다
.
대장암
생존자를
대상으
신체활
참여를
조사한
선행연구에서
운동은
대부분의
환자가
어려움
없이
여하였지
,
근력운동
2
이상
참여하
대장암
환자
13.7%
고되었다
[28].
연구
1
동전문가
함께한
운동
교육이
대장암
생존자에게
동작
대한
이해도
숙련도를
증가시켰으며
참여자의
동기
부여가
떨어
지지
않도록
반복하여
강조하였기
때문에
,
여자가
가정에서
스스
근력운동
횟수가
높아진
것으
사료된다
.
대장암
생존자의
운동
참여는
신체적
기능과
체력
향상에
기여한
[36].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상태에
따라
난이도
낮은
운동
동작부터
시작하여
난이도를
점진적으
높여
운동
교육
진행하였
. 12
가지
동작을
10
회씩
반복하는
것을
기준으
하여
환자의
체력
따라
반복
횟수를
변경하거
1-3
세트로
강도를
조절하였다
.
또한
동작에
변형을
주어
같은
동작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제공하였다
.
결과
,
코어
근지구력과
코어
근력이
향상하는
경향성을
보였으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았다
. Awasthi et al. [37]
대장암
생존자의
수술
운동한
그룹이
수술
운동한
그룹보다
6
걷기
스트
(
전신
지구력
테스트
)
400 m
이상을
걷는
즈비가
4.2
(95%
CI:1.30-13.50)
높게
나타나
대장암
수술
운동은
대장암
생존자
높은
체력과
연관성이
있음을
있었다
.
그러나
연구와
Lin
et al. [38]
대장암
환자
대상으
감독하
중재
연구는
그룹
체력
변화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이러한
결과는
대장암
생존
자에게
감독하
운동을
중재하여도
체력은
향상 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
,
연구의
질적
연구
결과는
운동군
모두가
스스로
신체의
긍정적
변화
인지하고
있었다
.
이는
연구의
대상자
수가
적으며
중재
기간이
짧은
것과
운동
로그램
목적이
체력
증진을
위한
것이
아니
때문에
양적
연구
결과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 나지
않은
것으
사료된다
.
연구와
Lin et al. [38]
감독하
운동
중재가
대장암
생존자의
력을
증가시키지
못한
것처럼
보이나
,
신체활동량은
유의하게
증가시
키는
것으
나타냈다
.
이는
자격을
갖춘
전문가의
감독하
운동이
자의
목표
달성의
자신감과
결단력을
높인다고
고하고
있다
[39].
체활동량
증가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도움이
된다고
보고
되었다
[40]. Courneya et al. [41]
신체활동량이
많은
대장암
생존 자가
신체활동량이
적은
대장암
생존자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
보고하
였으며
, Fong et al. [42]
메타
분석을
통하여
대장암
생존자의
신체활
동량이
증가하
피로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기능이
상된다고
보고하였다
.
연구에
참여한
운동군은
6
주간
중재
참여
,
인지
기능과
사회
기능이
유의하게
상되었으며
,
로와
불면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신체적
,
기능적
삶의
질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또한
,
운동
그룹의
6
운동
참여
,
배변
횟수
,
가스
,
갑작스런
변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
가스
참은
그룹
간에
유의
차이를
나타냈다
.
대장암
배변
관련
증상을
완화 하기
위한
선행연구
케겔
운동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통해
중재하였다
. Terra et al. [43]
변실금
가지고
있는
대장
문합
수술
환자에게
바이오피드백
(
항문직장내압
)
련을
중재한
추적
관찰한
결과
,
항문의
기능이
유의하게
증가한
고하였으며
변실금
가지고
있는
대장암
생존자에게
바이오피
드백
훈련을
연구들
체계적인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석한
결과
,
변실금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
것으
나타났다
[44].
, Hung et al. [25]
연구에서는
대장
문합
수술
1, 2, 3, 6
개월마다
변실금
점수를
측정한
결과
,
중재군
대조군보다
변실금
점수가
유의
하게
낮게
나타났다
.
이는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용되는
근육
부위와
연구에서
중재한
운동
로그램
수행할
용되는
근육의
부위가
유사하며
훈련
모두
골반기저근
코어
근육의
능을
개선함으로써
배변
관련
문제가
완화된
것으
사료된다
.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
연구는
대장암
생존자의
증상
개선
운동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한
파일럿
연구로
단일기관 에서
15
대장암
생존자를
대상으
연구를
진행하였고
,
운동
중재
기간이
6
https://www.ksep-es.org
https://doi.org/10.15857/ksep.2021.00318
변지용 외대장암생존자배변증상개선운동 | 153
주로
짧아
효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
있다
.
연구자
작위대조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1:1
무작위
할당을
하여
개의
군으
나누려고
하였으나
운동
중재의
특성상
중재에
대한
맹검법
(Blind-
ed experiment)
시행하
제약이
있어
맹검을
하지
못하였고
인해
대조 군으
배정된
참여자의
그룹
변경으
무작위배정이
않아
운동
로그램
효과를
검증하는
한계가
있다
.
또한
,
구의
운동
중재는
감독하
운동과
가정
기반
운동을
병행하여
제공하
가정기반
운 동기간 동 안
운동
일지와
만보계
제공하였으나
운동
일지
회수율이
50%
미만으
걸음
수와
운동
참여도를
정량화하여
행률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제한점을
가진다
.
그러나
신체활동설문
지를
통해
주당
중고강도
신체활
참여가
연구
참여
전에
비해
178
증가하였고
,
주당
1
미만이던
근력운동
참여
일이
6
이상으
가하여
가정기반
운동
역시
수행률이
매우
높았을
것이라고
사료
있다
.
결 론
대장암
생존자들
치료
다양한
후유증을
경험하게
된다
.
치료
나타나는
증상을
완화시키
운동이
효과가
있다면
대장
생존자 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역할을
것이다
.
연구는
장암
생존자의
치료
나타나는
배변
관련
증상을
완화 하기
위하여
개발된
가정
기반
운동
로그램
실현
능성과
효과를
규명하고
하였다
.
결과
,
배변
관련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
로그램
참여자
중고강도
신체활동량과
근력
운동
참여
일수를
증가
시킨
것을
인할
있었다
.
또한
,
운동
로그램
대장암
생존자의
역할
기능과
사회
기능을
상했으며
배변
관련
증상에서
가스
,
갑작스런
변의
감을
감소시켰다
.
따라서
,
연구의
양적
-
질적
자료를
종합적으
석한
결과
대장암
생존자의
6
주간
운동
로그램
참여가
신체활동량
증가
,
기능
관련
삶의
향상
,
배변
관련
증상을
완화
시킨
것을
있었다
.
연구를
통해
대장암
생존자의
배변
관련
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
로그램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므
추후
무작위대
임상
연구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
CONFLICT OF INTEREST
논문
작성에
있어서
제약회사
상업기관으로부터
일체의
지원
받지
았으며
,
논문에
영향을
미칠
있는
어떠한
관계도
없음을
밝힌다
.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M Lee; Data curation: D Park; Formal analysis: D
Park; Methodology: J Byeon; Project administration: M Lee; Writing-
original draft: J Byeon, D Park; Writing-review & editing: D Park, SJ
Yeon, SH Jee, NK Kim, TI Kim, JS Park.
ORCID
Ji-Yong Byeon https://orcid.org/0000-0002-4684-1740
Dong-Hyuk Park https://orcid.org/0000-0002-2545-3132
Mi-Kyung Lee https://orcid.org/0000-0002-9690-4463
Su Jin Yeon https://orcid.org/0000-0002-4132-0030
Sun Ha Jee https://orcid.org/0000-0001-9519-3068
Nam Kyu Kim https://orcid.org/0000-0003-0639-5632
Tae Il Kim https://orcid.org/0000-0003-4807-890X
Ji Soo Park https://orcid.org/0000-0002-0023-7740
Justin Y. Jeon https://orcid.org/0000-0001-7978-4271
REFERENCES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Incidence rate according to can-
cer type.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1/contents.do.
2020.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https://www.cancer.go.kr/lay1/S1T648C650/contents.do. 2020.
3. Hong S, Won YJ, Park YR, Jung KW, Kong HJ, et al.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7. Can-
cer research and treatment: J Korean Cancer Assoc. 2020;52(2):335.
4. Cabilan CJ, Hines S. The short-term impact of colorectal cancer treat-
ment on physical activity,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a sys-
tematic review. JBI Evid Synth. 2017;15(2):517-66.
5. Jeong G, Kim K, Kwak Y.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ymptom clusters classification. Asian On-
col. 2014;14(2):74-83.
6. Downing A, Morris EJ, Richards M, Corner J, Wright P, et 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colorectal cancer in england: a patient-re-
ported outcomes study of individuals 12 to 36 months after diagnosis.
J. Clin. Oncol. 2015;33(6):616-24.
7. Allal AS, Bieri S, Pelloni A, Spataro V, Anchisi S, et al. Sphincter-spar-
ing surgery after preoperative radiotherapy for low rectal cancers: fea-
https://www.ksep-es.org
154 |Ji-Yong Byeon, et al. Exercise for Symptoms in Colorectal Cancer
Vol.31, No. 1, February 2022: 141-155
sibility, oncologic results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Br J Cancer.
2000;82(6):1131-7.
8. Jones LW, Courneya KS, Mackey JR, Muss HB, Pituskin EN, et al.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ge-related decline across the breast
cancer survivorship continuum. Clin Oncol. 2012;30(20):2530-7.
9. Deimling GT, Bowman KF, Wagner LJ. The effects of cancer-related
pain and fatigue on functioning of older adult, long-term cancer sur-
vivors. Cancer Nurs. 2007;30(6):421-33.
10. Thong MSY, Mols F, Wang XS, Lemmens VEPP, Smilde TJ, et al.
Quantifying fatigue in (long-term)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 study
from the population-based patient reported outcomes following initial
treatment and long term evaluation of survivorship registry. Eur. J.
Cancer. 2013;49(8):1957-66.
11. Sánchez-Jiménez A, Cantarero-Villanueva I, Delgado-García G, Moli-
na-Barea R, Fernández-Lao C, et al. Physical impairments and quality
of life of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 case-control study. Eur J Cancer
Care. 2015;24(5):642-9.
12. Je Y, Jeon JY, Giovannucci EL, Meyerhardt JA.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mortality in colorectal cancer: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Int J Cancer. 2013;133(8):1905-13.
13. Wolpin BM, Meyerhardt JA, Chan AT, Ng K, Chan JA, et al. Insulin,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axis,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no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Clin Oncol. 2009;27(2):176.
14. Lee MK, Kim JY, Kim DI, Kang DW, Park JH, et al. Effect of home-
based exercise intervention on fasting insulin and adipocytokines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ab.
2017;76:23-31.
15. An KY, Yang HI, Kang DW, Courneya KS, Jeon JY. Development pro-
cess of an evidence-based exercise program for post-operative colorec-
tal cancer patients. Supportive Care in Cancer. 2020;28(2):755-65.
16. Creswell JW. A concise introduction to mixed methods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14.
17. Rikli RE, Jones CJ. Senior fitness test manual. Human kinetics 2013.
18. Kim K.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p-
plied Sports Sciences. 32(2).
19. Brumitt J. Core assessment and training. Human Kinetics 2010.
20. Hong SH, Yang HI, Kim DI, Gonzales TI, Brage S, et al. Validation of
submaximal step tests and the 6-min walk test for predicting maximal
oxygen consumption in young and healthy participant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9;16(23):4858.
21. Lee J, Lee C, Min J, Kang DW, Kim JY,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
an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Glob Health Promot. 2019:1757975919854301.
22. Yun YH, Park YS, Lee ES, Bang SM, Heo DS,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C30. Qual Life Res. 2004;13(4):
863-8.
23. Ihn MH, Lee SM, Son IT, Park JT, Oh HK, et al. 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CR29 in pa-
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5;23(12):
3493-501.
24. Schmitz KH, Campbell AM, Stuiver MM, Pinto BM, Schwartz AL, et
al. Exercise is medicine in oncology: engaging clinicians to help pa-
tients move through cancer. cancer. CA Cancer J Clin. 2019;69(6):468-
84.
25. Hung SL, Lin YH, Yang HY, Kao CC, Tung HY, et al. Pelvic floor mus-
cle exercise for fecal incontinence quality of life after coloanal anasto-
mosis. J Clin Nurs. 2016;25(17-18):2658-68.
26. Hsie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
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5;15(9):1277-88.
27. Byeon JY, Lee MK, Chung JY, Yoo S, Jeon JY. Exercis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sian Oncol Nurs. 2019;19
(2):98-105.
28. Lee MK, Min JH, Justin YJ.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body
composition in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survivor. J Korean Phys
Soc. 2016;55(3):465-72.
29. Park H, Byeon JY, Jeon JY, Jung M, Ahn JB.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ercise perception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adjuvant chemotherapy. J Korean Phys Soc. 2016;55(1):687-700.
30. Bourke L, Doll H, Crank H, Daley A, Rosario D, et al. Lifestyle inter-
vention in men with advanced prostate cancer receiving androgen
suppression therapy: a feasibility study.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1;20(4):647-57.
31. Spence RR, Heesch KC, Eakin EG, Brown WJ.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 supervise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for colorectal can-
cer survivors immediately after chemotherapy: study protocol. BMC.
cancer 2007;7(1):154.
32. Morey MC, Snyder DC, Sloane R, Cohen HJ, Peterson B, et al. Effects
of home-based diet and exercise on functional outcomes among older,
overweight long-term cancer survivors: RENEW: a randomized con-
trolled trial. BMC cancer. 2009;301(18):1883-91.
33. Hawkes AL, Chambers SK, Pakenham KI, Patrao TA, Baade PD, et al.
Effects of a telephone-delivered multiple health behavior change inter-
https://www.ksep-es.org
https://doi.org/10.15857/ksep.2021.00318
변지용 외대장암생존자배변증상개선운동 | 155
vention (CanChange) on health and behavioral outcomes in survivors
of colorectal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lin Oncol. 2013;
31(18):2313-21.
34. Demark-Wahnefried W, Morey MC, Sloane R, Snyder DC, Miller PE,
et al. Reach out to enhance wellness home-based diet-exercise inter-
vention promotes reproducible and sustainable long-term improve-
ments in health behaviors, body weight, and physical functioning in
older, overweight/obese cancer survivors. Clin Oncol. 2012;30(19):
2354.
35. Courneya KS, Friedenreich CM, Quinney HA, Fields ALA, Jones LW,
et al. A randomized trial of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
cer survivors. Eur J Cancer Care. 2003;12(4):347-57.
36. Lee MK, Kim NK, Jeon JY. Effect of the 6-week home-based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physical fitness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PloS One.
2018;13(4):e0196220.
37. Awasthi R, Minnella EM, Ferreira V, Ramanakumar AV, Scheede-
Bergdahl C, et al. Supervised exercise training with multimodal pre-
habilitation leads to earlier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colorectal
cancer resection. Acta Anaesthesiol. Scand. 2019;63(4):461-7.
38. Lin KY, Shun SC, Lai Y-H, Liang JT, Tsauo JY. Comparison of the ef-
fects of a supervised exercise program and usual car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Cancer Nurs. 2014;37(2):
E21-9.
39. Peddle-McIntyre CJ, Bell G, Fenton D, McCargar L, Courneya KS.
Changes in motivational outcomes after a supervised resistance exer-
cise training intervention in lung cancer survivors. Cancer Nurs. 2013;
36(1):E27-35.
40. Mishra SI, Scherer RW, Snyder C, Geigle PM, Berlanstein DR, et al.
Exercise intervention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cancer during active treatment.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8).
41. Courneya K, Friedenreich C, Quinney H, Fields A, Jones L, et al. A
randomized trial of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Eur J Cancer Care. 2003;12(4):347-57.
42. Fong DY, Ho JW, Hui BP, Lee AM, Macfarlane DJ, et al. Physical activ-
ity for cancer survivors: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BMJ. 2012;344:e70.
43. Terra M, Dobben A, Berghmans B, Deutekom M, Baeten C,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with biofeed-
back in patients with fecal incontinence: a cohort study of 281 patients.
Dis Colon Rectum. 2006;49(8):1149-59.
44. Lin KY, Granger CL, Denehy L, Frawley HC. Pelvic floor muscle train-
ing for bowel dysfunction following colorectal cancer surgery: a sys-
tematic review. Neurourol Urodyn. 2015;34(8):703-12.
Article
Full-text available
Purpose: This study reports the cancer statistics and temporal trends in Korea on a nationwide scale, including incidence, survival, prevalence, and mortality in 2017. Materials and methods: The incidence, survival, and prevalence rates of cancer were evaluated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from 1999 to 2017 with follow-up until December 31, 2018. Deaths from cancer were assessed using cause-of-death data from 1983 to 2017, obtained from Statistics Korea. Crude and age-standardized rates (ASRs) for incidence, mortality, and prevalence, and 5-year relative survival rates were calculated and trend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In 2017, newly diagnosed cancer cases and deaths from cancer numbered 232,255 (ASR, 264.4 per 100,000) and 78,863 (ASR, 76.6 per 100,000), respectively. The overall cancer incidence rates increased annually by 3.5% from 1999 to 2011 and decreased by 2.7% annually thereafter. Cancer mortality rates have been decreasing since 2002, by 2.8% annually.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for all patients diagnosed with cancer between 2013 and 2017 was 70.4%, which contributed to a prevalence of approximately 1.87 million cases by the end of 2017. Conclusion: The burden of cancer measured by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have improved in Korea, with the exception of a few particular cancers that a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incidence or mortality rates. However, cancer prevalence is increasing rapidly, with the dramatic improvement in survival during the past several years. Comprehensive cancer control strategies and efforts should continue, based on the changes of cancer statistics.
Article
Full-text available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validity of three different submaximal tests (i.e., 3-min step test with 20.3-cm step box height (3MST20), 3-min step test with 30-cm step box height (3MST30), and 6-min walk test (6MWT)) in estimating maximal oxygen consumption (VO2max) in young and healthy individuals. Methods: The 3MST20, 3MST30, 6MWT, as well as the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CPET) were performed in 73 participants (37 men and 36 women; mean age: 30.8 ± 9.3 years). All participants visited the clinic three in a random order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s, three submaximal tests, and the VO2max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nstruct the VO2max prediction equations for each submaximal test. Results: The prediction equations developed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each submaximal tests were as follows: 3MST20: VO2max = 86.0 − 10.9 × sex (male = 1, female = 2) − 0.4 × age − 0.1 × weight − 0.1 × heart rate recovery at 30 s (HRR30s); 3MST30: VO2max = 84.5 − 10.2 × sex (male = 1, female = 2) − 0.4 × age − 0.1 × weight − 0.1 × HRR30s; and 6MWT: VO2max = 61.1 − 11.1 × sex (male = 1, female = 2) − 0.4 × age − 0.2 × weight − 0.2 × (distance walked·10−1). The estimated VO2max values based on formulated equations were 37.0 ± 7.9, 37.3 ± 7.6, and 36.9 ± 7.9 mL∙kg−1∙min−1 derived from the 3MST20, 3MST30, and 6MWT, respectively. These estimated VO2max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easured VO2max value, 37.3 mL∙kg−1∙min−1. The estimated VO2max based on the 3MST20, 3MST30, and 6MWT results explained 73.4%, 72.2%, and 74.4% of the variances in the measured VO2max (p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3MST20, 3MST30, and 6MWT were valid in estimating VO2max in relatively young and healthy Asian individuals.
Article
Full-text available
Multiple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have issued evidence‐based exercise guidance for patients with cancer and cancer survivors. Recently,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has updated its exercise guidance for cancer prevention as well a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 variety of cancer health‐related outcomes (eg, fatigue, anxiety, depression,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Despite these guidelines, the majority of people living with and beyond cancer are not regularly physically active. Among the reasons for this is a lack of clarity on the part of those who work in oncology clinical settings of their role in assessing, advising, and referring patients to exercise. The authors propose using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s Exercise Is Medicine initiative to address this practice gap. The simple proposal is for clinicians to assess, advise, and refer patients to either home‐based or community‐based exercise or for furthe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outpatient rehabilitation. To do this will require care coordination with appropriate professionals as well as change in the behaviors of clinicians, patients, and those who deliver the rehabilitation and exercise programming. Behavior change is one of many challenges to enacting the proposed practice changes. Other implementation challenges include capacity for triage and referral, the need for a program registry, costs and compensation, and workforce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re is a call to action for key stakeholders to create the infrastructure and cultural adaptations needed so that all people living with and beyond cancer can be as active as is possible for them.
Article
Full-text availabl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K-GPAQ)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English version of the GPAQ was translated to the Korean language (K-GPAQ) via forward–backward translation. Reliability of the K-GPAQ was evaluated using a one-week interval test–retest method with 115 individuals.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K-GPAQ was examined with 199 participants using accelerometers. Cohen’s kappa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measure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respectively. A Bland–Altma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agreement between physical activity (PA) levels measured via K-GPAQ and the accelerometer. Coefficients for the reliability of the K-GPAQ showed moderate agreement for recreational PA and slight agreement for work-related PA (Cohen’s kappa: 0.60–0.67 for recreational PA and 0.30–0.38 for work-related PA and Spearman’s rho: 0.27–0.47 for work-related PA and 0.53–0.70 for recreational PA). Criterion validity of the total amount of PA, as measured by the K-GPAQ and the accelerometer, showed a weak but significant correlation ( r = 0.34, p < 0.01). The K-GPAQ is a reliable and valid questionnaire to measure PA although K-GPAQ overestimated PA levels.
Article
Full-text available
Purpose Exercise is generally accepted to be beneficial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ercise on patient care and health outcomes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ecovery period. Furthermore, ver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safety, feasibility, and efficacy of exercise on post-operative cancer patients. Although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based on solid evidence from clinical trials,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not presen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s. This paper describes a ten-step development process of an inpatient exercise program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after colectomy. Methods The development process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ten step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understanding patient characteristics via patient survey, first expert group discussion, development of the first draft exercise program, pretest, focus group interview, second expert group discussion, pilot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the final exercise program development. Results The exercis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e ten-step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For all three phases, patients performed the exercises two times a day, once under supervision. Any specific exercises that caused pain on a given day were excluded from the exercise program for that day. The exercise program reduce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time to flatu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a safe and effective mean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exercise program not only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but also for other population groups.
Article
Full-text available
Despite improvement in prognosis of colorectal cancer, colorectal cancer survivors often suffer from adverse effects of cancer treatment, including reduced health-related fitness level.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the 6-week home-based exercise program o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itness in stage II to III colorectal cancer survivors. Seventy-two stage II to III colorectal cancer survivor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home-based exercise (n = 38) or usual care (n = 34) group for 6 weeks. The goal of the home-based exercise program was to increase the level of exercise to 18 metabolic equivalent task hours per week.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outcomes of this study were physical activity level and physical fitness, respectively. A total of 57 participants (79.2%) completed the trial. Intention-to-treat analysis indicated that moderate physical activity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by 269.4 ± 260.6 minutes per week in the exercise group (mean between-group difference, 254.6 minutes; 95% confidence interval, 172.7–434.7; p < 0.001). Physical fitness measured by using the step test (-3.9 vs. 2.6, p = 0.012) and push-up test (3.0 vs. -1.2, p = 0.012) also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6-week home-based mix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 was feasible and effective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 and physical fitness in stage II to III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rticle
Background Exercise training is a component of the pre‐habilitation program. While in one previous study the training was home‐based, in a subsequent investigation it was supervised in hospital. The hypothesis of this secondary analysis of the two studies was to determine whether supervised exercise further accelerates the return to baseline walking ability. Methods Data from two consecutive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 comparing pre‐habilitation to the rehabilitation of cancer patients scheduled for colorectal surgery were pooled for analysis. The interventions were similar and included home‐based exercise training, nutritional counseling and protein supplementation, and relaxation techniques administered either before surgery (pre‐habilitation) or after surgery (rehabilitation). Patients in the second RCT received additional supervised exercise sessions. Functional capacity was assessed with the 6‐minute walk test (6 MWT) at baseline, before surgery, and at 4 and 8 weeks after surgery. Adjusted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improvement of the 6‐minute walk distance (6MWD). Results Baseline mean 6MWD of 63 patients in the supervised group was 465.1 m (SD, 115), and that of 77 patients in the nonsupervised group was 407.8 m (SD, 109) (P < 0.01). Perioperative supervised exercise training enhanced further functional capacity and muscle strength when compared with the nonsupervised group (P < 0.01). Those receiving exercise supervision had over two times higher chances to return to baseline after surgery. Supervised pre‐habilitation was the best combination (4 weeks OR = 7.71, and at 8 weeks OR = 8.62). Conclusion Supervised exercise training leads to meaningful changes in functional capacity thus accelerating the postoperative return to baseline activities.
Article
Background and Aims Elevated circulating insuli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recurrence and cancer mortality in early-stage colorectal cancer (CRC). We conduct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12-week home-based exercise program on fasting insulin, adipocytokines, and physical function in CRC survivors. Methods One hundred and twenty-three stage II-III CRC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home-based exercise (n=62) or standard care control group (n=61) for 12 weeks. Home-based exercise consisted of aerobic and resistance training, with a goal of obtaining ≥18 metabolic equivalent task (MET)-h/wk.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 were instructed to participate in more than 18 MET-h/wk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while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usual daily activity. The primary outcome was fasting insulin levels. Secondary outcomes were adiponectin, TNF-α levels and 6 minute walk distance from baseline to post-intervention. Results After the 12-weeks, moderate-vigorou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creased from 9.1±14.7 MET-h/wk to 26.6±21.7 MET-h/wk in the exercise group, with no change in the control group (p<0.01 for group and time interaction). Circulating insulin level decreased by 1 μU/ml (6.0±3.9 vs. 5.0±3.5, p=0.009) in the exercise group with no change in the control group (p=0.022 for group and time interaction).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in TNF-α (p=0.030 for group and time interaction). Six minute walk distance increased by 25.2 m in the exercise group with no change in the control group (p=0.061 for group and time interaction). Conclusions The 12 week home-based exercise program increased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decreased circulating insulin levels in CRC survivors.
Article
Background: Physical activity,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QoL)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life (QoL) after colorectal cancer (CRC) treatment; however, little is known on how the treatment impacts these outcomes. Having this understanding could help clinicians develop and implement strategies that would enhance or maintain the QoL of CRC patients. Objectives: To identify the impact of curative CRC treatment (surgery with or without radiotherapy and/or chemotherapy) on physical activity, functional status and QoL within one year of treatment or diagnosis. Inclusion criteria Types of participants: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ged 18 years and over. Types of interventions: Curative CRC treatment, which was surgery with or without radiotherapy and/or chemotherapy. Types of studies: Pre- and post-observational and experimental studies. Outcomes: Physical activity,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al status) and QoL. Search strategy: CINAHL, Embase, MEDLINE, OpenGrey and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were used to obtain published and unpublished studies in English. The date range was the start of indexing to February 2015. Methodological quality: All studies were assessed independently by two reviewers for relevance, eligibility and methodological quality. Data extraction: Data from included papers were extracted using a modified data extraction tool. Data that were presented graphically were extracted using online software. Data synthesis: The differences between postoperative and baseline values were calculated using the Review Manager 5.3.5 (Copenhagen: The Nordic Cochrane Centre, Cochrane) calculator and expressed as mean difference and their corresponding 95% confidence interval. Where possible, study results were pooled in statistical meta-analysis. The physical activity, functional status and some QoL results are presented in a narrative and table form. Results: A total of 23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wo studies (N = 2019 patients) evaluated physical activity, two studies (N = 6908 patients) assessed functional status and 22 studies (N = 2890 patients) measured QoL. Physical activity was observed to decrease at six months after treatment. The functional status of CRC patients decreased, particularly in the elderly (Summary of findings 1 and 2). As for QoL, only the physical and functional aspects were seen to decline up to six months, but scores almost returned to baseline levels at one year after treatment. The QoL studies that used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LQ-C30 tool were pooled in statistical meta-analysis and summarized in Summary of findings 2. The results must be interpreted carefully due to the heterogeneity of studies and scarcity of recent studies. Conclusion: In spite of the limitations, it is likely that the physical and functional capacity of CRC survivors deteriorates after treatment. Implications for practice: The period between diagnosis and treatmen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linicians to implement interventions (e.g. exercise interventions) that could enhance or restore the physical and functional capacity of CRC survivors. Implications for research: The paucity of studies and heterogeneity need to be addressed. The outcomes for colon and rectal cancer survivors, ostomates and non-ostomates must be analyzed separately.